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house Satsuma Mandari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Evaluation of Potential of Mandarin Hybrid 'Shiranuhi' against inoculation of Bacterial Canker Disease Pathogen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 in Citrus Field in Jeju Island

  • Hyun, Jae-Wook;Myung, Inn-Shik;Lee, Seong-Chan;Kim, Kwang-Sik;Lim, Ha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5호
    • /
    • pp.248-25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otential of Shiranuhi cultivar against inoculation of causal pathogen of citrus canker,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 in Jeju Island by comparing degree of susceptibility of fruits and leaves/twigs, and analysis of incidence of canker disease. Progression of symptom, disease incidence, and percent area of lesion were surveyed for evaluation of resistance. In greenhouse condition, symptoms of bacterial citrus canker progressed more rapidly in sweet orange, a moderately susceptible cultivar, than in other four cultivars (satsuma mandarin, 'Kiyomi', 'Shiranuhi' and 'Yuzu'). At 20 days after inoculation, disease severity was the highest in sweet orange (5.0$\pm$0.0), and all tested leaves were distorted or had dropped. On the other hand, 'Yuzu' showed the lowest disease severity (2.6$\pm$0.47), followed by 'Kiyomi' (4.0$\pm$0.0), 'Shiranuhi' (4.0$\pm$0.82), and satsuma mandarin (4.3$\pm$0.47). Percent area of lesion per leaf 30 days after inoculation was the highest in sweet orange (8.31$\pm$1.78), followed by satsuma mandarin (1.51$\pm$1.25), 'Shiranuhi' (1.39$\pm$0.94), and 'Kiyomi' (1.1$\pm$0.9), while the lowest was in 'Yuzu' (0.26$\pm$0.17). Infield condition, percentage of diseased leaf in 'Shiranuhi' was very low, 5.2$\pm$2.9, compared with sweet orange, 71.0$\pm$ 11.5, while that of satsuma mandarin and 'Kiyomi' were 6.9$\pm$7.0 and 4.3$\pm$2.0, respectively. Percentages of diseased leaf was higher (17.4$\pm$7.1) than that of diseased fruit (3.2$\pm$2.5) in severely diseased trees of Shiranuhi cultivar, and the disease was not observed on twig in open field condition. Lesion sizes on leaves and fruits in open field condition were 4.1$\pm$2.2 mm2 and 5.1$\pm$5.6 mm2, respectively, while those in greenhouse condition were 8.7$\pm$5.7 mm2, 10.4$\pm$9.2 mm2 and 5.6$\pm$2.6 mm2 on leaves, fruits and twigs, respectively. The disease was observed in 5.6% out of total 107 farmers Shiranuhi fields under polyethylene film house, and average percentages of diseased tree in 31 fields of Shiranuhi cultivar and adjacent satsuma mandarin fields were 0.02% and 14.8%, respectively. Average percentage of diseased fruit was 1.6% in satsuma mandarin which was not observed in anyone of all the 31 Shiranuhi farmers field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Shiranuhi' cultivar is not potential against causal pathogen of citrus canker disease in Jeju Island because the cultivar has similar resistance as satsuma mandarin which occupies over 95% of total 25,000 ha in Jeju Island in polyethylene film houses protected from outside.

현장 열수처리에 따른 온실재배 온주감귤 상품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Effect of On-site Postharvest Hot Water Treatment on Storage Quality of Commercial Greenhouse Satsuma Mandarin)

  • 이현희;홍석인;손석민;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77-582
    • /
    • 2011
  • 감귤의 유통 중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열수처리를 실제 생산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상용 선과장의 선과시설에 열수처리 장치를 장착하여 온실재배 온주감귤을 대상으로 현장처리 실험을 실시한 후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수확후 감귤을 65$^{\circ}C$의 열수로 10초간 분무한 열수처리구와 무처리 대조구를 5$^{\circ}C$에서 3주, 이후 18$^{\circ}C$에서 1주간 저장하면서 생리특성 및 품질특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 호흡률은 열수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pH,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중량감소, 경도, 표피 색과 같은 품질인자 항목에서도 열수처리에 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열수처리는 저장 중 꼭지 썩음, 곰팡이 썩음, 표피 흑변 등의 부패과 발생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동시에 표면 광택을 포함한 외관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장실험에서 적용한 열수처리는 상품감귤의 유통 중 신선도 유지용 수확 후 전처리 방법으로서 상당히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설온주밀감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평가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Greenhouse Satsuma Mandarin)

  • 황인주;김찬식;강순선;고정삼;오영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13-317
    • /
    • 1997
  • 제주산 시설온주밀감의 이화학적 성분과 품질에 관여하는 내적 및 외적요소를 측정하여 과실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으며, 당도와 산도의 차이에 따른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과즙의 sucrose, fructose 및 glucose는 2 : 2 : 1.5의 비로 존재하였으며, 주요 유기산인 citric acid는 전체 유기산의 70%였다. 착색도와 당산비 간의 상관성은 0.563으로 높아 착색도는 감귤의 숙도를 나타내며, 성분특성치 중 산과 pH는 상관계수가 -0.882로 높아 품질평가 시 측정이 간편한 pH를 산함량 대신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당이 높을수록 기호도 점수는 좋았으나 이에 대응하는 산도의 범위에 따라 한정적이며, 산도가 너무 적거나 높아도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없었다. 시설온주밀감의 관능적 품질은 당도 11 brix 이상, 산함량 $0.5{\sim}1.0%$이어야 기호도에 적합하였다.

