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controls

검색결과 675건 처리시간 0.025초

Plasm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A and C in Patients undergoing Prostatic Biopsy and TURP for Suspected Prostatic Neoplasia

  • Singh, A.N.;Gautam, Kirti A.;Dalela, D.;Sankhwar, S.N.;Natu, S.M.;Sankhwar, P.L.;Srivastava, 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2053-2058
    • /
    • 2013
  • Background: Formation of new blood vessels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neoplasms more than 1 mm3 in volume, angiogenesis being responsible for formation of new from pre-existing blood vessel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pivotal and the best studied angiogenic factor in all human cancers. Therefore we design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ole of VEGF-A and VEGF-C in prostate cancer in comparison with BPH controls in a north Indian population. Methods: In this case-control study a total of 100 subjects were included on the basis of confirmed histopathological reports, out of which 50 were prostate cancer patients and the other 50 were BPH patients with PSA levels >2 ng/ml and abnormal digital rectal examination (DRE) findings during September 2009 to August 2011 from the Department of Urology, KGMU, Lucknow, India. Plasma levels of VEGF were determined using quantitative immunoassay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15.0 version. Results: The mean age of prostate cancer ($67.6{\pm}5.72$)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5) than BPH ($63.6{\pm}7.92$) patients. Expression of VEGF-A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in disease stage C1 than D1 or D2 and A or B (p=0.13) while the level of VEGF-A was significantly higher (p=0.04) in prostate cancer as compared to BPH subjects (PCa=13.0 pg/ml, BPH=6.8 pg/ml). Levels of VEGF-C were similar in both groups (PCa=832.6 pg/ml, BPH=823.7 pg/ml). In ROC curve, the area under curve (AUC) was 0.70 (95%CI: 0.60-0.80) and the cut-off value for which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was correctly classified (20%) was 26.0 pg/mL. Conclusion: Although VEGF-A is increased in cancer prostate patien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uld not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VEGF-C was not found to be a useful biomarker.

차광처리가 가시오갈피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Treatment 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Acanthopanax senticosus)

  • 김판기;이갑연;허성두;김선희;이은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6호
    • /
    • pp.321-326
    • /
    • 2003
  • 차광처리에 의한 가시오갈피의 생상촉진현상을 구명하기 위해서, 차광막으로 전천광을 55%, 75%, 90% 차광 처리한 조건과 노지에서 3년간 생장한 개체의 기관별 건물중을 조사하고, 광-광합성곡선과 A-Ci곡선을 통하여 광합성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75%의 차광조건에서는 지하부에 대한 지상부의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이 있었으나, 가장 높은 건물중을 나타내 생장촉진에 효율적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차광처리에 의해서 엽면적당의 엽록소 a+b 함량과 a/b가 감소하고 잎이 얇아지는 반응을 나타냈으며, 개엽 및 개체 당의 엽면적이 증가하는 등의 낮은 광도에 대한 적응반응이 확인되었다. 광합성계에서는 차광처리에 의해서 순양자수율(apparent quantum yield)이 높아지고 광보상점이 낮아졌으며, 탄소고정효율(carboxylation efficiency)과 재인산화속도가 상승하였다. 그러나 순양자수율은 차광처리구의 건물중 상승과는 대응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는 반면에 탄소고정효율은 건물중 상승과 대응된 결과를 나타내, 차광처리구의 광합성능력 증가가 탄소고정계의 활성증가에 기인함이 시사되었다. 광합성에 대한 수분이용효율은 차광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낮았으나, 모든 차광처리구가 포플러류와 같은 양수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냈다.

단삼 첨가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 특성 및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oyster mushroom according to adding of Salvia miltiorrhiza)

  • 이찬중;문지원;유영미;한주연;정종천;공원식;김영국;유영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2-265
    • /
    • 2015
  • 국내에서 재배되는 단삼의 부산물을 느타리버섯 병재배 배지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정 첨가량에 대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삼 10% 첨가된 배지에서 12.7 cm였고,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8:2)배지에서는 12.5 cm로 단삼 첨가배지와 균사생장이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단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8:2) 배지 보다 균사생장이 느렸다. 자실체 수량은 대조구가 136.6 g/850 ml였고, 단삼 5 g/병 첨가시 139.5 g/850 ml으로 가장 높았으며, 단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은 급격히 낮아졌다. 갓의 직경과 대의 두께는 대조구보다 단삼 첨가에서 높았으며, 갓의 두께는 단삼 30 g 첨가에서 가장 높았고, 대의 길이는 단삼 20 g과 30 g에서 가장 높았다. 대와 갓의 경도는 단삼 40 g 첨가까지는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의 L값은 단삼 20 g과 50 g에서 가장 높았고, 갓의 L값은 단삼 30 g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Regulatory effects of Seogakjihwang-tang on Cytokines and Growth Factor Production in PBMC from the Patient with Cerebral infarction under Consciousness Disorders

