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 powder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1초

새싹보리와 녹차 스펀지케이크의 이화학적 및 항산화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ponge Cake made using Barley Sprout and Green Tea)

  • 김은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0-98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ponge cakes made using different amounts (2 and 4%) of barley sprout powder (BSP) and green tea powder (GTP),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king loss rate of GS2 (2% green tea) and GS4 (4% green tea) was 12.39% and 11.96%, respectively in the green tea addition group,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arley sprout group,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13.34% (p<0.05). The specific volumes of the sponge cake containing barley sprout and green tea 2% and 4% were between 2.84-2.95 mL/g,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2.69 mL/g (p<0.05). The sugar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barley sprout addition group at 2.30°Brix (p<0.05). As for the volume index, the control group with the lowest value at 13.43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addition groups. The volume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ddition amount increased, measuring 14.07 in BS4 (4% BSP) compared to 14.87 of BS2 (2% BSP) in the barley sprout group (p<0.05). In cross-sectional photography, the color became dark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s the quantum of additives increased. In terms of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he groups with the addition of barley sprout and green tea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p<0.05).

감귤, 녹차, 선인장 분말을 첨가하여 후숙한 된장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Composition of Post-Daged Doenjang(Fermented Soybean Pastes) Added with Citrus Fruits, Green Tea and Cactus Powder)

  • 김정현;오현정;오유성;임상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9-290
    • /
    • 2010
  • 생된장에 감귤, 녹차 및 선인장을 건조 분말 상태로 3%, 7% 첨가하여 $4^{\circ}C$, $20^{\circ}C$, $30^{\circ}C$ 에서 60일간 숙성 시킨 후 된장제품의 품질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전반적으로 55~59%로 대조구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고, 3% 첨가 시 수분 유지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회분과 조단백질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한 차가 없었다. 각 된장의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감귤, 선인장, 녹차 첨가 된장의 탄수화물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7% 첨가 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H는 대조구에 비하여 감귤, 녹차, 선인장 첨가 된장 모두 낮음을 보였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감귤 분말 3% 첨가 된장과 녹차 분말 첨가 된장의 $4^{\circ}C$ 숙성 시 증가됨을 보였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감귤 분말 첨가 된장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감귤 3% 첨가 된장의 기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연의 향미와 기능 성분을 갖는 감률 된장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감귤을 활용한 제품 개발로 된장의 기호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위생 캔으로 제조한 녹차첨가 발효된장의 품질평가와 금속물질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Evaluation and Metal Content of Fermented Doenjang added Green Tea Powder in Sanitary Canned)

  • 허윤행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1호
    • /
    • pp.37-47
    • /
    • 2007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fermented soybean Doenjang was investigated. The samples were prepared and fermented by the koji made with A. oryzae, B. subtilis and B. natto strains, that the product added green tea powder with sanitary canned food. 1. The water content of sample was 50.30-42.14%, pH value 6.03-5.52 and total acidity, 3.01-3.87. 2. The reducing sugar content for samples was 9.35-7.81%, Amino-N, 7.96-9.21%. 3. In the sensory evaluation test, the good sensory qualify that was S-2 sample than to S-1 and S-3. 4. The heavy metals analyzed from sample cans, tin, iron and lead content were 27.31-29.04 ppm, 5.32-5.91 ppm and trace amount.

녹차가루 첨가에 따른 밀가루 반죽의 물성 및 호화특성 변화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Dough Rheology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 오유경;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49-753
    • /
    • 2002
  • 혼합분과 강력분의 farinograph 수분 흡수율, 반죽형성시간, 연화도는 녹차가루 첨가량(0~5%)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안정도는 혼합분은 점차 증가하였고, 강력분은 점차 감소하여 다른 경향을 보였다. 혼합분, 강력분 모두 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신장도는 감소하고, 신장 저항도는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반죽이 경직되는 경향을 보였다. Amylogaph에서 혼합분과 강력분 시료 현탁액 모두 녹차가루 첨가로 호화개시온도가 상승하였고, 최고호화점도는 감소하였다. DSC에 의한 밀전분의 호화특성에서 환원성 물질인 녹차의 카테킨 성분은 밀전분의 결정질 구조의 용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크기에 따른 분말 녹차의 흡습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Powder as Influenced by Particle Size)

