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disorders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 사춘기 소녀들의 골밀도와 환경요인들과의 관계(II)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Korean Pubescent Girls)

  • 최미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1
    • /
    • 1995
  • Bone mass accretion during puberty appears to be critical in the development of peak bone mass. Although bone density of females in Korea has been studied, only a few studies have related bone mass with anthropometric patterns or puberty in the pubescent girl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a study of major determinants of bone development during puberty. Subjects were aged 14∼16 yr(mean 14.97), and had no history of disorders or dedication use likely to influence bone or calcium metabolism. Bone mineral density and content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using a Lunar DPX+Scanner (Lunar Madison, WI). Also, total body fat, and total lean body mass were assessed using a Lunar DPX dual-energy X-ray absorptiometer, Pubertal status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Marshall and Tanner guidelines. Serum levels of osteocalcin was measured by RIA using a commercial kit assay. Skinfold measurements were taken with a skinfold caliper(Lange Caliper, USA).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gression and GLM procedure of the statistical package SA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bserved means for lumbar spine BMD and femoral BMD correspond to approximately 91% and 96% of the means for young adult females, respec tively. All subjects were menarchal, with the majority being in the middle to end stages of pubertal development. Total body BMD was positively related to fat mass(P<0.001), lean body mass and time since menarche, and negatively related to urine pyridinolin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nd osteocalcin. The data indicate that girls who reported lower age for menarche had significantly higher bone densities than girls who reported higher age for menarche. Attaining peak skeletal bone mass during puberty may reduce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in later life. this finding suggests that early menarche may augment peak bone mass, influencing the extent of bone loss later in adulthood. The results suggest that good nutrition in childhood appears to be needed not for growth and development, but possibly also to assure an optimal peak of bone mass and thus greater latitude for the maintenance or skeletal integrity in the face of bone losses. Troeps skinfold thickness was a better predictor of total BMD and total BMC than was any other skinfold thickness. The study did not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otal BMD and body fat %, but total fa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total BMD(r=0.49) and total BMC(r=0.60). It supports earlier repor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BMD and body weight. Conclusively, total fat, lean body mass and pubertal development could influence BMD in pubescent girls. Clearly, longitudinal studies are required to assess the effect of puberty on peak bone mass, and to define further the potential determinants of peak bone mass.

  • PDF

Variation of Urinary and Serum Trace Elements (Ca, Zn, Cu, Se) in Bladder Carcinoma in China

  • Guo, Kun-Feng;Zhang, Zhe;Wang, Jun-Yong;Gao, Sheng-Lin;Liu, Jiao;Zhan, Bo;Chen, Zhi-Peng;Kong, Chui-Z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057-2061
    • /
    • 2012
  • Backgrounds: Deficiency or excess of trace elements can induce body metabolic disorders and cellular growth disturbance, even mutation and cancerization. Since there are few studies of the effect of trace elements in bladder carcinoma in China, the aim of this study was thus to assess variation using a case control approach. Methods: To determine this, 81 patients with bladder carcinoma chosen as a study group and 130 healthy persons chosen as a control group were all assayed for urinary and serum trace elements (calcium [Ca], zinc [Zn], copper [Cu], selenium [Se]) using an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 tests. The correlative factors on questionnaires answered by all persons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urinary Ca, Zn and serum Cu levels of the study group to b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he control group. Serum Ca and Se levels of study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ose of control group. Conclusion: There were higher urinary Zn and serum Cu concentrations in bladder carcinoma cases. Bladder carcinoma may be associated with Ca metabolic disorder, leading to higher urinary Ca and lower serum Ca. Low serum Se and smoking appear to be other risk factors for bladder carcinoma in China.

