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 powder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19초

빵 부패미생물에 대한 녹차의 항균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Green Tea against Putrefactive Microorganism in Steamed Bread)

  • 김창순;정순경;오유경;김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3-417
    • /
    • 2003
  • 빵 부패미 생물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녹차가루를 첨가한 찐빵의 저장 중 항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용된 세균 3종류인 Bacillus subtilis ARCC 6633, Bacillus pumilus KCTC 3348, Bacillus cereus IFO 12113과 곰팡이 Aspergillus niger KCCM l1239 모두 GTE 1% 이상에서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으며, 생육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GTE의 열 안정성은 넓은 온도 범위(50~20$0^{\circ}C$)에서 열을 가하지 않았을 때와 동일하게 항균력이 유지되었고, pH 사용범위 (4~9)에 관계없이 동일한 환으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녹차를 첨가한 찐빵을 $25^{\circ}C$에 저장하면서 총 곰팡이 수와 총 세균 수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 GTP 1%, 3% 첨가군 모두 저장 3일째에 곰팡이가 나타났으나 GTP 5% 첨가군에서는 저장 3일째에 나타났다. 총 세균 수는 저장 3일 이후 $10^{7}$ CFU/g을 넘어 부패가 진행 중이었으나 GTP 3%는 5일째에, GTP 5% 첨가군은 7일째에 $10^{7}$ CFU/g을 나타났다. 그러므로 찐빵에서의 녹차의 항균 효과에 따른 저장기간 연장은 녹차가루 첨가량 5% 이상의 수준에서 가능하리라고 추측된다.

녹차가 다이옥신계 TCDD(2,3,7,8-tetrachlorodibenzo-p-dioxin)에 노출된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 독성물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the Disorders of Lipid Metabolism and Hepatic Functions in Rats treat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 이준호;김현숙;황석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185-1193
    • /
    • 2006
  • 다이옥신계 TCDD에 노출된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 독성물질대사에 있어서 녹차의 방어효과를 알아보고자 Sprague-Dawley rat(수컷, 6주령)를 이용하여 녹차는 건분으로 1%, 3% 첨가식이를 공급하고 TCDD는 실험 초에 복강내 주입하여 3주간 실험하였다. 사육 종료후 혈액조성과 혈청, 간 및 변의 지질을 분석하고 간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도와 간 독성물질대사 관련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체중증가와 식이섭취량이 TCDD투여군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간과 뇌 및 고환의 중량은 TCDD투여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흉선의 무게는 TCDD투여군 모두에서 대조군의 1/3 정도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녹차에 의한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혈액성분에서 적혈구, 백혈구의 수와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의 값은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소판의 수와 lymphocyte%가 TCDD투여에 의해 저하되었다가 녹차 3% 첨가군에서 증가되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neutrophill%는 TCDD투여에 의해 상승했다가 녹차 첨가에 의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간 기능 지표가 되는 효소인 혈청 GOT와 ALP활성도에서는 TCDD투여에 의한 상승을 녹차첨가에 의해 저하시켜 개선되었다. 혈청 총콜레스테롤과 HDL-, LDL-콜레스테롤함량은 모두 대조군보다 TCDD 투여군에서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녹차의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triglyceride는 녹차 첨가식이에 의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및 triglyceride 함량은 TCDD투여에 의해 2배정도의 상승을 보였는데 녹차 3%첨가에 의해 억제작용이 나타났다. 변의 총 배설량과 총지질, 총콜레스테롤의 배설량이 녹차 첨가에 의해 현저하게 많았으며 특히 콜레스테롤 배설이 녹차 3% 첨가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녹차의 성분이 지질흡수를 저하시키고 배설을 촉진하는 작용이 확인되었다. 항산화효소인 SOD의 활성도가 다른 군보다 녹차 3% 첨가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녹차의 항산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의 독성물질대사 효소활성도에서 TCDD투여에 의한 NADPH cytochrome p-450 reductase의 상승을 녹차 3%첨가 식이에 의해, 그리고 cytochrome p-450 의존성 monooxigenase인 BPND는 TCDD투여에 의한 상승을 녹차 1% 첨가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에서 녹차가 TCDD투여에 의한 간지질의 축적을 억제시키고 변으로 지질배설량을 증가시켰으며 간 기능에 관련된 효소활성도를 정상화시키는 경향이 있었고 항산화효소인 SOD 활성도를 상승시켜 항산화성을 높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요네즈에 첨가한 녹차가 Es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typhimurium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on the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mayonnaise)

