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etric Analysis of Fracture System and Suggestion of a Modified RMR on Volcanic Rocks in the Vicinity of Ilgwang Fault

일광단층 인근 화산암 암반사면의 단열계 기하 분석 및 암반 분류 수정안 제시

  • Chang, Tae-Woo (Department of Ge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eon-Woo (Sanha ENC Co.) ;
  • Chae, Byung-Gon (Geological & Environ. Hazards Div., Korea Inst. of Geoscience & Mineral Res.) ;
  • Seo, Yong-Seok (Dep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Yong-Chan (Geological & Environ. Hazards Div., Korea Inst. of Geoscience & Mineral Res.)
  • 장태우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 이현우 ((주)산하이앤씨) ;
  • 채병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 서용석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조용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roperties of fracture system on road-cut slopes along the Busan-Ulsan express way under construction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racture spacing distributions show log-normal form with extension fractures and negative exponential form with shear fractures. Straight line segments in log-log plots of cumulative fracture length indicate a power-law scaling with exponents of -1.13 in site 1, -1.01 in site 2 and -1.52 in site 3. It is likely that the stability and strength of rock mass are the lowest in site 1 as judged from the analyses of spacing, density and inter-section of fractures in three sites. In contrast, the highest efficiency of the fracture network for conducting fluid flow is seen in site 3 where the largest cluster occupies 73% through the window map. Based on the field survey data, this study modified weighting values of the RMR system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 suggests a modified weighting values of the RMR parameters as follows; 18 for the intact strength of rock; 61 for RQD; 2 for spacing of discontinuities; 2 for the condition of discontinuities; and 17 for ground water.

본 연구는 대단층이 발달하는 화산암 분포지역에서 암반 절취사면을 대상으로 단열의 발달특성과 이에 따른 암반분류 수정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부산-울산 고속도로 건설 현장 중 해운대-기장 사이의 일광단층에 가까운 도로 절취사면 노두에서 단열계의 특성이 조사 분석되었다. 단열간격 분포의 경우 신장단열은 대수정규 분포를 보여주고 전단단열은 음의 지수 분포를 보여준다. 단열길이 누적빈도 분포 그림에서 중앙의 직선 구간이 1지점 -1.13, 2지점 -1.01, 3지점 -1.52의 지수를 가지며 멱법칙 스케일링을 지시한다. 각 지점에서 단열의 간격 및 밀도, 단열 간 교차점의 수 등을 분석하여 판단해 볼 때 암반의 안정성 및 강도는 1지점이 가장 낮고 2지점이 가장 높다. 한편, 각 지점에서 서로 연결된 단열의 최대 클러스터로 평가할 때 유체 이동의 능률은 3지점이 가장 높고 1지점이 가장 낮다. 이는 3지점이 상대적으로 단열의 길이가 긴 것들이 많으며 이들이 서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최대 클러스터가 높은 비율로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현장조사 자료를 토대로 응용통계기법을 이용하여 RMR 분류의 항목별 배점을 조정한 결과에 의하면, 대단층이 발달하는 화산암에서는 기존 RMR 분류 항목별 배점에 비해 현저히 다른 수정된 RMR 배점을 설정함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무결암 강도는 18, RQD는 61, 불연속면 간격 2, 불연속면 조건 2, 그리고 지하수 17의 배점이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치무, 이상만, 김영기, 김상욱, 김형식, 1978, 한국지질도 동래.월내도폭 (1 : 50,000), 자원개발연구소
  2. 채병곤, 김광식, 조용찬, 서용석, 2006, 암반사면을 대상으로 다변량 수량화 기법을 응용한 RMR 인자의 수정 가중치 제안, 지질공학, 16, 85-96
  3. Cladouhos, T. T. and Marret, R., 1996, Are fault growth and linkage models consistent with power-law distributions of fault lengths?, J. Struct. Geol, 18, 281- 293 https://doi.org/10.1016/S0191-8141(96)80050-2
  4. Dunne, W. M. and Hancock, P. L., 1994, Palaeostress analysis of small-scale brittle structures, In: Continental deformation(edited by Hancock, P. L.), Pergamon press, 101-120
  5. Flodin, E. A. and Aydin, A., 2004, Evolution of a strike-slip fault network, Valley of Fire State Park, southern Nevada. Geol. Soc. Am. Bull., 116, 42-59 https://doi.org/10.1130/B25282.1
  6. Hancock, P. L., 1985, Brittle microtectonics: principles and practice, J. Struct. Geol., 7, 437-457 https://doi.org/10.1016/0191-8141(85)90048-3
  7. Mansfield and Cartwright, 2001, Fault growth by linkage: observations and implications from analogue models, J. Struct. Geol., 23, 745-763 https://doi.org/10.1016/S0191-8141(00)00134-6
  8. Odling, N., 1997, Scaling and connectivity of joint system in sandstones from Western Norway, J. Struct. Geol., 19, 1257-1271 https://doi.org/10.1016/S0191-8141(97)00041-2
  9. Priest, S. D. and Hudson. J. A., 1976, Discontinuity spacings in rock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13, 135-148
  10. Ramsay, J. G. and Huber, M. I., 1987, The techniques of modern structural geology, Academic Press, 700p
  11. Rives, T., Razack, M., Petit, J. P. and Rawnsley, K. D., 1992, Joint spacing: analogue and numerical simulations, J. Struct. Geol., 14, 925-937 https://doi.org/10.1016/0191-8141(92)90024-Q
  12. Swanson, M. T., 2006, Late Paleozoic strike-slip faults and related vein array of Cape Elizabeth, Maine, J. Struct. Geol., 28, 456-473 https://doi.org/10.1016/j.jsg.2005.12.009
  13. Twiss, R. J. and Moore, E. M., 1992, Structural geology, W. H. Freeman and Company, 53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