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stability

검색결과 1,522건 처리시간 0.032초

당용액비중조절에 의한 보통육과 혈합육의 분리에 관한 연구 (Separation of Dark and Ordinary Muscle with Specific Gravity Controlled Sugar Solutions)

  • 김우준;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5-190
    • /
    • 1982
  • 다획성 어종인 고등어, 정어리, 말쥐치 등을 연제품 기타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처리를 위한 기계처리가 필요하나 적색육조에 많은 혈합육의 분리가 어려워 품질에 문제점이 있다. 기계처리적정에서 보통육과 혈합육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당용액의 비중차에 의한 분리유과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육과 혈합육을 분리할 수 있는 유효비중한계는 고등어의 경우 $1.067\sim1.072$, 정어리의 경우$1.02\sim1.070$ 말쥐치의 경우 $1.073\sim1.077$였다. (2) 육립자의 크기에 따른 분리율은 chopper 세공판의 공경이 0.2cm일 때에 $90\%$였고 0.3cm일 때에 $60\%$였다. (3) 육립자의 밀도에 따른 분리효과는 당용액에서의 침강력 높이가 1.8cm정도, 즉 육입자 밀도 $1g/cm^2$일 때 분리율이 $92\%$였고, 즉 $5g/cm^2$일 매에는 $59\%$로 낮았다. (4) 자당용액에서는 부상분리층이 25분 경과하여도 침강하지 않았으나 포도당액에서는 5분후부터 서서히 침강하였다. (5)당용액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서 유지의 분리율 높았으며 유효비중한계내에서도 $90\%$정도의 지방을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Feeding Rancid Rice Bran on Growth Performance and Chicken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s

  • Chae, B.J.;Lee, K.H.;Lee, S.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266-273
    • /
    • 2002
  • A total of 225 day-old broiler chicks (43.08 g initial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for a 6-week feeding trial. The treatments were 1) Control (defatted rice bran; DFRB), 2) fresh rice bran (FRB) and 3) rancid rice bran (RRB). Rice brans were intentionally spoiled by two degrees of rancidity by the values of free fatty acids (FFA): 7.6% (FRB) and 16.3% (RRB). Diets were prepared on an isonutrient basis, and defatted or rancid rice brans were included 5 and 10% for starter (0-3 week) and finisher (3-6 week),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six chicks per treatment were sacrificed, and thigh meats were ground and stored at $1^{\circ}C$ f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peroxide value (POV) analyses. For a digestibility, 48 growing chicks (4 weeks old) were employed in cages (3 replicates/treatment, 2 birds/cag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FRB, RRB, pelleted and extruded rice bran. Some of the FRB were pelleted ($70^{\circ}C$) or extruded ($110^{\circ}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performance during the starter period, but chicks fed a diet containing DFRB grew faster (p<0.05) with increased feed intake (p<0.05) than those fed diets containing rice brans, FRB or RRB, during the finisher period. Feed conversion ratio in the RRB was inferior (p<0.05) to the DFRB. Between rice bran groups, weight gain was higher (pco.os) in FRB than in RRB during finisher period. There was a similar trend in growth performance of chicks for the overall period (0-6 week) as the finisher period. Dry matter and energy digestibilities were higher (p<0.05) in extruded than in RRB group. Protein digestibility was improved (p<0.05) when rice bran was extruded, but not pelleted. The chicken meats from RRB showed higher (p<0.05) TBARS than those from FRB during storage for 4 weeks at $1^{\circ}C$. In conclusion, it would appear that feeding rancid rice bran gave nega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lipid stability of meat in broiler chicks.