  • 박찬성;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62
    • /
    • 2002
  • 대두유, 난황, 설탕, 소금, 식초로서 마요네즈를 제조한 직후에 녹차분말을 0~0.5% 첨가하여 녹차분말이 마요네즈내에서 식중독세균에 미치는 항균 작용을 조사하였다. Er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typhimurium 배양액을 희석하여 각 농도의 마요네즈 1g당 약 $10^{6}$ CFU되게 접종한 후 5$^{\circ}C$, 15$^{\circ}C$, $25^{\circ}C$에 3~9일 동안 저장하면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녹차 첨가에 의한 항균활성은 평판배양법으로 E. coli는 violet red bile agar(VRBA), S. typhimurium 은 xylose lysine desoxycholate agar(XLDA) 배지를 사용하여 각 세균의 생균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E. coli 대조구의 D-value는 5, 15와 $25^{\circ}C$에서 각각 2.89, 2.73, 2.13일이었으며 S. typhimurium 대조구는 5, 15, $25^{\circ}C$에서 각각 0.58, 0.53 및 0.52일 이었다.마요네즈내에서 녹차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첨가한 녹차의 농도가 높을수록, 마요네즈의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녹차 첨가시의 가장 큰 항균효과는 $25^{\circ}C$에 저장한 E. coli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가장 높은 비율(34-61%)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녹차 첨가 서리태 청국장의 3-morpholinosydnonimine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eor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powder against 3-morpholinosydnonimine-induced oxidative stress)

  • 조은주;박현영;이상현;김현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07-414
    • /
    • 2015
  • 본 실험에서는 청국장의 항산화 기능성 증진을 위해 녹차를 첨가한 서리태 청국장을 제조한 후 LLC-$PK_1$ 세포를 이용하여 SIN-1유도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항산화능이 대두보다 우수한 서리태를 주재료로, 부재료로 녹차를 농도별(0.5%, 2.0%, 5.0%)로 달리하여 청국장을 각각 제조한 후 $ONOO^-$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서리태 청국장과 녹차첨가 서리태 청국장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를 비교한 결과, 녹차첨가 서리태청국장 추출물은 SOD, GSH-Px와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여 세포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냈었으며, 특히 녹차를 5.0% 첨가했을 때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차 첨가 서리태 청국장은$ON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함으로써 이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항산화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루녹차를 첨가한 식혜 제조 (Application of Green Tea Powder for Sikhe Preparation)

  • 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7-233
    • /
    • 2006
  • 가루녹차 첨가 비율 0%, 1%, 2%, 3%)을 달리하여 식혜를 제조하여 식혜의 이화학적 성질, 관능평가 및 저장성 등을 실험하였다. 가루녹차 식혜의 당도는 $18.40{\sim}18.50%$로 가루녹차 무첨가 식혜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pH는 $5.81{\sim}5.85$로서 무첨가구의 pH 보다 낮았다. 색도는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나 b값은 크게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가루녹차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색깔과 향미는 강하게 평가되었으나 단맛은 가장 약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루녹차 2% 첨가한 식혜가 맛, 밥알의 조직감, 후미,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식혜의 pH는 저장 19일째에도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가루녹차 무첨가 식혜의 pH는 급격히 하락하였다. 저장 기간 중 색도는 가루녹차 첨가 식혜와 무첨가 식혜 모두에 있어서 L값, b값, a값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루녹차를 첨가하여 식혜를 제조할 때, 2% 첨가가 종합적인 관능면에서 적절하였고,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Influences of Long-Term Feeding of Japanese Green Tea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Hens

  • Biswas, Md. A.H.;Miyazaki, Y.;Nomura, K.;Wakit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7호
    • /
    • pp.980-985
    • /
    • 2000
  • Influences of Japanese green tea powder (GTP) supplementation to commercial diet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were studied by using 60 laying hens. The experimental diet with or without 0.6% GTP was given ad libitum to the birds during the period from 6 to 71 weeks of age. The birds started egg production from 21 wk of age regardless GTP feeding. Body weight, feed intake, egg weight tended to decrease with GTP supplementation, while egg production rate tended to increase. Haugh unit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GTP, which accompanied with the increased albumen height. These were observed almost throughout the laying period over 50 wk. Gel proportion in thick albumen was decreased as storage time is prolonged, then higher values of the gel proportion were recorded in the eggs from GTP group. Thick albumen of the eggs from GTP-fed layers had more carbohydrate than that from control layers. All these indicate physical stability of thick albumen in the eggs from GTP group. Thiobarbituric acid content of egg yolk tended to remain lower in the eggs from GTP group during 5-10 days of storage at room temperature. Levels of egg yolk cholesterol and yolk lipid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GTP feed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shell weight, shell thickness and shell strength between the two groups. Thyroid gland and liver from hens slaughtered at 71 wk of age did not differ in weight irrespective of GTP feeding.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GTP could modify components of edible part of egg, leading to the characteristics favourable to consumers such as high durability of thick albumen and less cholesterol in yolk, without altering general performance of the layers throughout this year round experiment.

