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onion Kimchi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국민영양조사를 이용한 우리나라 다소비 식품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I) -식품의 섭취량 조사 분석- (The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Food Items from 1993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I) -Amounts and Frequency of Foods-)

  • 계승희;이행신;박미아;문현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69-579
    • /
    • 199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llect information in terms of the frequency and amounts in frequently consumed foods. We conducted the secondary analysis from '93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Mainly informations about 2-day food records were used to investigate food intakes and to compare different food patterns by area. Amounts and frequencies of food intakes are on the list by the order of contributing amounts and frequencies. Amounts of total daily intake of food per capita are 1,054g in nationwide, 1,076g in large city, 1,049g in small city, 1,017g in rural. The major foods consumed in large quantities were rice, kimchi, milk, in nationwide, large city, and small city and rice, kimchi, Korean radish in rural. The intake frequency of kimchi, rice, and basic seasonings as garlic, green onion, salts, soy sauce et al, were higher than other foods in all area. However, there are need for further researches to investigate individual dietary intake and seasonal variation of intakes. Also, food consumption patterns for different groups considering age, sex, area should be studied.

  • PDF

동결건조한 원부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나박김치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bak kimchi with freeze-dried ingredients during storage)

  • 천선화;강미란;서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54
    • /
    • 2016
  • 동결건조된 원부재료(무, 배추, 쪽파, 마늘, 생강)를 이용하여 나박김치를 제조한 다음 $4^{\circ}C$에서 28일간 저장하며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박김치의 제조 직후 pH는 5.76~5.93이었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산도는 저장기간이 경과 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저장 28일차에 동결건조한 무 및 부재료 처리구(D)의 산도가 0.43%로 나타나 동결건조 원부재료 처리구(C), 생 원재료 및 동결건조 부재료 처리구(B)와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p<0.05). 배추 및 무의 조직감은 나박김치의 저장기간 동안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대조구(생원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배추의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조직감도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나박김치의 제조 직후 일반세균 및 젖산균수는 생원료로 제조한 대조구에서 약 1 log CFU/g 수준 높게 확인되었으며, 그 차이는 저장 21일까지 유지되다가 저장 28일차에 동결건조한 무 및 부재료 처리구(7 log CFU/g)를 제외하고 모든 시료에서 약 8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효모 및 곰팡이수는 저장기간 동안 모든 시료에서 2~3 log CFU/g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대장균군의 경우 대조구 및 생원재료와 동결건조한 부재료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생원재료를 사용한 대조구에 비해 동결 건조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내 동결건조한 주재료는 나박김치의 관능적 품질이 저하시키지만 부재료(쪽파, 마늘, 생강)는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동결건조된 부재료의 첨가는 미생물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김치의 조직감과 관능적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다양한 김치 제조 시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더불어 김치의 저장성을 연장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 및 충청지역의 김치담금 재료비 및 숙성김치의 화학적 성질 조사 (A Study on the Material Ratio of Kimchi Products of Seoul and Chung Cheong Area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ermented Kimchis)

  • 강근옥;이성희;차보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87-493
    • /
    • 1995
  • 김치 담금시 재료의 배합비와 숙성시 특성 측정을 위해 서울과 충청도에서 조사된 김장김치의 종류는 배추김치, 깍두기, 총각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보쌈김치, 백김치 등이었고 이 중 배추김치담금에 사용하는 주, 부재료는 약 20-25종류였으며 젓갈 및 어패류 의 사용이 많았다. 배합비는 배추 71.9%$\pm$7.7, 무채 11%, 파 2.3-2.6%, 마늘 1.3-1.6%, 고추가루 2.7-3.2% 그리고 젓갈 3.9~4.2% 등이었다. 봄김치는 배추김치, 깍두기, 총각김치와 열무김치, 오이김치 등을 담았으며 배추김치에 김장김치의 갓 및 굴, 새우 등 어패류 대신에 부추, 생홍고추, 양파 등 신선한 계절야채르르 많이 사용하였다. 양념류는 김장김치에 비해 젓갈은 다소 적고 그 외 사용비는 비슷하였으며 나박김치, 열무김치 등 국물김치에서 건더기와 물의 비는 약 40:48을 이루었다. 또한 배추김치의 최적 숙성은 pH 4.2~4.5, 총산도 0.5~0.8% lactic acid 범위였고 선호하는 염도는 김장김치류 2.3~2.74%, 봄김치류 1.8~2.4% 범위였으며 국물김치는 1.3~1.7%의 낮은 염도를 보였다.

