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y sal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퍼지 논리를 이용한 흐린 영상의 콘트라스트 향상 (Contrast Enhancement of Blurred Images Using Fuzzy Logic Concepts)

  • 박중조;김경민;박귀태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1B권8호
    • /
    • pp.181-191
    • /
    • 1994
  • A new method for enhancing blurred images using fuzzy logic concepts is proposed. Blurred images contain blurred boundaries which make it difficult to detect edges and segment areas in images. In order to sharpen blurred edges local contrast information of an image and erosion/dilation properties of local min/max operations are used in which local min/max operations are fuzzy logic operations. so that given images are transformed to fuzzy images and then these operations are applied on them. In this method the sharpening operation can be iteratively applied to the image to get better deblurring effect and gray-scale "salt-and-pepper" noises are suppressed. the efficiency of our algorithm is demonstrated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with artificially-made blurred images and real blurred images.

  • PDF

뉴욕시 초고층주거 외장재 연구 (A study on the Exterior materials of Super High Rise Housing in New York City)

  • 신수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7-10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rior materials of super high-rise housing more than 30 stories which were built in New York City between 1924 and 2004. The result of examining 153 buildings was as follows; Exterior materials of super high-rise housing which were used bricks, of the salt-glazed bricks, terra-cotta and ceramic tiles, jumbo bricks and bricks were preferred among them. The colour of bricks was yellow, yellow ochre, clear brown, brown, dark brown, orange, vermilion and red. Exterior materials of super high-rise hotel and hotel apartment were bricks and ceramic tiles in the early days but stones, curtain wall and glass(green glass, green-tinted glass, brown-tinted glass, black glass) after 1980s. The main colour of buildings extended gray, green, blue-tinted brown-tinted and black.

  • PDF

"한국수산지" 를 통해 본 1910년경 충남 서해안 지역 수산업에 관한 경제지리학적 고찰 (The Economic-Geographical Consideration of Fisheries of the West Coast Area, Chungnam in the 1910s in "Hangooksusanji")

  • 조창연;김학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3-1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ulcorner$한국수산지$\lrcorner$ 를 통한 1910년경 충남의 수산업 현황 및 실태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충남 서해안 지역에는 30개의 포구가 있었으며, 이것들의 입지유형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I 유형은 중 $\cdot$소하천변에 위치한 포구, II유형은 금강본류 연안의 포구 III유형은 연안에서 외해에 접하고 있는 포구, IV유형은 만내에 입지하는포구, V유형은 연안도서지역의 포구들이다. 어종은 도미, 삼치, 가오리, 조기, 갈치, 새우등이며, 도미어업 근거지는 죽도 및 연도였으며, 조기어장은 전라도 칠산탄에서 충남연해 일대에 형성되었고, 갈치는 전 연안 각처에서 어획되었다. 제염업은 충남 전해안의 만입부에서 이루어졌으며, 대표적 지역은 서천만, 웅천만, 오천만, 안면도, 태안, 당진지역 등이다. 특히 태안군 지역에서 생산된 소금은 태안염이라 불릴 정도로 유명하였다. 금강 연안은 어촌이 32곳 있었으며, 하류지역인 금강구는 뱅어의 중심어장이었다. 비인만 지역은 23곳의 어촌이 있었는데, 어종은 조기, 갈치, 도미, 숭어, 가오리, 상어류, 멸치, 새우, 등을 어획하였다. 보령연해 지역은 33곳의 어촌이 입지하고 있었지만, 제염업이 성하여 어업은 크게 발달하지 못하였다. 천수만 지역은 28곳의 어촌, 태안반도 및 가로림만 연안에는 70여 곳의 어촌, 아산만 지역은 55곳의 어촌이 기록되어 있지만, 이들 지역이 농업을 주로 행하였기 때문에 염업이나 간석지를 중심으로 어전어업 정도가 발달한 정도였다. 서해 도서 지역 중 안면도 남쪽 지역은 주목망 어업이 가장 발달한 해역이었고, 금강 하구의 도서지역은 도미의 중심어장이었다.