지리산(智異山) 국립공원(國立公園) 도로(道路)비탈면의 식생(植生)과 경관분석(景觀分析)에 관한 연구(硏究)(II) -경관분석(景觀分析)- (A Study on the Analysis of Vegetation, Spatial Image and Visual Quality of Roadside Slopes in Chi-Ri Mt. National Park(II) -Landscape Analysis-)

  • 서병수;김세천;박종민;이창헌;이규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265-278
    • /
    • 1991
  • 지리산국립공원(智異山國立公園)의 도로(道路) 비탈면을 대상(對象)으로 물리적(物理的) 환경(環境)이 지닌 시각적(視覺的) 질(質)을 계량적(計量的) 접근방법(接近方法)으로 분석하여 합리적인 계획(計劃), 설계(設計) 및 보전관리(保全管理)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도로(道路) 비탈면 구성요소의 물리량을 Mesh 분석법(分析法)에 의하여 측정(測定)하였다 또한 심리량 분석(分析)을 위해 S.D Scale을 측정하고 인지분석 Algorithm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環境)의 공간(空間) 이미지 구조(構造)를 밝혔으며,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를 측정하여 결정인자(決定因子) 추출(抽出)과 각(各) 인자(因子) 상호간(相互間) 중요성(重要性)을 규명하였다. Mesh 분석(分析)에 의한 시각량조사(視覺量調査) 결과(結果), 각(各) 지점 공(共)히 이지(裡地)와 암석 비탈면, seed spray 등에 의한 지피식생지(池被植生地), 인공식생지등(人工植生地等)이 상대적으로 높은 측정치를 보였다. 국립공원(國立公園) 도로비탈면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變因)은 종합평가(綜合評價) 차원(次元), 공간적(空間的) 차원(次元), 호감성(好感性) 차원(次元), 물리적(物理的) 차원(次元), 개방적(開放的) 차원(次元) 및 품격(品格) 차원(次元) 등 6개 인자군(因子群)으로 분석되었으며, 공간적 차원, 물리적 차원 및 개방성 차원(次元)의 인자가 공간 이미지를 대표하는 인자군으로 나타났다. 비탈면 경관(景觀)에 대한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를 결정(決定)짓는 주요(主要) 설명변수는 비탈면내 구조물의 유지관리정도와 비탈면내의 주변 경관과의 어울림과 조화(調和)로움, 비탈면내 인공식생(人工植生)과 구조물(構造物) 등(等)으로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 결정(決定)의 주요(主要)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 PDF

선택취수설비 굴착시 지하수 유입 방지를 위한 그라우팅 효과의 모델링 예측 및 평가 (Forecasting and Assessment of the Grouting Effect, using a Numerical Model, to Prevent Groundwater Inflow during Excavation of a Vertical Shaft for a Selective Intake Structure)

  • 김규범;김완수;박정훈;손영철;김진우
    • 지질공학
    • /
    • 제23권3호
    • /
    • pp.227-234
    • /
    • 2013
  • 대규모 저수지에서 상수원 선택취수설비의 수직구 굴착시 저수지 및 주변 지층으로부터의 지하수 유입이 발생할 수 있어 그라우팅을 통한 차수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우안의 선택취수설비 공사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 유입량을 그라우팅 실시 여부에 따라 모사하고 시공 중의 실제 유입량과 비교하였다. 수직구에 그라우팅이 시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445~754 $m^3/d$, 그라우팅이 시공된 경우에는 58~96 $m^3/d$의 지하수가 수직구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실제 그라우팅을 거친 후 굴착 과정에서 배출된 지하수량을 측정한 결과 30~100 $m^3/d$의 범위를 보여 예측 수량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구의 작업 안정성 확보 및 원활한 공정을 위해서는 수치모델을 활용한 그라우팅 효과의 사전 평가가 필요하며 이를 근거로 그라우팅 시공을 선행한 후 굴착이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실내동결시스템을 이용한 노상토의 동상 특성 (The Frost Heaving Characteristics of Subgrade Soils Using Laboratory Freezing System)