  • 윤광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20-1725
    • /
    • 2004
  • 분말녹차의 저장안정성을 알아보고자 200 mesh이상,200∼140 mesh, 100∼140 mesh로 입자크기에 따라 분급하여 흡습특성을 조사하고 수분활성도 예측 모델식을 수립하였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BET식보다 GAB식이 더 높은 유의성을 보여 전구간에서 0.99∼1.00으로 높은 적합도를 보였으며 그 함량은 0.024∼0.0529 $H_2O$/g dry solid로 계산되었다. 평형수분함량은 입자크기에 작을수록, 낮은 온도에서 높은 평형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입자크기에 따른 흡습엔탈피도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분활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은 흡습에너지를 보였다. 등온흡습곡선의 적합도는 Halsey 모델이 $R^2$가 0.95 이상으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고 Oswin, Khun, Caurie모델의 순으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으며, 편차도 Halsey모델이 2.1∼4.0%로 가장 낮게 나타나 분말 녹차의 흡습특성에 적용가능함을 보였다. 수분활성도 예측모델의 수립을 위해 각 독립변수의 최적 함수로 시간은 ln 함수, 상대습도와 온도는 일차식을 선정하였으며 수분활성도 예측모델식은 입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대습도와 시간으로 수립한 모델식의 적합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분말 첨가가 쌀밥의 항산화 활성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Powder Addition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Texture Properties of Cooked Rice)

  • 양진우;이경민;함현미;곽지은;김영화;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65-770
    • /
    • 2017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추구하는 기능성 식품의 다양한 개발을 위해 녹차를 쌀밥에 접목시킴으로써 녹차의 생리활성이 부여된 기능성 쌀밥의 개발 가능성 검토를 위해 실시하였다. 녹차분말을 첨가한 쌀밥의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 물질의 변화 및 물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취반 시 사용되는 물에 녹차분말을 1, 2, 3%로 첨가하여 취반하였다. 이후 제조된 밥은 동결건조 후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취반 후 물성을 측정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취반 후 녹차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밥의 항산화 활성은 첨가한 녹차분말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억제 효과에서도 첨가된 녹차분말에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반면 녹차분말을 첨가한 쌀밥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녹차를 첨가하였을 때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녹차분말을 첨가하여 취반할 경우 식감을 유지하면서 녹차의 생리활성 물질도 부여할 수 있어 기능성 쌀 가공식품으로서의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녹차분말 첨가가 소맥분의 물리적 특성과 제빵적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reen Tea Powd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read Flour and Dough Rheology of White Pan Bread)

  • 황성연;최원균;이현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4-39
    • /
    • 2001
  • 녹차분말의 첨가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녹차분말을 소맥분 대비 각각 0.1, 0.5, 1.0% 넣은 다음 호화도, alveogram 특성, farino-gram 특성, 제빵실험, crumb softness 및 관능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소맥분의 호화개시온도는 64.3$0^{\circ}C$였으나 녹차분말을 첨가한 것은 62.40~63.45$^{\circ}C$로 낮아졌다. 최고점도는 녹차분말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break down값도 같은 양상을 보였으며 노화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set back값 또한 녹차분말 사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녹차분말을 사용한 식빵의 노화가 빠르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Alveogram에서 dough의 변형에 필요한 최대압력인 P값 (tena-city)이 녹차분말 1%일 때 162로 가장 높았으며 신장성을 나타내는 L값 (extensibility)은 74로 control보다 낮아 녹차 첨가가 반죽의 신장성은 줄이지만 반죽강화 효과는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빵의 부피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G값(swelling index)은 녹차함량이 증가하면 감소를 보여 실제 구워낸 식빵의 부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Farinogram의 consistency는 녹차분말 1%가 537FU로 제일 높았고 수분흡수율도 녹차분말 함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지만 반죽의 발전 시간과 안정도는 감소하여 녹차분말은 글루텐의 형성을 저해하지만 반죽의 consistency는 크게 함을 알 수 있었다. Hardness는 녹차분말의 함량이 많을수록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커졌으나 탄성도는 녹차함량이 많을 경우가 오히려 좋았다. 종합적인 관능검사의 결과는 녹차 0.5% 첨가한 것이 95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a}$-MF signal sequence보다 GOD를 더 효과적으로 분비시켰다. 상기 결과로 미루어 보면 signal sequence가 단백질의 분비 외에도 단백질 합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된다. pGALGO1과 pGALGO2의 GOD분비효율은 각각 89%, 84%이었다. S. cerevisiae에서는 일반적으로 과당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S. cerevisiae에서 합성된 재조합 GOD의 분자량은 250 kDa으로 A. niger의 GOD(170 kDa)보다 더 컸다.까지의 실험결과로서 cyclo hexane을 골격으로 하고 여기에 Epoxy group와 caborxyl 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 물질은 산, Alkali, 가열등에 대해서 매우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일부는 문교부 연구조성비(1978년도)에 의해서 수행되었다.되었다.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0.83)가 있었다. 둘째, 주상기간 중 자기폭풍의 크기가 클수록 플럭스 비 ($f_{max}/f_{ave}$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75~113keV 에너지 채널에서의 $Dst_{min}$ 값과 플럭스 비의 상관계수는 0.74로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에너지 채널 역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주상기간 중 총 에너지 유입률 지수와 $Dst_{min}$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특히 환전류를 구성하는 주요 입자의 에너지 영역(75~l13keV)에서 가장 높은(0.80) 상관계수를 기록했다. 넷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 PDF

