•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stimulating agen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6초

난백분말과 카제인으로 만든 젖산균 발효식품에서 생육촉진물질의 효과 (Effect of Growth Stimulating Agent in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Prepared from Egg White Powder and Casein)

  • 고영태;이은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09-51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난백분말과 카제인을 기질로 한 시료에 생육촉진물질(growth stimulating agent: GSA)을 첨가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및 젖산균 발효식품의 관능성과 점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GSA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촉진되었으며, 0.3%보다 1%에서 그 효과가 더 높았다. 시료에 따라서는 GSA 첨가시료의 산도가 우유시료와 차이가 없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GSA의 첨가로 인한 생균수의 증가는 뚜렷하지 않았다. 세 균주 중에서 L. acidophilus로 발효시킨 시료의 산도가 다른 균주보다 대체적으로 높았다. GSA 첨가농도는 1%가 가장 적합하였다. 발효시간을 달리하여 실시한 시료의 관능검사 결과 18 hr시료의 관능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한편 우유시료에 비하여 GSA 첨가시료는 유청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많고, GSA 특유의 맛과 냄새가 있어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이 다소 저조하였다. 우유시료와 control 시료의 점도가 GSA 첨가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GSA를 첨가한 4시료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모든 시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현상, 즉 thixotopic flow의 특성을 나타냈다.

  • PDF

Dual Effect of the Cubic Ag3PO4 Crystal on Pseudomonas syringae Growth and Plant Immunity

  • Kim, Mi Kyung;Yeo, Byul-Ee;Park, Heonyong;Huh, Young-Duk;Kwon, Chian;Yun, Hye Sup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68-170
    • /
    • 2016
  • We previously found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ilver phosphate crystals on Escherichia coli depends on their structure. We here show that the cubic form of silver phosphate crystal (SPC) can also be applied to inhibit the growth of a plant-pathogenic Pseudomonas syringae bacterium. SPC pretreatment resulted in reduced in planta multiplication of P. syringae. Induced expression of a plant defense marker gene PR1 by SPC alone is suggestive of its additional plant immunity-stimulating activity. Since SPC can simultaneously inhibit P. syringae growth and induce plant defense responses, it might be used as a more effective plant disease-controlling agent.

홍삼가수분해추출물(GS-E3D)의 항산화 및 양모 효과 (Anti-Oxidant and Hair-Growth-Promoting Effect of Pectin Lyase-Modified Red Ginseng Extract (GS-E3D))

  • 표미경;홍세철;정종태;조윤호;이기무
    • 생약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5-201
    • /
    • 2017
  • To develop new therapy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air loss is very important according to increase of the number of hair loss peop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s of pectin lyase-modified red ginseng extract (GS-E3D). We examine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s (HHDPC) proliferation, and testoterone-induced $5{\alpha}$-reductase inhibitory effects. GS-E3D show not only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 as an anti-oxidant property, but also lip-oxygenase and hyaluronidase inhibitory effects as an anti-inflammatory property. 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s proliferation by GS-E3D was higher than those of minoxidil or finasteride, using the positive controls. Moreover, GS-E3D exhibited $5{\alpha}$-reductase inhibitory activities after stimulating by testoteron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GS-E3D has a potential to be as an hair growth promoting agent for cosmetic materials.

생육촉진물질이 첨가된 난백분말과 카제인으로 만든 젖산균 발효식품의 동결건조 (Freeze Drying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Prepared from Egg White Powder and Casein Supplemented with Growth Stimulating Agent)

  • 고영태;이은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37-134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난백분말과 카제인 기질에 생육촉진물질을 첨가하여 만든 젖산균 발효식품의 동결건조에 의한 젖산균 생균수의 변화, 관능성의 변화, 경도,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동결 또는 동결건조에 의하여 젖산균 발효식품의 pH 거의 변화가 없으나, 생균수는 동결, 특히 동결건조 도중에 급격히 감소하였고, 동결 전의 균수를 I00%로 했을 때, 동결 후의 생존율을 $72.0{\sim}82.4%$, 동결건조 후의 생존율은 $10.0{\sim}20.4%$였다. 동결건조 전 시료와 동결건조-환원된 시료의 관능성을 비교하여 보면, 대체적으로 동결건조 전의 시료가 동결건조-환원된 시료보다 관능성이 우수하였으나, 동결건조시킨 고체상의 발효유 및 젖산균 발효식품도 환원성이 뛰어나고 기호도가 양호하였다. 동결건조 전의 젖산균 발효식품과 동결건조-환원된 젖산균 발효식품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를 보면, 동결건조에 의하여 모든 시료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감소 정도는 시료 별로 차이가 있었다.