상황버섯의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분석 (Phellinus linteus; Market and Technology Trends Analysis)

  • 손은화;노현숙;박영서;손은수;강세찬;강남성;표석능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09-117
    • /
    • 2008
  • 담자균류의 버섯은 대부분 영양생장단계의 균사체와 포자를 형성하는 생식생장단계인 자실체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자연산 상황버섯은 자연계에서의 분포수가 극히 적어 그 자실체를 얻기 어려우며, 이러한 희귀성으로 인해 매우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상황버섯은 균사체 배양기술과 인공재배법이 확립된 후 농가에서 대량생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하였다. 그러나 인공재배법에 의한 상황버섯 추출물은 자연산 추출물의 항암 및 효능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자연산 자실체와 같은 수준에서의 약효를 나타내기 위한 인공배양기술과 고농도 유효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추출법이 핵심기술로 대두되었고, 인공배양된 상황버섯과 자연산의 다각도적인 약효 비교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높게 함유된 저렴한 추출물이 생산될 수 있는 기반 기술들이 기능성 음료용수, 식품 및 의약품으로 개발에 중요한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상황버섯 기능성 식품의 시장은 상황버섯의 효능에 대한 인지 증대, 웰빙열풍을 의한 건강 음료에 대한 선호도 증대 등으로 인해 향후에도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중소기업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어 마케팅 및 유통의 한계로 인해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지 않으나, 사업매력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어 대기업에서도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시장에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Trans-Cinnamaldehyde가 Lipopolysaccharide로 처리된 BV-2 cell에 미치는 항염증 기전 연구: Microarray 분석 (The Effect of Trans-cinnamaldehyde on the Gene Expression of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BV-2 Cells Using Microarray Analysis)

  • 선영재;최영곤;정미영;황세희;이제현;조정희;임사비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3-27
    • /
    • 2009
  • Objectives: Trans-cinnamaldehyde (TCA) is the main component of Cinnamomi Ramulus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CA inhibits inflammatory responses in various cell types. Inflammation-mediated neurological disorders induce the activation of macrophages such as microglia in brain, and these activated macrophages release various inflammation-related molecules, which can be neurotoxic if overproduc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gene expression profiles using gene chip microarray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BV-2 cell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CA on inflammatory responses in brain microglia. Methods: A negative control group was cultured in normal medium and a positive control group was stimulated with $1{\mu}g/ml$ in the absence of TCA. TCA group was pretreated with $10{\mu}g/ml$ before $1{\mu}g/ml$ LPS stimulation. The oligonucleotide microarray analysis was performed to obtain the expression profiles of 28,853 genes using gene chip mouse gene 1.0 ST array in this study. Results: In positive control group, 1522 probe sets were up-regulated in the condition of the cutoff value of 1.5-fold change and 341 genes with Unigene ID were retrieved. In TCA group, 590 probe sets were down-regulated from among 1522 probe sets and 33 genes with Unigene ID were retrieved, which included 6 inflammation-related genes. We found out that Id3 gene is associated with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signaling pathway and Klra8 gene is related to natural killer cell-mediated cytotoxicity pathway. Conclusions: The results mean that TCA inhibits inflammatory responses through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s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in LPS-stimulated BV-2 cells.

  • PDF

감자후작 벼에 대한 감자경엽 및 비료 사용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Fertilizers and Leaves and Stems of Irish Potato on Rice Crop Cultivated After Potato)

