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ss beta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Influences of Enzyme Complex Supplementation on Growth, Ileal and Apparent Fecal Digestibility and Morphology of Small Intestine in Pigs

  • Kim, B.G.;Tian, J.Z.;Lim, J.S.;Kil, D.Y.;Jeon, H.Y.;Chung, Y.K.;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2호
    • /
    • pp.1729-1735
    • /
    • 2004
  • A total of 140 weaning pig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gestive enzyme supplementation to corn-soybean meal diets on growth performance, physiological changes of small intestine, microorganisms and pH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wo kinds of enzyme complex (A, B)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Pigs were allotted in a completely random design (CRD) to five replicates with four pigs per pen. Diets and water were provided for ad libitum consumption. Treatments included 1) Control: without enzyme supplementation, 2) Enzyme A 0.05%, 3) Enzyme A 0.10%, 4) Enzyme A 0.15%, 5) Enzyme B 0.05%, 6) Enzyme B 0.10%, 7) Enzyme B 0.15% in the diets. A total of 24 crossbred barrows 25.78${\pm}$0.55 kg BW fitted with simple ileal T-cannula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the enzyme addition on the nutrient digstibility. Pigs were allotted 4 treatments (No enzyme, enzyme A 0.05%, enzyme A 0.1%, enzyme A 0.15%), 6 replicates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 design (CRD). Another digestibility trial was followed for enzyme complex B. Twenty pigs, average 31.92${\pm}$0.37 kg BW, fitted with simple ileal T-cannulas for digestibility trial. Neither enzyme A nor enzyme B affected on fecal or ileal digestibility of dry matter, gross energy,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p>0.05). The apparent fecal digestibilities of all the nutrients were higher in total feces collection method than in indirect method. At the end of feeding trial, 21 pigs were slaughtered for examin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mall intestine and the concentr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ileum and the col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orphology and pH of ileum and colon were not affected by the either enzyme complex supplementation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nzyme complex A and enzyme complex B were of no benefit to early-weaned pigs when corn-soybean meal based diet was provided.

Comparative energy content and amino acid digestibility of barley obtained from diverse sources fed to growing pigs

  • Wang, Hong Liang;Shi, Meng;Xu, Xiao;Ma, Xiao Kang;Liu, Ling;Piao, Xiang Sh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99-1005
    • /
    • 2017
  • Objectiv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as well as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crude protein (CP) and amino acids (AA) in barley grains obtained from Australia, France or Canada. Methods: In Exp. 1, 18 growing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31.5{\pm}3.2kg$) were individually placed in stainless-steel metabolism crates ($1.4{\times}0.7{\times}0.6m$) and randomly allotted to 1 of 3 test diets. In Exp. 2, eight crossbred pigs ($30.9{\pm}1.8kg$) were allotted to a replicate $3{\times}4$ Youden Square designed experiment with three periods and four diets. Two pigs received each diet during each test period. The diets included one nitrogen-free diet and three test diets. Results: The relative amounts of gross energy (GE), CP, and all AA in the Canadian barley were higher than those in Australian and French barley while higher concentrations of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total dietary fiber, insoluble dietary fiber and ${\beta}-glucan$ as well as lower concentrations of GE and ether extract were observed in the French barley compared with the other two barley sources. The DE and ME as well as the SID of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and phenylalanine in Canadian barley were higher (p<0.05) than those in French barley but did not differ from Australian barley. Conclusion: Differenc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energy content and the SID and AID of AA were observed among barley sources obtained from three countries. The feeding value of barley from Canada and Australia was superior to barley obtained from France which is important information in developing feeding systems for growing pigs where imported grains are used.

한국원자력 연구소 실증소각시설에서의 저준위방사성폐기물 시험소각 (Trial Burns of Low-Level Radioactive Wastes the Demonstration-Scale Incineration Plant at KAERI)