  • Kim Yo Han;Sung Kang Keyng;Lee Kwang Ro;Lee Sang Kwan;Cheong Sang Su;Kang Sei Young;Lee So You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29-836
    • /
    • 2003
  • Seogakjihwang-tang (SJT) was widely used to treat patients suffering from cerebral infarction. But scientific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very littl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JT on the production of various cytokines in the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CI). We investigated interleukin (IL)-4, IL-10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1 in the sera of 27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under consciousness disorders and 10 normal controls using an originally devised sensitive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e found that plasma levels of IL-4 were slightly elevated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whereas plasma levels of IL-10 (P<0.001) and TGF-1 were reduce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obtained from the patient with CI were cultured for 24 h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popolysaccharide (LPS) or phytohaemagglutinin (PHA). The amount of IL-4, IL-10 and TGF-1, in culture supernata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PS or PHA treated cells compared to unstimulated cells (P<0.05), We also show that increased cytokines IL-4, and IL-10 level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SJT in a dose-dependent manner. Maximal inhibition rate of IL-4 and IL-10 production by SJT was 45.63.3% and 614.7% for LPS-stimulated cell and 27.31.2% and 83.62% for PHA-stimulated cells, respectively (P<0.05). On the other hand, SJ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PS or PHA-induced TGF-1 production (P<0.05). These data suggest that SJT has a regulatory effect on the cytokines production, which might explain its beneficial effect in the treatment of CI.

Molecular Signatures of Sinus Node Dysfunction Induce Structural Remodeling in the Right Atrial Tissue

  • Roh, Seung-Young;Kim, Ji Yeon;Cha, Hyo Kyeong;Lim, Hye Young;Park, Youngran;Lee, Kwang-No;Shim, Jaemin;Choi, Jong-Il;Kim, Young-Hoon;Son, Gi 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4호
    • /
    • pp.408-418
    • /
    • 2020
  • The sinus node (SN) is located at the apex of the cardiac conduction system, and SN dysfunction (SND)-characterized by electrical remodeling-is generally attributed to idiopathic fibrosis or ischemic injuries in the SN. SND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orders, including syncope, heart failure, and atrial arrhythmias, particularly atrial fibrillation. One of the histological SND hallmarks is degenerative atrial remodeling that is associated with conduction abnormalities and increased right atrial refractoriness. Although SND is frequently accompanied by increased fibrosis in the right atrium (RA), its molecular basis still remains elusive.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SND can induce significant molecular changes that account for the structural remodeling of RA. Towards this, we employed a rabbit model of experimental SND, and then compared the genome-wide RNA expression profiles in RA between SND-induced rabbits and sham-operated controls to identify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transcripts. The accompanying gene enrichment analysis revealed extensive pro-fibrotic changes within 7 days after the SN ablation, including activ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signaling and alterations in the levels of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and their regulators. Importantly, our findings suggest that periostin, a matricellular factor that regulates the development of cardiac tissue, might play a key role in mediating TGF-β-signaling-induced aberrant atrial remodeling.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molecular signatures underlying SND-induced atrial remodeling, and indicates that periostin can be potentially used in the diagnosis of fibroproliferative cardiac dysfunctions.

발병 조건에 따른 살균제들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Fungicides on Chinese Cabbage Clubroot under Several Conditions)

  • 엄민용;조수정;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55-160
    • /
    • 2011
  •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효율적인 살균 활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배추 품종, 기주 식물의 생육 시기, 접종원 농도, 토양 종류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살균제 fluazinam, ethaboxam 및 cyazofamid의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온실에서 실험하였다. 배추의 생육 시기에 따른 살균제들의 방제효과는 파종 7일 및 14일 유묘에서는 21일 유묘보다 더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토양종류에 따른 살균제의 방제효과는 원예용 상토보다 혼합토양에서 더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무처리구의 뿌리혹병 발생은 배추가 커질수록 증가하였으며, 혼합토양보다 원예용 상토에서 병 발생이 더 많았다. 그러나 배추품종에 따른 살균제들의 방제효과 차이는 거의 없었다. 한편 P. brassicae 포자 농도가 100배 증가하여도 무처리구의 뿌리혹병 발생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살균제들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는 크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살균제 fluazinam, ethaboxam 및 cyazofamid는 토양 종류, 배추 생육시기 및 접종원 농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라 배추 뿌리혹병에 대하여 다양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이들 중 포자 농도가 살균제의 방제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었다.

화학적 변이에 대한 Cinnamaldehyde의 항돌연변이 (The Mechanism of Antimutagenic Effect of Cinnamaldehyde on Chemical Mutagenesis)

  • 송근섭;한상배;최동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07-413
    • /
    • 1997
  • Cinnamaldehyde의 항돌연변이 작용기구를 밝히기 위하여 E. coli B/r 및 K-12 계열의 다양한 DNA 수복 결손주를 이용하여 4-NQO 및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 효과 및 생존율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SOS response가 항상 발현되는 균주인 GW1107의 $\beta$-Gal 활성과 41$^{\circ}C$에서 $\beta$-Gal을 합성하는 균주인 GW1060 및 GW1103의 $\beta$-Gal 활성에도 cinnamaldehyde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cinnamaldeyde가 LexA와 같은 repressor로서 작용하지 못함은 물론 SOS response를 positive하게 조절하는 RecA 기능에 대하여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또한 Trp+ 복귀돌연변이주의생육 및 세포생장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NQO 처리된 균주(WP2s, ZA159 및 TK603)에서 cinnamaldehyde의 첨가로 돌연변이율이 감소되었음\ulcorner 불구하고 생존율은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절제 수복기능이 결여되지 않은 WP2 및 lexA 유전자 결손주(CM561 및 CM611)에서는 그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보적 DNA의 gap을 연결시켜주는 polymerase I이 결여된 균주인 WP67에서도 생존율이 증가되지 않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innamaldehyde는 오류 없는 재조합 수복계를 향상시킴으로써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Prostate Cancer Risk in Relation to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3 (IGFBP3) Gene: a Meta-analysis