  • PDF

대장균에서 증식속도 조절에 의한 수용성 재조합 인간 과립구 콜로니 촉진인자의 생산 (Production of Soluble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 E. coli by Control of Growth Rate.)

  • 박세철;고인영;강희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1
    • /
    • 2004
  • 인간 과립구 성장인자(hG-CSF)는 골수에서 생산되는 단백질로 호중구의 분화 및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재조합 hG-CSF는 암화학요법에 의한 호중구감소증, 골수이식시 호중구 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에 수반되는 호중구 감소증 등으로 적응증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mpA signal sequence를 삽입하여 인간 과립구 성장인자(hG-CSF)가 분비발현되도록 고안된 T7 promoter 에 의하여 발현되는 pYRCl 발현백터를 제조하였다. E. coli BL2l (pYRCl) 발현시 $37^{\circ}C$에서 배양하는 경우 많은 양의 봉입체(aggregates)를 형성한다. 이에 비하여 $10\mu$M ucose를 포함하는 변형된 MBL배지에서 10 g/$\ell$IPTG를 유도물질로 7시간동안 $2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전체 periplasm단백질의 15%가 soluble rhG-CSF이었다. 또한, 유가식 배양방법을 사용하여 E. coli BL2l(pYRCl)에서 soluble rhG-CSF의 생산조건을 조사하였다. 유가식 배양에서 rhG-CSF의 발현량이 비증식속도를 $0.43 h^{-1}$ 에서 0.14 $h^{-1}$ 으로, 유도 배양시간을 최적화함으로써 rhG-CSF의 발현량이 4.4mg/$\ell$에서 24mg/$\ell$ 로 증가하였다.

양혈음가미방(養血飮加味方) 추출물의 발모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ies of YangHyulEum Gami-Bang Extracts on the Hair Growth Effect)

  • 홍지희;정현아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4-94
    • /
    • 2016
  • Objectives : YangHyulEum Gami-Bang(YHEG) is a hair care extracts which is composed of fourteen plant extracts used in orient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angHyulEum Gami-Bang(YHEG) on the alopecia and hair growth.Methods & Results : The herbal extracts from YangHyulEum Gami-Bang(YHEG) was tested using in vivo and in vitro test models. 1. The YHEG extracts showed effect on the DNA proliferation of the hair dermal papilla cells measur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2. YHEG showed promoting on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such as IGF-1, KGF-1 and inhibiting on the expression of inhibitory hair growth factor such as TGF-β1, BMP-2 estimated by qPCR. 3. The YHEG extracts showed effect on the activation of β-catenin in the dermal papilla cells. 4. YHEG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NO synthesis at 0.2% concentrations. 5. YHEG showed effects in the expression of IL-1β, TNF-α, IL-6, COX-2 and iNOS gene in the LPS stimulated RAW 264.7 cells. 6. The hair growth index of the YHEG extracts ranked at over 2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which was ranked at 0. 7. The hair follicle number, length and siz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histological observation.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YangHyulEum Gami-Bang(YHEG) has hair growth promoting activity and it can be used as a potent treatment agent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stimulating hair growth for treatment of alopecia.

인공피부배양물(DA-3711)을 이용한 주름개선제 개발 (Development of anti-wrinkle agent with Artificial Skin Culture Broth (DA-3711))

  • 김희정;이미연;안병옥;이정환;김병문;이성희;권종원;김원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63-470
    • /
    • 2004
  • 인공피부배양물(DA-3711)은 동아제약의 인공피부배양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노화된 피부상태를 개선시켜 줄 수 있는 천연의 세포외기질 단백질을 비롯하여 인체성장인자 등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DA-3711의 항노화 효과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규명되었으며, 또한 인체 효능 연구 결과에서도 피부탄력을 개선시키고 주름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즉, DA-3711을 이용한 새로운 주름개선제는 피부재생을 촉진시켜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능을 나타낸다.