  • Yang, Hee-Chul;Kim, In-Tae;Kim, Jeong-Guk;Kim, Joon-Hyung;Seo, Yong-Chi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5호
    • /
    • pp.767-774
    • /
    • 1995
  • 방사성 동위원소 추적자를 포함한 모의폐기물의 시험소각을 통하여 $^{60}$Co, $^{54}$Mn 및 $^{137}$Cs의 소각공정에서의 거동을 고찰하였다. 공정 내에서 비휘발성 방사성 핵종들인 $^{60}$Co 및 $^{54}$Mn의 거동은 입자상 물질의 거동과 유사하였다. $^{60}$Co 및 $^{54}$Mn의 제염계수(DF) 는 각각 4.7$\times$$10^{5}$ 및 6.2$\times$$10^{5}$ 이었다. 반휘발성인 핵종의 거동은 소각온도의 의존성을 보여주었다. 반휘발성 $^{137}$Cs의 제염계수는 85$0^{\circ}C$$700^{\circ}C$ 의 다른 소각온도에서 각각 2.8$\times$$10^3$, 2.6$\times$$10^4$이었다. 원자력 발전소(NPS) 고리 3, 4호 기에서 운반된 건조 방사성폐기물(DAW)에 대한 시험소각도 실시하였다. 폐기물에 포함된 총 베타 /감마 방사능에 대한 제염계수가 1.1$\times$$10^{5}$ 이었다. 앞의 추적자 시험의 결과 및 건조 고체폐기물 내 핵종분포에 기준을 둔 예상제염계수보다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굴뚝에서의 배출농도는 0.019 Bq /N $m^3$으로 기체상 배출물에 대한 최대허용농도(MPC)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 PDF

삼기음(三氣飮)이 흰쥐의 Monosodium Iodoacetate 유발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mgi-eum(Sānqì-yǐn) Treatment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 이경무;정수현;김순중;서일복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31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mgi-eum($S{\bar{a}}nq{\grave{i}}-y{\check{i}}n$)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Methods : Osteoarthritis was induced by injection of monosodium iodoacetate intraarticularly in both knee joints. Arthritic rats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treated group. Control group were taken distilled water for 20days. Treated group were taken extracts of Samgi-eum($S{\bar{a}}nq{\grave{i}}-y{\check{i}}n$) by orally for the same duration. Normal group were injected normal saline and taken distilled water. Body weights were measured at 0, 5th, 10th, 15th, 20th day after injection.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gros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n the articular cartilages of the knee joints were performed. Proteoglycan contents of articular cartilages were analyzed by safranine O staining method. The contents of $TNF-{\alpha}$, $IL-1{\beta}$ and IL-6 in synovial fluids were analyzed by ELISA method. Results : 1. Body weights of the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at 20days after injection. 2. Grossly, the severity of osteoarthritis in the treated group were alleviated compared with control. 3. Histopathologically, degenerative and necrotic lesion of articular cartilages in the treated group were alleviat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and histopathological scores of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4. PG contents in articular cartilages of the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5. $TNF-{\alpha}$ contents in synovial fluids of the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Conclusions : According to above results, Samgi-eum($S{\bar{a}}nq{\grave{i}}-y{\check{i}}n$) has anti-arthritic effects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And it is related with reduced secretion of $TNF-{\alpha}$ from osteoarthritic chondrocytes and synovial membranes.

간 전이 암 환자의 18F-FDG PET 기반 종양 영역 정의: 영상 인자와 자동 영상 분할 기법 간의 관계분석 (Definition of Tumor Volume Based on 18F-Flu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An Relational Analysis Study between Image Parameters and Image Segmentation Methods)

  • 김희진;박승우;정해조;김미숙;유형준;지영훈;이철영;김금배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2호
    • /
    • pp.99-107
    • /
    • 2013
  • 간 전이 암은 이전에는 수술을 통한 외과적 절제가 주요 치료기법이었지만 방사선 치료 기법의 발전으로 인해 점차 방사선치료의 시행이 늘어나고 있다. 18F-FDG PET 영상은 간 전이 암 진단 시 더욱 우세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며, 치료계획용 CT 영상과 더불어 종양조직의 위치를 정의하는 중요한 영상장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 전이 암의 18F-FDG PET 영상에 나타난 종양영역을 영상분할기법 적용하였으며 PET영상의 여러 인자들이 영상분할기법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방사선 치료를 받은 간전이 환자들 중 18F-FDG PET/CT 촬영을 시행한 13명의 환자들의 치료계획용 CT와 PET/CT 영상을 얻었다. 그 뒤 PET 영상의 관심영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3가지 영상 분할 기법인 상대적문턱기법, 기울기기법, 영역성장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GTV와 각 영상 기법으로 구현된 종양 영역과 부피 비교를 시행하였으며 영상 분할 기법에 영향을 미치는 영상인자들과의 관계를 회귀 분석하였다. GTV (Gross Tumor Volume)의 평균 부피는 $60.9{\pm}65.9$ cc이며, 40% 상대적문턱값 기법은 $22.43{\pm}35.3$ cc, 50% 상대적문턱값 기법은 $10.11{\pm}17.9$ cc, 영역성장기법은 $32.89{\pm}36.8$ cc, 기울기기법은 $30.34{\pm}35.8$ cc로 나타났다. 기존의 GTV와 가장 유사한 영역을 나타낸 영상 분할 기법은 영역성장기법 이었다. 이 영역성장기법에 영향을 미치는 영상인자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표준화 계수 ${\beta}$값을 이용하였으며, GTV의 크기, $TumorSUV_{MAX/MIN}$, $SUV_{max}$, TBR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PET 영상인자를 반영한 영상 분할 기법을 이용해서 종양 영역을 정의한다면 보다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종양그리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종양에 최적화된 방사선량을 투여할 수 있을 것이다.