  • 신은철;류병현;박정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71-79
    • /
    • 2010
  • 겨울에는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으로 한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여 1월 평균기온이 $-6{\sim}-7^{\circ}C$의 영하의 온도로 낮아져 지반동결시 수분이동으로 동상현상이 발생하여 도로의 불균형 동결팽창을 초래하며, 결국 포장체를 파손시킨다. 동상발생시 토립자는 모관력에 의해 지하수를 흡수하여 아이스렌즈를 형성하며, 이 모관 흡수력은 토립자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도로는 다양한 재료와 단면으로 구성된 구조물이기 때문에 환경성과 재료 물성뿐만 아니라 포장체 각 층의 구조적 적정성 또는 지지력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기존 동상방지층 설계법에 따르면, 동상방지층은 포장체의 구조적 적정성과는 무관하게 온도 조건에 따른 동결깊이에 따라 일률적으로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동결깊이를 포장구조설계에 적용함으로써 포장의 과다설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로 동상방지층의 효용성 검증 및 설치기준 확립을 위해 실내동결시스템을 활용하여 도로 노상토의 동상 특성에 대한 민감성을 판별, 도로건설 현장 노상토에 대한 역학적 특성과 실내 동결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외부 동결온도의 지속 조건에 대한 시료의 온도변화, 동상팽창압, 동상팽창량, 부동수분 등의 결과값을 통하여 동결 과정에 따른 지반공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화강풍화토 지반에서 배수조건에 따른 쉴드터널 라이닝의 거동연구를 위한 모형실험 (A Physical Model Test on the Behavior of Shield-tunnel Lining According to Drainage Conditions in Weathered Granite Soil)

  • 최규문;윤찬영;마상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71-82
    • /
    • 2015
  • 최근 시민편의를 위한 도심지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으로 인하여 민원최소화와 시공안정성을 고려한 쉴드터널 시공이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쉴드터널은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는 비배수조건으로 가정하여 설계되지만 현장에서는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배출하는 배수터널처럼 운영되므로 설계 시 배수조건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전역에 넓게 분포하고 가장 많이 이용되는 화강풍화토 지반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본 논문은 배수 및 응력조건을 조절할 수 있고 지하수면 아래 화강풍화토 지반에 위치한 터널을 모사할 수 있는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전응력, 간극수압 및 배수내관의 유입유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배수조건 시 간극수압 감소로 인하여 전응력이 비배수조건보다 작게 나타났고, 유입유량은 재하응력에 비례하였다. 결과적으로 쉴드터널 설계 시 배수조건이 고려된다면 라이닝 작용 응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경제성 높은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만금 만경해상관측타워의 진동계측자료를 이용한 동특성 분석과 패턴서치 방법에 의한 수치해석모델 개선 (Identification of Dynamic Characteristics Using Vibration Measurement Data of Saemangeum Mangyeong Offshore Observation Tower and Numerical Model Updating by Pattern Search Method)

  • 박상민;이진학;조철호;박진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285-295
    • /
    • 2020
  • 해상에 설치된 관측타워에 미치는 환경 하중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동특성 파악은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에 중요한 인자로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새만금 방조제 인근에 위치한 만경해상관측타워(이하 만경타워) 구조물에 대한 현장계측실험을 통하여 동특성을 분석하고 수치해석모델을 구성하였다. 계측실험 결과, 조위가 하강할수록 고유주파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동일한 모드가 2개의 주파수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세굴에 의하여 파일과 지반이 접촉 시에 고유주파수가 일부 증가하는 현상으로 판단되었다. 수치해석을 위하여 구조물의 상부 질량, 가상고정점, 세굴 깊이 및 유체 영향을 고려한 부가 질량 등을 만경타워의 구조적 특성으로 반영하였으며, 추정된 고유주파수 및 패턴서치 알고리즘으로부터 수치해석모델에 대한 모델 개선 작업을 수행하였다. 개선된 해석모델로부터 추후 만경타워에 대한 안정성 검토 측면에서의 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군 전투조종사 비행복 착용특성 및 만족도 조사 (Research on Actual Usage and Satisfaction of ROKAF Fighter Pilot's Flight Duty Uniform)