  • 강양순;양의석;박계연;정연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7-114
    • /
    • 1983
  • 감자 재배단지에 있어서 후작 벼에 대한 감자경엽시용방법 및 적정질소 시용량을 구명코자 경엽시용방법 3수준과 질소시용량을 4수준으로 처리하였던 바 1. 감자경엽을 토양중에 시용함으로써 Ammonia태 질소 방출량은 많았으나 토양의 환원이 심하여 수도의 초기생육은 무경엽구에 비하여 억제되었고 그 정도는 신군경엽구 > 반건경엽구 > 부숙경엽구 순으로 컸으며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더욱 현저하였다. 2. 감자경엽 시용으로 벼 식물체 경엽중의 질소와 가리함량은 무경엽구에 비하여 생육초기에는 낮았으나 후기에는 높았고 인산은 그 반대이었으며 규산은 전생육시기를 통하여 높았다. 3. 반건경엽구 및 부숙경엽구는 신군경엽구에 비해서 전생육기를 통하여 규산함량이 높았고 낮은 질소수준(N 5㎏)에서는 출수기까지 질소함량이 낮았으며 규질비는 높았으나 질소 10㎏ 이상에서는 그 차이가 경미하였다. 4. 감자경엽은 반건하거나 부숙시켜 시용함으로써 수도의 등숙비율 및 천립중이 증가되어 3-5%의 증수를 보였다. 5. 감자경엽 시용시 질소시비 적량은 구할 수 없었으나 수도안전재배상 10a당 7㎏ 수준이 적당할 것으로 보였다. 6. 감자후작벼 재배답에서는 토양중 유효인산함량은 과다했으나 가리나 규산함량은 부족되었다. 7. 수확기 경엽중 가리함량과 수량과는 정의 유의상관을 보였다.

  • PDF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Pogostemon cablin)

  • 윤승근;진수정;정현영;윤희정;도미영;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4-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 증식 억제효능과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동시에 가지는물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A549, HepG2, MCF7, HT29 등 다양한 암세포에 대하여 세포성장억제효과를 보였고, A549에 대해 특이적으로 뛰어난 사멸효과를 보였다.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A549에서의 항암 효과는 p38 - Cdc25A - Cdk - Cyclin - Rb pathway를 통해 G1 arrest 유도로 연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DPPH를 통한 free radical의 소거능 확인 결과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식세포(RAW 264.7)의 iNOS 발현을 감소시켜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항염증, 항암 후보물질 소재로 활용가능 할 뿐 아니라, 다양한 건강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지하수, 키토산 및 목초액의 엽면살포에 의한 알타리무 체내의 잔류 Procymidone 제거효과 (Effects of Foliar Treatment of Underground Water, Chitosan Solution, and Wood Vinegar Solution on Residual Procymidone Removal in Altari Radish)

  • 정순재;조미용;석운영;오주성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134
    • /
    • 2011
  • 공시 농약인 "스미렉스 수화제"를 알타리무에 살포한 다음 2시간 후에 각각 지하수, 키토산 500배액, 및 목초액 1,000배액을 골고루 엽면살포하였다. 그리고 공시재료 살포 2시간 경과 후, 1일 경과 후, 7일 경과 후 및 15일 경과 후에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알타리무 체내의 procymidone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알타리무 체내의 procymidone의 검출농도를 측정한 결과 농약만 살포한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지하수, 키토산 500배액, 및 목초액 1,000배액 처리구에서 잔류농약인 procymidone의 검출농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키토산 500배액 처리구에서는 평균치 보다 낮게 나타났다. 2. 알타리무 체내의 procymidone의 분해율을 측정한 결과 키토산 500배액 처리구 및 목초액 1,000배액 처리구에서 잔류농약인 procymidone의 분해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공시 엽면처리 재료간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대체적으로 키토산 500배액 처리구에서 분해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경과에 따른 평균 분해율은 공시재료를 엽면살포하고 7일이 경과한 후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지하수, 키토산 500배액 및 목초액 1,000배액을 엽면살포한 후 매일 달관조사를 하여 생육장해 및 비해조사를 한 결과 본 시험 농도에서는 비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삼 염류내성 계통의 선발을 위한 배배양 배지조건 (The Optimum Conditions for Screening of Salt Resistant Lines Through Embryo Culture in Panax ginseng C.A. Meyer)

  • 양덕춘;이은경;권우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1-166
    • /
    • 2003
  • 순계 분리된 인삼의 우수 계통으로부터 염류내성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배배양으로부터 유기된 인삼 개체를 염류 종류와 농도별 차이에 따라 엽병의 생장율과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N, P, K 그리고 Na와 Fe의 복합처리구에서는 10배 이상의 농도로 첨가된 처리구 모두에서 엽병의 생장과 개체의 생존율이 전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K 처리구에서만 다수의 생존개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a 10배 처리구와 Mg 20배 처리구까지는 비교적 엽병의 생장과 개체의 생존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7가지 염류 모두를 복합처리한 결과에서도 1.25와 2.5배 처리구에서만 약간의 생장을 보였을 뿐 5배 이상 처리한 고농도에서는 생장과 생존을 모두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인삼의 염류내성 계통을 선발하기 위한 종합염류 농도는 2.5배 수준으로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사료된다.