  • PDF

PVA-SbQ 수용성 감광성 고분자의 구조와 감도관계 및 칼라 수상관 스크린 공정에의 응용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of PVA-SbQ Water Soluble Photosensitive Polymer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Process of Color Monitor)

  • 박이순;한윤수;김봉철
    • 공업화학
    • /
    • 제7권2호
    • /
    • pp.379-386
    • /
    • 1996
  • 광 이량화 특성을 나타내는 1-methyl-4-[2-(4-diethylacetylphenyl)ethenyl] pridinium methosulfate(SbQ-A염)를 dimethyl sulfate, terephthalaldehyde mono-(diethyl acetal) 및 4-picoline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SbQ-A염을 PVA와 반응시켜 동일(MW=77,000-79,000g/mol) 분자량을 가진 PVA내 SbQ의 함량이 다른 PVA-SbQ-H 시료 및 SbQ의 함량은 약 1.3mol%로 같으나 PVA의 분자량이 다른 PVA-SbQ-L들을 합성하였다. Gray scale(GS)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PVA-SbQ 수용성 감광성 고분자의 상대감도는 PVA내 SbQ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PVA의 분자량이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PVA-SbQ-H의 경우 SbQ 함량이 2.63mol%인 시료는 PVA에 ammonium dichromate가 혼합된 기존시료보다 90배 증가된 감도를 나타내었다. PVA-SbQ를 사용하여 형광체 슬러리를 제조하고 사진식각공정을 거쳐 형광체의 미세패턴을 형성하였다. 형광체 슬러리 제조시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etyltrimethyl ammonium chloride를 첨가제로 사용하면 형광면의 해상도가 증가됨을 알았다.

  • PDF

파프리카 양액재배에서 발생하는 잿빛곰팡이병 방제에 대한 칼슘제제의 효과 (The Suppressive Effects of Calcium Compounds against Botrytis cinerea in Paprika)

  • 윤철수;용영록;김병섭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1072-1077
    • /
    • 2010
  • 본 실험은 7가지의 칼슘제제; calcium sulfate dihydrate, calcium chloride, calcium nitrate, calcium oxide, calcium hydroxid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ide가 포함된 PDA배지에서 잿빛곰팡이 균의 방제효과를 알고자 실시되었다. 선발된 칼슘제제의 pH는 8.2-10으로 대조구인 pH 6.6보다는 높게 측정되었다. 7가지 칼슘제제가 포함된 PDA배지에서의 잿빛곰팡이병 방제 colony size(mm) 결과는 calcium carbonate, calcium oxide, calcium hydride, calcium hydroxide가 다른 칼슘제제들 보다 잿빛곰팡이병 억제에 효과가 좋았다. 선택된 4개의 칼슘제제를 식물체에 처리 한 후 잿빛곰팡이병의 포자를 살포한 실험과 희석된 4개의 칼슘제제)를 표준 양액재배에 첨부하여 한 달간 양액을 공급한 후 잿빛곰팡이병의 포자를 접종한 실험결과는 칼슘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보다는 칼슘제제를 처리한 실험구에서 잿빛곰팡이병의 발생률이 대체적으로 낮았다. 칼슘제제를 처리한 파프리카 식물체에서 잿빛곰팡이병 억제에 대하여서는 칼슘제제 처리에 따른 어느 정도의 염기스트레스의 영향 등으로 볼 수가 있겠다.

알루미늄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내화재용 Mayenite 합성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Mayenite by Using Recycled Aluminium Resource for Application in Insulating Material)

  • 임병용;강유빈;주소영;김대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6호
    • /
    • pp.65-72
    • /
    • 2020
  • 블랙 드로스는 알루미늄을 재활용하는 과정 중에 플럭스 사용에 의해 발생되는 짙은 회색의 드로스로서, NaCl, KCl, Al2O3, MgO 등이 포함되어 있다. 블랙 드로스는 용해(dissolution) 공정을 통하여 용해성 물질(NaCl, KCl)과 불용해성 물질(Al2O4, MgO)로 분리가 가능하다. 이중 용해성 물질의 경우 Salt flux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Al2O3, MgO의 경우 합성 공정을 통하여 다양한 세라믹 소재로 업사이클링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블랙 드로스로부터 회수한 Al2O3, MgO를 이용하여 Mayenite를 합성 하였으며, 배합 비율 및 반응 온도 조건에 따른 합성을 실시하였다. 블랙 드로스(spinel)와 CaCO3를 이용하여 Mayenite를 합성할 시 700 ℃에서 Mg0.4Al2.4O4, CaO로 변하며, 800 ℃ 이후부터 Ca12Al14O33(Mayenite)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합 조건에는 CaCO3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Mayenite XRD 피크가 증가하며, Mg0.4Al2.4O4 XRD 피크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BET 분석 결과 Mayenite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미세한 입자가 성장되고 응집됨에 따라 비표면적은 감소하는 거동을 보였다.