  • PDF

Ethephon과 Ca제제 혼용 엽면살포에 의한 플라스틱하우스에서 재배된 온주밀감의 품질향상 효과 (Effects of Foliar Spray of Calcium Salts and Ethephon on the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Miyagawa wase) in the Plastic Greenhouse)

  • 김용호;한승갑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8-119
    • /
    • 2001
  • 감귤의 품질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ethephon의 실용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탄산칼슘제와 몇 종류의 수용성칼슘제를 가용하여 엽면살포를 하고 품질조사와 더불어 낙엽율을 조사하였다. 착색도 a값이 ethephon에 Clef-non, Cell-bine, Hicalux, Calcium acetate 가용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높아져서 착색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수확기를 앞당길 수 있었다. 낙엽율은 ethephon에 Cell-bine 또는 Hicalux 가용처리한 경우에 낙엽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당도는 ethephon 단용처리, ethephon+Clef-non, Cell-bine 가용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각각 1.6, 1.54, 1.54$^{\circ}$Bx가 높은 결과를 보였고 산도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따라서 본시험을 통하여 ethephon에 Cell-bine을 가용하여 살포하여 주는 것이 착색을 촉진시키고 낙엽율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당도를 높여서 하우스밀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제1인산칼륨 엽면살포가 플라스틱하우스에서 재배된 하우스온주밀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ar Spray of Monopotassium Phosphate (MPP) on the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cv. Miyagawas wase) in the Plastic Greenhouse)

  • 김용호;노일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1-117
    • /
    • 2001
  • 본 시험은 플라스틱하우스에서 재배된 하우스온주밀감의 품질향상(착색, 증당, 감산)을 기하고자 제1인산칼륨을 엽면살포하여 품질조사를 하였다. 과피의 착색도 a는 제1인산륨 살포회수가 많아질수록 경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수확기에 가까울수록 인산칼륨 살포에 의해 더 증가되지 않았다. 포도당은 인산칼륨 살포회수가 많아질수록 증가되었고 또한 과당도 이와 유사한 경향ㅇ르 나타내고 있다. 포도당과 과당을 합한 환원다은 인산칼륨 살포회수를 많이 할수록 증가되는 경향이 뚜렷하여 무처리에 비해 5회 살포구 이상에서는 0.32~0.41%.mL$^{-1}$-juice가 증가되었으며, 자당함량에서도 인산칼륨 살포회수가 많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치는 인정되지 안았다. 총당함량에서는 인산칼륨 살포회수에 따른 효과가 있어서 인산칼륨 살포회수가 많아질수록 총당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당도는 인산칼륨 살포회수가 많아질수록 증가정도는 미미하나 5회 살포구 까지는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무처리에 비해서 0.93$^{\circ}$Bx 증가되었다. 산도는 무처리에 비해 낮았지만 살포회수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출하 전 전해산화수 세척에 의한 하우스감귤의 선도유지 효과 (Effect of Washing Treatment of Electrolyzed Acid Water on Shelf-life of Greenhouse Mandarin Emits during Marketing)

  • 송은영;최영훈;김승화;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
    • /
    • 2003
  • 제주산 하우스 감귤의 유통전 처리에 따른 선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통 중 가용성고형물은 온도조건이나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산 함량 및 경도는 유통초기에 비해 전체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저온유통처리구가 상온유통처리구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고 상온과 저온유통 조건에서 모두 전해산화수 및 왁스코팅 처리가 대조구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과실 내부의 초기 $CO_2$발생량은 1% 내외였지만 상온유통조건에서는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왁스코팅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CO_2$발생이 급속히 증가하였으나, 저온유통에는 $CO_2$발생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상온유통조건에서는 대조구가 유통 10일 이후 급속히 부패발생이 증가한 반면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4.0%로 대조구 10.4%에 비해 부패율이 적었다. 저온유통에서도 유통 30일까지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3.7%로 왁스코팅처리 4.4%와 대조구 7.4%에 비해 부패발생이 적었다. 유통전 처리방법에 따른 중량감소는 뚜렷한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상온유통의 알맞은 유통기간을 10일로 기준하였을 때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중량감소가 1.8%인데 비하여 대조구에는 2.0%로 적었다. 저온유통이 상온유통에 비해 중량 감소율의 폭이 적었으며 하우스감귤의 출하에서는 저온유통이 효과가 더 컸다.

Studies on Physiology, Ecology and Protection of Citrus Canker Caused by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

  • Lee, Seong-Chan;Hyun, Jae-Wook;Kim, Dong-Hwan;Kim, Kwang-Sik;Lim, Han-Chul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4-124
    • /
    • 2003
  • Citrus canker is very important disease in international trade of citrus. The disease was usually take place from late of June, and severe middle of July to middle of August, though disease occurrence was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In pathogenicity test, three varieties, orange, lemon and kiyomi among 7 varieties, were succeptible, two varieties, satsuma mandarin and iwasachi, intermediate resistant. On the other hand, shiranuhi and yuzu were resistant relatively. The pathogen,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 grew well in PD broth adjusted to pH 7.0 at 26$^{\circ}C$. It's growth was best in medium containing group of monosaccharide as a carbon source and group of ammonium as a nitrogen source. Tow isolates were resistant to streptomycin among 11 isolates isolated from diseased leaves in field in Jeju-Do. The streptomycin sensitives isolate was controlled by in greenhouse test.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t and sensitive isolates were controlled by treatment with copper sulfate, the control value is 88.7% and 90.6%,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