소아의 만성신장질환의 치료 (Treat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children)

  • 이주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061-1068
    • /
    • 2009
  • 만성 신질환 환아들의 치료는 신대체 요법과 더불어 적절한 식이 요법,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의 관리, 신장 골형성 장애의 예방 및 치료, 빈혈과 고혈압, 성장 지연의 치료 등으로 이루어진다. 식이 요법은 환아들의 성장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및 열량의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하게 관리해야 한다. 혈청 칼슘, 인,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적절한 목표치 안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인 결합 제제와 비타민 D 제제를 투여하여 신장 골형성 장애를 예방하여야 한다. 적혈구 생산 촉진제와 철분 제제를 투여하여 혈색소 값을 11-12 g/dl로 유지하여야 한다. 수분 및 염분의 균형과 적절한 항고혈압제의 투여로 고혈압을 조절해야 한다. 사람 재조합 성장 호르몬을 투여하여 최종 성인 키를 호전시키도록 한다.

수피상처치료를 위한 식물생장조절물질 기반 상처유합제 개발 (Development of Wound-treatment Formulation Using Plant Growth Regulators for Wound Healing of Some Tree Species)

  • 민호정;김병관;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3-92
    • /
    • 2016
  • 상처로부터 수목을 보호할 상처유합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한 MS 배지에 느티나무, 대추나무, 소나무, 은행나무 및 칠엽수의 가지 절편을 배양하고 유합조직의 형성률을 조사하였다. 기내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2,4-D, NAA, IBA 등을 후보물질로 선발하고 증량제인 잔탄검과 혼합하여 상처유합제를 조제하였다. $2{\times}10cm$ 크기로 수피를 완전히 제거한 절단면에 각각의 상처유합제를 충분히 바르고 12주 뒤에 유합조직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유합조직 형성량은 수종에 따라, 상처유합제의 유효성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느티나무와 단풍나무에서는 2,4-D 2 mg/L가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으며, 잣나무에서는 NAA 8 mg/L이, 그리고 은행나무에서는 IBA 1 mg/L이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다. 은행나무는 다른 수종보다 유합조직 형성량이 현저히 적었다. 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는 느티나무에서만 효과가 뛰어났으며, 다른 수종에서는 모든 생장조절제제를 능가하지는 못했다. 수피의 상처처리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셀린은 4 수종 모두에서 상처부위에 오래 잔존하며 부후를 촉진시키는 역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활엽수의 상처유합제로는 2,3-D 제제가, 송백류에는 NAA 제제가, 그리고 은행나무에는 IBA 제제가 적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Acacia ferruginea Inhibits Tumor Progression by Regulating Inflammatory Mediators-(TNF-α, iNOS, COX-2, IL-1β, IL-6, IFN-γ, IL-2, GM-CSF) and Pro-Angiogenic Growth Factor-VEGF

  • Sakthivel, Kunnathur Murugesan;Guruvayoorappan, Chandrasekar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909-3919
    • /
    • 2013
  • The aim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ferruginea extract on Dalton's lymphoma ascites (DLA) induced tumours in BALB/c mice. Experimental animals received A ferruginea extract (10 mg/kg.b.wt) intraperitoneally for 14 consecutive days after DLA tumor challenge. Treatment with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fe span, total white blood cell (WBC) count and haemoglobin (Hb) content and decreased the level of serum aspartate 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gamma glutamyl transferase (${\gamma}$-GT) and nitric oxide (NO) in DLA bearing ascites tumor models. In addition, administration of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umour volume and body weight in a DLA bearing solid tumor model.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 beta (IL-$1{\beta}$), interleukin-6 (IL-6) and granulocyte mon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as well as pro-angiogenic growth factors such a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were elevated in solid tumour controls, but significantly reduced by A ferruginea adminis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2 (IL-2) and interferon-gamma (IFN-${\gamma}$) in animals with DLA induced solid tumours. Increase in $CD4^+$ T-cell population suggested strong immunostimulant activity for this extract. GC/MS and LC/MS analysis showed quinone, quinoline, imidazolidine, pyrrolidine, cyclopentenone, thiazole, pyrazole, catechin and coumarin derivatives as major compounds present in the A ferruginea methanolic extract. Thus, the outcome of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 ferruginea extract has immunomodulatory and tumor inhibitory activities and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 natural anticancer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