  • PDF

어린이의 김치의식에 관한 실태조사 (I) - 김치 선호도에 관한 조사 - (A Survey on the Children한s Notion in Kimchi(I) - Children한s Preferences for Kimchi -)

  • 송영옥;김은희;김명;문정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58-764
    • /
    • 1995
  •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기호성 김치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부산시내 공, 사립 국민학교 2, 4, 6학년에 재학중인 1,100명을 대상으로 김치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국민학생의 68%가 김치를 좋아한다고 응답하였으나 국민학생들이 좋아하는 반찬들(계란말이, 단무지, 김구이, 햄.소시지.미니돈까스, 콩나물무침, 호박나물, 장조림 등) 중에서의 김치의 선호도(17.6%)는 햄.소시지.미니돈가스(54.7%)에 이어 2위를 차지하였으나 그 선호 정도는 상당히 낮아 실제적인 선호도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의 매운맛은 국민학생들이 김치를 가장 싫어하는 이유인 동시에 김치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로 나타나 김치의 특성을 대표하는 맛으로 생각되었다. 국민학생들이 선호하는 김치의 종류는 배추김치, 깍두기, 물김치, 총각김치, 오이김치 순이었다. 김치 담금 재료 중에서는 배추를 가장 좋아하고 생강, 마늘, 파, 젓갈 등 강한 냄새를 내는 것을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상업용 김치와 담금 배추김치의 발효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 (Change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and Prepared Kimchi Depending on Fermentation)

  • 남동건;김세나;최용민;김영섭;양미란;한혜경;최애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2-17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olate cont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and fermented Kimchi and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folic aci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Methods: The contents of total folat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10 kinds of industrial and local Kimchi and nine kinds of other commonly consumed Kimchi. Changes in folate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14 days of fermentation at $15^{\circ}C$ were compared. Results: Chungnam (L4) Kimchi had the lowest pH of 4.62, and acidity (0.57%) and salinity (3.26%) were highest compared to other areas. The content of total folate of D company (A) was the highest at $73.66{\mu}g/100g$. The content of total fol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esame leaf Kimchi (O9) and Young leafy radish Kimchi (O5) containing 65.77 and $62.82{\mu}g/100g$, respectively. The pH of fermented Kimchi decreased from 6.09 to 4.11 (p<0.05), and the acidity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to 0.32-0.66%. Reducing sugar content decreased rapidly by 4 days and then slowly decreased (p<0.001). Total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ith fermentation period. Content of total folate was highest at $69.82{\mu}g/100g$ and $68.16{\mu}g/100g$ on days 0 and 2 of fermentation, after which it decreased to 77.6% at $15.61{\mu}g/100g$ on day 10 of fermentation. Conclusion: As a result, there was no definite trend regarding folate content in commercial Kimchi and other Kimchi. Young leafy radish, Chives, and Welsh onion Kimchi, which are rich in green leaves, are excellent folate source foods. The highest folate content of fermented Kimchi was identified on day 2 of ferment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use raw or immature Kimchi when using Kimchi as a folate source food.

「반찬등속」에 기록된 김치의 식문화적 고찰 (A Study of Cultural Aspects of Kimchi in 「Banchandeungsok」)

  • 이솔;지명순;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86-497
    • /
    • 2014
  • "반찬등속"은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에 청주에 살았던 진주 강씨 문중의 며느리인 한 여성이 한글로 쓴 반가음식 책이다. 마흔 여섯 가지 조리법 중 9가지 김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반찬등속"에 기록된 김치의 식문화적 의의를 조명하기 위하여 1700년대부터 1900년대 전기까지 저술된 "증보산림경제", "규합총서", "시의전서", "부인필지", "보감록",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을 "반찬등속"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김치의 주재료, 고추의 사용, 젓갈 사용, 부재료 사용, 양념 등에 관하여 문헌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반찬등속" 김치의 식문화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반찬등속" 김치는 배추, 무, 오이를 주재료로 하는 조선후기 김치의 전형을 보여준다. "반찬등속"의 무김치, 배추짠지, 짠지 등은 젓국을 사용하지 않으며, 부재료가 단순하고 양념으로는 마늘, 생강, 파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다른 향신채는 거의 쓰지 않았다. 따라서 "반찬등속" 김치는 담저류에 속하고 오늘날 청주지역 김치의 특징인 담백하고 청량한 맛을 주는 김치의 원형이라고 생각된다. "반찬등속" 김치는 젓국을 사용하지는 않았으나 생조기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반찬등속" 김치에 사용된 고추는 어린 고추, 고춧잎, 다진 고추, 채친 고추, 실고추, 고춧가루 등 다양하였다. 반찬등속은 깍두기 조리법이 기록된 최초의 문헌이다. 반찬등속에는 문헌상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깍두기가 두 종류 소개되었다. "반찬등속"의 오이김치는 전형적인 오이소박이와 열무를 오이 속에 넣은 특별한 외이김치가 소개되었다.