녹차가루 첨가에 의한 청포묵의 관능적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added with Green Tea Powder)

  • 김애정;임영희;김명희;김미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5-140
    • /
    • 2002
  • 1. 관능검사 결과 색은 녹차가루 1.5% 첨가한 청포묵과 무첨가 청포묵이 각각 6.00과 5.82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이들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향미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녹차가루를 1.0%, 1.5%, 0.5%, 무첨가 청포묵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맛은 녹차가루를 0.5%와 1.0%첨가한 청포묵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무첨가 청포묵, 2.0%, 2.0%, 2.5%, 3.0% 순으로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2. 녹차가루 첨가 청포묵의 색도는 녹차가루를 첨가할수록 L값(명도)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a (적색도)값은 점점 감소하여 적색은 감소하고 녹색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b(황색도)값은 서서히 증가하여 황색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3. 경도는 녹차가루 2.0%를 첨가한 청포묵이 4617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녹차가루를 3.0% 첨가하여 만든 청포묵이 2220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응집성은 녹차기루 2.5% 첨가한 청포묵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1.0% 첨가한 청포묵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점성은 녹차가루 2.0% 첨가한 청포묵이 83.24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1.5%, 무첨가, 1.0% 청포묵 순으로 낮아졌다. 부서짐성은 2.5% 첨가한 청포묵이 95.5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0.5% 청포묵이 42.44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녹차 수용성 추출물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Green Tea on Soybean Oil)

  • 박복희;최희경;조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2-55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green tea(AGT) on soybean oil. AGT was freeze-dried and 20% of the freeze-dried aqueous green tea powder (AGTP) was added to soybean oil in the quantities of 0.5%, 1% and 5%. Soybean oil without the addition of AGTP was used as a control. Soybean oil with 0.02% butylated hydroxytoluen(BHT) was used as another experimental sample. Each sample was stored at 6$0^{\circ}C$ for 15 days. The oxidation of these sample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cid value (AV), peroxide value (POV),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The result showed that the acid values were lowest in 0.02% BHT, followed by the 0.5% AGTP, 1% AGTP, 5% AGTP and finally the control. When AGTP was added, the peroxide value was lower than both the control and 0.02% BHT. The lowest TBA values were in the 0.5% AGTP followed by 0.02% BHT, 1% AGTP, 5% AGTP and the control, respectively. The 5% AGTP (285 min), 1% AGTP (249 min) and 0.5% AGTP (238)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compared to the control (204 min) and the BHT (229 min) by Rancimat method.

  • PDF

녹차 분말과 카테킨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 분석 (Analysi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atechin Concentrations and Green Tea Extract Powder)

  • 최경민;윤용갑;강경화;오성수;양환덕;김형준;박진영;전병훈;김석일;박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580-1584
    • /
    • 2005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techin from green tea extracts were examined by the method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y, hydroxy scavenging activity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xanthine oxidase activity. The resulted demonstrated the fact that Catechin one (containing Green tea extracts plus catechin 51%) of green tea extracts product showed at 65.5% in electron donating activity on the DPPH.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n the DPPH of Catechin one was increased to 10% than purified catechin. Catechin one showed the activity at 64.5% in scavenging activity using hydroxy radical method. To the Catechin one provided to increase the hydroxy scavenging activity up to 3 fold. Inhibitory effects of the catechin one measured with xanthine oxidase method was 6.5%. Although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atechin (98% purified) was lower than that of Catechin one (containing Green tea extracts plus catechin 51%) in same catechin concentrations ($5{\mu}g$, respectively). Therefore, we may suggest that Catechin one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additive possessing the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청국장 타블렛의 제조와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blet using Cheonggukjang Powder)

  • 윤광섭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95-50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new product using Cheonggukjang (fermented soybean product) and sub-ingredients(lactic acid bacillus powder, chlorella, lactose, green tea). Fresh Cheonggukjang was dried by a infrared drying(50℃, 36hr) and powdered by a roll mill. The powder was mixed with sub-ingredients and then moulded as tablet type by a press moulder. The pH of tablet was low with the addition of lactobacillus and total sugar content was high with the addition of lactose. Disintegration, absorption capacity and textural properties of tablet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any sub-ingredient. Color of non-added tablet was yellow to red, but changed to green when chlorella was added. Sensory properties(color, taste, flavor, chewiness, hardness, acceptability)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sub-ingredi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functional healthy tablet could be made from Cheonggukjang powder and various sub-ingred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