염증 반응과 수면 장애 (Inflammation and Insufficient or Disordered Sleep)

  • 이석준;김진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97-104
    • /
    • 2015
  • 수면현상은 인간의 삶의 1/3을 차지하는 중요한 생리적 현상으로 인간의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생리적 기능뿐 아니라 수면을 통한 휴식을 통하여 신체 건강을 유지하고 성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의 급격한 산업화와 정보화로 인하여 급격한 사회 생활구조의 변화를 유발하여 성인뿐 아니라 소아에서도 평균수면 시간의 감소와 다양한 스트레스 환경으로 인한 수면의 질적 저하로 인한 다양한 수면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단순히 수면 부족 또는 수면의 질적 저하뿐 아니라 수면 장애,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심혈관 질환뿐 아니라 비만, 대사증후군,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등 의 다양한 만성 질병의 발생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핵심기전으로 염증 반응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수면 현상과 다양한 수면 장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이러한 질병의 이환에 대한 기전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핵심 기전으로 알려진 염증반응의 활성화가 병태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수면 무호흡증을 낮은 수준의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더불어 비만과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연관된 질병의 이환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종설에는 수면의 질적 또는 양적 저하뿐 아니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염증성 반응의 활성화가 인간의 신체 면역 과정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 결과 및 수면 무호흡증과 비만의 잠재적 상호작용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Effects of Geiji-Bokryung-Hwan on eNOS, nNOS, Caveolin-1 and bFGF Protein Expressions and the Endothelial Cells of the Corpus Cavernosum in Hypercholesterolemic Rat

  • Kim Jae-Woo;Son Soo-Gon;Sa Eun-Ho;Kim Cherl-Ho;Park Won-Hwa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4-180
    • /
    • 2006
  • We examine the effect of Geiji-Bokryung-Hwan(GBH) on erectile function in a rat model of hypercholesterolemic erectile dysfunction. GBH, a drug preparation consisting of five herbs of Cinnamomi Ramulus (Geiji), Poria Cocos (Bokryun), Mountan Cortex Radicis (Mokdanpi), Paeoniae Radix (Jakyak), and Persicae Semen (Doin) is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that is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atherosclerosis-related disorders. In this study, 3-month-old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The 6 rats control animals were fed a normal diet and the other 18 rats were fed 1% cholesterol diet for 3 months. After 1 months, GBH was added to the drinking water of the treatment group of 12 rats but not the cholesterol only group of 6 rats. Of the 12 rats 6 received 30 mg/kg per day (group 1) and 6 received 60 mg/kg per day (group 2) of GBH. At 3 months erectile function was evaluated with cavernous nerve electrostimulation in all animals. Penile tissues were collected for electron microscopy, and to perform Western blot for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and caveolin-1. Systemic arterial press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animals that were fed the 1% cholesterol diet and the controls. Conversely erectile function was not impaired in the herbal medicine treated rats. Electron microscopy showed many caveolae with fingerlike processes in the cavernous smooth muscle and endothelial cell membranes in control and treated rats but not in the cholesterol only group of rats. Western blot showed differences among groups in protein expression for eNOS, nNOS, caveolin-1 and bFGF protein expression in penile tissue. Increased eNOS and nNOS protein expressions dy high cholesterol die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1 and group 2. Interestingly, caveolin-1 and bFGF prote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1 and 2 than in the cholesterol only and control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