견육요리(犬肉料理)의 연구(硏究) (II) -실태조사(實態調査)- (A Study on Korean Dog Meat Cooking(II) -Survey of Dog Meat Cooking Restaurants-)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7-368
    • /
    • 1989
  • In this study, the kinds of Dog Meat Cooking, side dishes, ingredients, seasonings and recipes were surveyed in 21 Dog Meat Cooking restaurants in Korea from July to August of 1989. 1. Actually, there were four Dog Meat Cooking recipe. Tang (soup:湯) has been served in 20 (95.2%) restaurants and Sukyuk(boiled in water:熟肉) in 19(90.5%) ones. Junkol(boiling vegetables and meat with seasoning:煎骨) and Muchim(sauteed with seasoning:무침) has been done in 16(76.2%) and 10(47.6%) restaurants, respectively. 2.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the main seasonings when served were roasted perillar powder (95.2%), soybean paste (95.2%), vinegar(81.0%), Dadegi (mixed much red pepper powder, minced ginger, minced garlic, minced onion and black pepper powder, 66.7%), pepper(61.9%), salt(61.9%), salt(61.9%), minced ginger(57.1%), minced garlic(57.1%) and prepared mustard(38.1%). 3. The number of side dishes were 26. Among vegetables, green pepper(90.5%), sliced garlic(81.0%) were served. Chinese cabbage(61.9%) and Kagtuki(42.9%) out of Kimchi and leek salad(28.6%) were also served. 4. The total 17 ingredients were used in Dog Meat Cooking. The major one were white onion (100%), perillar leaf(72.2%), leek(66.6%) and parsley(47.2%).

  • PDF

김치 발효에 의한 장내병원균의 생육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by Kimchi Fermentation)

  • 강창훈;정경완;하덕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80-486
    • /
    • 2002
  • 김치 발효가 병원성 장내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여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추 및 갓 김치를 제조할 때에 6종의 병원성 장내세균을 접종하여 발효 중의 이들의 변화를 측정하고, 또 김치의 주된 재료에서 검출되는 대장균과 이들 원료로 담근 김치 중의 대장균군 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주된 김치 재료 중 대장균군이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은 생강과 대파였으며 그 다음이 배추, 고춧가루, 마늘의 순이었다. 김치 중의 대장균군 또는 시험 병원균은 모두 발효의 진행에 의한 pH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고 사멸되었다. 대장균군은 배추김치에서 pH 3.9 이하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13124,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625,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Vibrio parahamolyticus ATCC 27519, 및 Escherichia coli O157 : H7 ATCC 43894는 배추김치에서 pH 4.1, 3.7, 3.8, 3.8, 3.7, 및 3.7 이하에서 각각 검출되지 않았고 갓김치에서는 pH 4.5, 4.0, 4.2, 4.2, 4.2 및 4.1 이하에서 각각 검출되지 않았다. 또 갓 즙액 및 allyl isothiocyanate는 병원균에 대해서 뚜렷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젖산균에 대한 효과는 미약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김치 발효는 김치의 안전성을 높이게 되면 갓의 병원균에 대한 뚜렷한 생육저해효과는 주로 갓 중에 함유된 자극성 성분인 allyl isothiocyanate 의 항균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Characterization of Two Mannitol-Producing Leuconostoc Strains from Pa-Kimchi and Their Application for Juice and Yogurt Fermentation

  • Yun Ji Kang;Min Jae Kim;Tae Jin Kim;Jeong Hwan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6호
    • /
    • pp.780-787
    • /
    • 2023
  • Two mannitol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pa (green onion)- kimchi, identified and nam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SKP 88 and Leuconostoc citreum SKP 92, respectively. Both isolates grew well at 25-30℃, initial pH 6-8, and 3% and lower NaCl concentration. Both isolates converted fructose into mannitol efficiently when grown on MRS broth containing fructose and glucose. Glucose was used as a carbon source and fructose was used as a precursor for mannitol. Mannitol yields were the highest in MRS broth with 3% fructose and 2% glucose. Shine muscat juice fermentation was done using each isolate as a starter. As fermentation progressed, decrease in pH and increases in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ounts were observed. L. mesenteroides SKP 88 showed better mannitol conversion ability than L. citreum SKP 92, and shine muscat juice fermented with L. mesenteroides SKP 88 showed the mannitol production of 41.6 g/l at 48 h, and juice fermented with L. citreum SKP 92 showed 23.4 g/l at the same time. Yogurt fermentations showed similar patterns, and yogurt fermented with L. mesenteroides SKP 88 showed the mannitol production of 15.13 g/l. These results showed that both strains are useful as starters for healthy fermented foods with reduced fructose contents.

갓김치 숙성중 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Kimchi)

  • 박석규;조영숙;박정로;문주석;이용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53
    • /
    • 1995
  •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uncleic acid-related compounds of leaf mustard-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5~7$^{\circ}C$ were investigated. The leaf mustard-Kimchi was formulated with 4kg leaf mustard, 120g garlic, 80g ginger, 540ml salted anchovies, 1kg green onion, 200g red pepper powder, 200g ground red pepper, 60g whole sesame and 600ml glutinous rice paste. Changes in pH and acidity were relatively slow. Major free sugars were glucose(0.13%) and maltose(0.42%), and residual sugars(0.03-0.04%) were also detected after 32 days of fermentation. Major free amino acids containing more than 26.5mg% were prol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histidin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increased from 244.8 to 397.2mg% by 24 days of fermentation. Of non-volatile organic acid, lac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119.3mg%), and its content increased markedly after 10 days of fermentation. Other organic acids(below 53.1mg%) observed were malic, oxalic and citric acid. Contents of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were high in the order of hypoxanthine(22.8mg%), IMP(8.3mg%) and GMP(6.9mg%). Hypoxanthine content increased by 10 days(27.3mg%) and decreased thereafter, while the others decreased gradually during the overall period of ferm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