  • Mao, Ye-Qing;Xu, Xin;Lin, Yi-Wei;Chen, Hong;Hu, Zheng-Hui;Xu, Xiang-Lai;Zhu, Yi;Wu, Jian;Zheng, Xiang-Yi;Qin, Jie;Xie, Li-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299-6303
    • /
    • 2012
  •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3 (IGFBP3) has been identified as a putative tumor suppressor with multifunctional roles in the IGF axis. Recently, there have been a growing body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IGFBP3 A-202C polymorphism, circulating IGFBP3 and prostate cancer risk, but their outcomes varied leading to controversy. Henc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meta-analysis covering all eligible studies to shed a light on the association of IGFBP3 A-202C and cancer risk. Finally, we included a total of 11 relevant articles between 2003 and 2010 covering 14 case-control studies including 9,238 cases and 8,741 controls for our analysis. Our results showed that A-202C was a marginal risk factor of prostate cancer (allele contrast: OR=1.08, 95% CI :1.01-1.16; dominant model: OR=1.11, 95% CI :1.01-1.22; heterozygote codominant model: OR=1.11, 95% CI :1.03-1.18; homozygote contrast: OR=1.19, 95% CI :1.03-1.37). Stratific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ample size and control source were two major heterogeneous meta-factors especially in the recessive model (source: Population-based control group :p=0.30,I2=16.7%, Hospital-based control group: p=0.20, I2=30.3%; sample size: Small: p=0.22,I2= 32.8%, Medium: p=0.09,I2=48%, Large p=0.60,I2=0.0%); However, contrary to previous findings, no significance was found in racial subgroups. No significant publication bias was found in our analysis. Considering the robustness of the results and the discrepancy among some studies, there might be some unsolved confounding factors, and further more critical large studies are needed for confirmation.

Thyroid hormone 처리에 의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착저, 생존 및 성장 (Effects of Thyroid Hormones on Settlement, Survival and Growth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arvae)

  • 방인철;김윤;김경길;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3-140
    • /
    • 1995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높은 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thyroid hormone을 이용하여 착저를 유도하였다. 적정 처리 시기를 알기 위하여 발달 단계가 서로 다른 변태 전 단계(pre-metamorphic stage)와 초기 변태 단계(early metamorphic stage)의 자어를 이용하였고, triiodothyronine $(T_3)$ 및 thyroxine $(T_4)$두 종류의 thyroid hormone을 0.02,0.04,0.08 및 0.16ppm의 다양한 농도로 침지 처리하였다. 변태 전 단계의 자어에 있어 착저가 완료되는 시기는 0.02 ppm $T_3$$T_4$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2일 단축되었고, 농도의 증가에 따라 그 시기가 짧아져서 가장 높은 농도인 0.16 ppm $T_3$ 처리군은 7일이 단축되었다. 변태 초기 단계에서는 각각 4일 및 7일 단축되었다. 한편 호르몬 종류에 따른 착저 유도 효과는 $T_4$보다 $T_3$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은 변태 전 단계 실험군 중 대조군이 $90.7\%,\;T_3$ 처리군이 $85.6\~73.6\%,\;T_4$ 처리군이 $89.7\~80.7\%$로 호르몬 처리군이 다소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 초기 변태 단계 실험군에 있어서는 대조군이 $96.0\%,\;T_3$$T_4$ 처리군이 $92.7\~99.3\%$로 큰 차이가 없었다. 성장에 있어서 호르몬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약간 낮았으나 0.02 ppm $T_4$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슷하였다.

  • PDF

인간 전립선 암세포인 TSU-Pr1에서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발과 Bcl-2 단백질의 발현억제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and Depression of Bcl-2 Protein Levels by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in Human Prostate Cancer)

  • 오윤신;김은지;이상곤;정차권;강일준;신현경;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26-1133
    • /
    • 2002
  • CLA 이성체 mixture와 trans-10,cis-12 CLA는 살아있는 TSU-Prl 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반면 LA와 cis-9,trans-11 CLA는 세포 수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CLA 이성체 mixture와 tran-10, cis-12 CLA는 apoptotic cell death를 유도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특히 trans-10,cis-12 CLA는 Bcl-2/Bax 비율을 감소시켰다. Trans-10,cis-12 CLA에 의해 Bax와 Bcl-2 mRNA의 수준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이 지방산에 의한 Bcl-2의 변화는 mRNA 전사 후에 일어나는 단계에서 일어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로써 CLA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는 부분적으로 TSU-Prl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