녹차음식에 대한 내용분석연구 -1990년대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Green Tea Food -Focused on the Literature Published since the 1990's-)

  • 최배영;조인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7-12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feature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green tea food by analyzing the data on tea foods presented in Korean literature after the 1990's (two articles from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tea culture, and three books related to tea food).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It is found from separating 354 different kinds of green tea foods into three categories - main dishes, side dishes and desserts - that there are 137 kinds of side dishes, 123 kinds of desserts, and 94 kinds of main dishes from green tea foods. Upon dividing these into smaller categories, there are 40 rice dishes, 27 noodle dishes, 18 gruel dishes and 9 dumpling dishes found among the main dishes; 26 pan fried dishes, 24 potherb/cooked potherbs dishes, 17 deep-fried dishes, 15 soup/broth dishes, 14 grilled dishes, 11 smothered dishes, 10 hard -boiled/fried dishes, 6 kimchi dishes, 4 dried food dishes, 4 jelly dishes, 4 stew dishes, and 2 raw fish dishes among the side dishes; and 37 snack dishes, 36 punch/drink dishes, 26 rice cake dishes, and 24 bread dishes are found among the desserts. 2. There are 201 kinds of green tea foods using powders, 107 kinds using wet tea leaves, 61 kinds using dry tea leaves, 57 kinds using water of drawn tea, and 17 kinds using wild tea leaves, according to analysis of teas used for green tea foods. There is more use of powder for snacks, punch and drinks, rice cakes, noodles, and breads, and more use of wet tea leaves for rice, pan fried food, and potherb/cooked potherb dishes. It is also shown that there is more use of water from drawn tea for rice, punch and drinks, noodles, and gruels, more use of dry tea leaves for snack, rice, breads, and more use of wild tea leaves for deep-fried and pan fried kinds of tea foods.

  • PDF

녹차 열수 추출물이 콩단백질을 급여한 흰쥐의 칼슘대사와 골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Green Tea on Metabolism of Calcium and Bone Strength in rats fed Soy Protein Diet)

  • 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64
    • /
    • 2005
  •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green tea, one of the Korean favorites, on the calcium metabolism and bone strength in body. To do so, calcium, phosphate, creatinine concentration and ALP activity in blood and the content of calcium and ash in the organ, the length, weight, strength in bone were measured. In addition, to find the calcium metabolism, the level of calcium intake, excretion, retention were measured. Twen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isoloated soy protein was provided as the source of protein and CaCO₃ was provided as the source of calcium. 0.5%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green tea was provided to the green tea groups and for the control group deionized water was provid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in diet intake, weight gain, and the feed intake. 2. Feed efficiency ratio was low in the group which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green tea was provided. 3.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level of calcium, phosphorus, creatinine and ALP activity in serum. 4.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weight, contents of ash and calcium in kidney and liver. 5.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alcium intake, absorption, excretion, and retention. 6.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weight, length and strength in bone. In summary, when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green tea was provided with the amount of 150-200mg, which is taken when people generally drink as favorite tea, weight gain was reduced due to the decrease of feed efficiency ratio.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availability of calcium in body at all. Thus, even if a big quantity of green tea powder or solid of hot green tea extract is not provided, the quantity obtained when people drink green tea lowers the feed efficiency ratio without reducing availability of calcium in body.

  • PDF

녹차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Green Tea-Added Mayonnaise)

  • 박찬성;박어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7-412
    • /
    • 2002
  • 녹차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신화아정성을 조사하기 위하며 대두유, 난황, 식초, 설탕, 식염과 녹차의 분말을 0~0.5% 첨가하여 마요네즈를 제조한 후, 5$^{\circ}C$, 15$^{\circ}C$, $25^{\circ}C$에 13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요네즈를 5$^{\circ}C$, 15$^{\circ}C$, $25^{\circ}C$에 13주간 저장했을 때, 대조구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28, 63.5, 144.4 meq/kg 으로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산화가 촉진되었다. 2. 녹차의 마요네즈에 대한 항산화작용은 녹차의 첨가농도에 비례하였으나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는 감소하였다. 3. 녹차의 첨가는 마요네즈 유지 산화에 대한 유도기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녹차 분말을 0.5% 첨가했을 때 전 저장 온도에서 유의적인 유도기간의 연장효과를 볼 수 있었다(p<0.05). 4. 마요네즈에 0.1%의 녹차를 첨가했을 때의 상대적 항산화효과는 5, 15, $25^{\circ}C$에서 각각 226%, 188%, 143%였으며 마요네즈에 첨가하는 녹차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녹차를 마요네즈의 산화를 방지할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