A Noisy-Robust Approach for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Tong, Ying;Shen, Yuehong;Gao, Bin;Sun, Fenggang;Chen, Rui;Xu, Yef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4호
    • /
    • pp.2124-2148
    • /
    • 2017
  • Accurat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ER) requires reliable signal filtering and the effective feature extraction. Considering these requirement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pproach for FER which is robust to noise.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work are: First, to preserve texture details in facial expression images and remove image noise, we improved the anisotropic diffusion filter by adjusting the diffus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wo factors, namely, the gray value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background and the gradient magnitude of object. The improved filter can effectively distinguish facial muscle deformation and facial noise in face images. Second, to further improve robustness, we propose a new feature descriptor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with the Canny operator (Canny-HOG) which can represent the precise deformation of eyes, eyebrows and lips for FER. Third, Canny-HOG's block and cell sizes are adjusted to reduce feature dimensionality and make the classifier less prone to overfitting. Our method was tested on images from the JAFFE and CK databases. Experimental results in L-O-Sam-O and L-O-Sub-O modes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Meanwhile, the recognition rate of this method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presence of Gaussian noise and salt-and-pepper noise conditions.

일본 오이타현 우스키 마애불상군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 (Deterioration Evaluation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Usuki Stone Buddha Statues in Oita, Japan)

  • 조지현;이찬희;김지영;마사유키 모리;이명성;김사덕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9-52
    • /
    • 2012
  • 일본 오이타현에 위치한 우스키 마애불상군은 12~14세기에 걸쳐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총 60여개의 석불군으로 이루어진 일본의 대표적인 석조문화재이다. 이 불상군을 이루는 기반암은 아소-4 화산쇄설암 층군에 포함되는 암회색 응회암이다. 이 석불군의 호키 I군과 후루조노를 대상으로 훼손지도를 작성한 결과, 호키 I군에서는 균열 약 121개, 염풍화로 인한 박락 19%, 흑색변색 5%, 생물학적 훼손 51%로 나타났고, 후루조노는 균열 약 48개, 염풍화로 인한 박락 24%, 생물학적 훼손 41%로 산출되었다. 암반에 균열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호키 I군에서는 사면안정성 평가를 통해 전체적으로 평면, 전도 및 쐐기파괴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초음파속도 측정을 수행한 결과, 애염명왕(기반암)은 1,520~2,794(평균 2,298)m/s를 보였으며, 동종암석으로 교체된 아미타여래좌상의 대좌(신부재)는 3,242~4,141(평균 3,813)m/s로 측정되어, 이들은 약 1,600m/s의 물성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적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균열, 공동, 탈락, 마모 및 박리박락 부분에 대한 보존처리 및 보강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본 우스키 석불군의 재질특성과 보존처리제 적용 효과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Efficiency of Treatments for Usuki Stone Buddha Statues in Japan)

  • 이명성;이재만;이선명;김사덕;모리 마사유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78-91
    • /
    • 2011
  • 일본 우스키 석불군의 주요 구성암석은 용결응회암으로 암회색을 띠며 렌즈상 피아메가 발달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암편을 함유하고 있다. 이 암석은 대체로 장석 및 불투명 광물 등으로 이루어진 기질에 석영과 장석 반정이 관찰되며 강용결에서 약 또는 미 용결까지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인다. 또한 지하수에 의한 염류 석출, 동결 파쇄 등 다양한 풍화요인에 의해 강도가 저하된 상태이다. 이 암석의 용결 및 풍화상태에 따라 보존처리제의 표면처리 실험 결과, 흡수율은 발수제가 강화제에 비해 높은 감소를 보이며 강화제 중에서는 OH 100이 높은 감소율을 보인다. 초음파속도는 전체적으로 KSE 300과 OH 100이 비슷한 강도증가를 보이며 에코팁 표면경도는 모든 시료에서 KSE 300이 높은 경도증가를 나타냈다. 색변화는 강화제가 발수제에 비해 적었으며 발수제 SNL은 표면색의 변화가 현저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동결-융해 실험 결과, 미처리 시료에 비해 KSE 300으로 처리한 시료가 균열 및 깨짐 등에 대한 풍화 저항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