대기중 라돈자핵종 농도의 일일 및 계절적 변화와 기상인자가 미치는 영향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Radon Progeny Concentrations in the open Atmosphere and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 이동명;김창규;노병환;이승찬;강희동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207-216
    • /
    • 2000
  • 1999년 7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대전지역에서 전알파/베타 대기부유진 연속모니터링 시스템과 기상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기중 라돈자핵종 농도에 대한 시간별, 일별, 계절별 변동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기상인자가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대기중 라돈자핵종의 일일평균 평형등가농도$(EEC_{Rn})$ 분포는 산술평균 $11.8{\pm}5.86Bqm^{-3}$ 과 기하평균 $10.3{\pm}4.57Bqm^{-3}$이었으며 일일 평균농도의 변동계수는 약 50%정도이었다. 매 30분마다 측정한 라돈자핵종의 평형등가농도는 최소 $0.80Bqm^{-3}$에서 최대 $43.3Bqm^{-3}$ 까지 하루 중 측정시간과 그때의 기상조건에 따라 변하였으나, 일일변동의 양상은 일출시점과 일몰시점에서 각각 최고농도와 최저농도를 반복하는 주기적인 양상을 보였다. 대전지역에서의 평형등가농도는 계절적으로 여름철이 낮고 늦가을이 높은 변동양상을 보여주었으나, 대기중 라돈자핵종 농도의 계절적 변동양상은 측정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기중의 라돈자핵종 농도는 그 지역의 국지적 기상특성에 크게 좌우되었다. 특히 풍속이 $6msec^{-1}$ 이상이 되면 대기중의 라돈자핵종 농도는 $5Bqm^{-3}$이하로 급격히 떨어지는 반면에 대기중의 라돈자핵종 농도가 $30Bqm^{-3}$ 이상인 날은 풍속이 $1msec^{-1}$ 이하의 매우 고요한 날이었다.

  • PDF

흉골에 단독 전이된 유방암의 삼차원 입체조형 방사선 치료 성적 (Results of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 Solitary Sternal Relapse of Breast Cancer)

  • 김해영;허승재;박원;최두호;강민규;양정현;남석진;임영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91-95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흉골에 단독 전이된 유방암 환자들에 대하여 삼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요법을 적용한 치료 성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유방암의 흉골 단독 전이 병변에 대해 구제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방사선 치료 범위는 종양으로부터 2 cm 여유를 두었으며 치료 선량은 하루 $1.8{\sim}3$ Gy로 총 $35.0{\sim}61.5$ Gy이었다. 종양 반응은 방사선 치료 종료 후 $1{\sim}3$개월에 시행한 컴퓨터 전산화 단층촬영영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중, 5명이 완전반응을, 12명이 부분반응을 보여, 모든 환자들이 방사선 치료에 객관적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51.9%, 중앙 생존기간은 27개월이었다. 환자들의 생존율은 유방암의 초기 수술일로부터 흉골 전이가 발견되기까지의 무병 생존기간에 영향을 받았는데, 무병 생존기간이 12개월 이상인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61.8%이었던 반면, 무병 생존기간이 12개월 미만인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0.0%였다(p=0.03). 결론: 흉골에 단독 전이된 유방암 환자들의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은 우수하였다. 유방암의 초기 수술로부터 흉골재발이 발생하기까지의 무병 생존기간이 긴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후 생존율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