  • 이아람;남윤자;홍유화;임소정;임채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69-684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fighter pilot's usage and satisfaction of a flight duty uniform (FDU).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4 to March 2015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questionnaires. FGI collected qualitative data about duty and requirements; subsequently, surveys were performed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about wear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with FDU. The results of the FGI and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Type of pilot duty was divided into two parts, flight duty and ground dut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duties as well as factors related to survival when developing FDU.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and wearing size, the basic size for apparel grading should be changed from actual size, 'M95XL' to 'M100L'.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whole sizing system. Further studies about body form changes in pilot's movement are needed to improve mobility because the respondents perceived some restrictions at several body parts in movement with the coverall uniform. Summer FDU had a low satisfaction level in vent hole function and appearance. Furthermore, protection problems in the vent hole were also an issue. Making a seasonal classification of FDU fabric will be more effective than a vent hole to increase a pilot's thermal satisfaction. Respondents had a passive stance towards FDU reform (including pocket change); therefore, a new FDU design strategy should concentrate on improving current FDU functions like mobility (or comfort) rather than dramatic changes. Pilots complained about the quality stability of FDU; therefore, quality control by military administration as well as concrete and clear design instructions by the developer should be attained together.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FDU.

일광단층 인근 화산암 암반사면의 단열계 기하 분석 및 암반 분류 수정안 제시 (Geometric Analysis of Fracture System and Suggestion of a Modified RMR on Volcanic Rocks in the Vicinity of Ilgwang Fault)

  • 장태우;이현우;채병곤;서용석;조용찬
    • 지질공학
    • /
    • 제17권3호
    • /
    • pp.483-494
    • /
    • 2007
  • 본 연구는 대단층이 발달하는 화산암 분포지역에서 암반 절취사면을 대상으로 단열의 발달특성과 이에 따른 암반분류 수정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부산-울산 고속도로 건설 현장 중 해운대-기장 사이의 일광단층에 가까운 도로 절취사면 노두에서 단열계의 특성이 조사 분석되었다. 단열간격 분포의 경우 신장단열은 대수정규 분포를 보여주고 전단단열은 음의 지수 분포를 보여준다. 단열길이 누적빈도 분포 그림에서 중앙의 직선 구간이 1지점 -1.13, 2지점 -1.01, 3지점 -1.52의 지수를 가지며 멱법칙 스케일링을 지시한다. 각 지점에서 단열의 간격 및 밀도, 단열 간 교차점의 수 등을 분석하여 판단해 볼 때 암반의 안정성 및 강도는 1지점이 가장 낮고 2지점이 가장 높다. 한편, 각 지점에서 서로 연결된 단열의 최대 클러스터로 평가할 때 유체 이동의 능률은 3지점이 가장 높고 1지점이 가장 낮다. 이는 3지점이 상대적으로 단열의 길이가 긴 것들이 많으며 이들이 서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최대 클러스터가 높은 비율로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현장조사 자료를 토대로 응용통계기법을 이용하여 RMR 분류의 항목별 배점을 조정한 결과에 의하면, 대단층이 발달하는 화산암에서는 기존 RMR 분류 항목별 배점에 비해 현저히 다른 수정된 RMR 배점을 설정함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무결암 강도는 18, RQD는 61, 불연속면 간격 2, 불연속면 조건 2, 그리고 지하수 17의 배점이 나타났다.

보강압성토 옹벽의 거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Geosynthetics Reinforced Retaining Earth Wall)

  • 노태길;이송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9-37
    • /
    • 2012
  • 본 논문은 보강압성토 옹벽에 대하여 축소모형 실내실험을 통한 거동특성을 파악하고, 보강재의 보강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보강압성토 옹벽의 거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세 종류 전면경사에 대하여 재하하중 단계별 벽체의 수평변위와 이에 따른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보강압성토 옹벽 구성요소인 격자망, 장섬유 부직포, 배수블럭을 각기 조합하여 설치 후,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 보강압성토 옹벽의 경우, 최대수평변위가 전면경사 1:0.3은 높이 0.58H 위치에서 8.4mm 발생하였고, 전면경사 1:0.6은 높이 0.58H 위치에서 3.8mm, 전면경사 1:1.0은 높이 0.87H 위치에서 3.6mm 발생하였다. 보강압성토 옹벽의 최대 수평변위량이 원지반 사면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약 83.3% 저감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강압성토 옹벽의 배수블럭 설치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시공현장의 단면을 모델링하여 침투해석 및 한계평형해석을 수행하였다. 강우강도 15mm/hr 조건의 해석결과에서 배수블럭의 설치에 따라 지하수위가 저하하는 효과와 사면안전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비교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