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y matter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초

65세부터 85세 여성의 뇌 구조 부피 변화 조사 (Investigating Volumetric changes of Brain Structure in Women Aged 65 to 85 Years Old)

  • 김용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47-956
    • /
    • 2020
  • 인간의 신체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구조 및 기능이 저하되어 다양한 질병에 취약해지게 된다. 특히 뇌구조의 변화는 혈관 및 대사성 뇌 질환과 같은 질병에 대한 면역 체계가 취약해지고 신경정신질환에 쉽게 노출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뇌 구조를 비침습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65세에서 85세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뇌 부피, 회백질, 백질, 피질하부 영역의 부피가 노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 하는지 패턴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로 피질하부영역에서 선형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변화 패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 구조 영역의 노화로 인한 변화가 노년기 신경정신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노년기 뇌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령별 대뇌 피질 두께의 성별 차이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 (Morphological Analysis of Age-related Gender Differences in Cortical Thickness)

  • 서해석;김수현;윤의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3-63
    • /
    • 2023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from the genetic system to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al expression such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rtical thickness differ between males and female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Human Connectome Project (HCP). To analyze age-specific sexual dimorphisms of cortical thickness, selected 8-80 year old subjects were divided into five detailed age range groups according to each criterion. A total of 1,700 individual brain MRI T1 data were registered in stereotaxic space for analysis and classified into white matter (WM), gray matter (GM), and cerebro-spinal fluid (CSF). For surface-based analysis, the WM/GM surface was reconstructed from a spherical polygon model with 40962 vertices per hemisphere, and each vertex was extended to the GM/CSF boundary. Cortical thickness was then measured between each vertex using the t-link metho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intracranial volume was used as a covariate to exclud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in brain size of each individual, and the result of using age as a covariate was added to confirm the age effect within each group. Gender differences in cortical thickness had significant results by group. This may be an index to explain diseases with sexual dimorphism in prevalence or become a basis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x that appear in behavior, personality, and aging. Therefore, the results of our study could be a criterion for age classification in future studies and for understanding 'normal' sexual dimorphism.

PET/CT 시스템에서 감쇠지도를 만들기 위한 저선량 CT 평가 (The Evaluation for Attenuation Map using Low Dose in PET/CT System)

  • 남소라;조효민;정지영;이창래;임한상;박훈희;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3호
    • /
    • pp.134-138
    • /
    • 2007
  • 현재의 PET/CT 시스템은 양질의 CT 영상을 추가함으로 인하여 기존의 PET 만의 시스템에 비하여 정확한 병소 위치의 지정으로 인한 진단적 가치를 높인 뛰어난 장비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PET/CT 시스템은 기존의 PET시스템에서 감쇠 지도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던 $^{68}Ge$ 또는 $^{137}Cs$ 등의 투과선원이 아닌 CT data를 감쇠 지도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감쇠보정을 위한 획득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었다. 그러나 이 감쇠 보정용 CT의 사용은 환자의 피폭선량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PET/CT 시스템에서 PET 영상의 감쇠지도로 쓰이는 CT를 수행할 경우 원하는 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최저의 관전류값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영상 획득을 위한 기기로는 GE DSTe PET/CT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3D 호프만 팬텀과 원통형 팬텀에 1.190 mCi의 $^{18}F-FDG$를 주입하여 PET 영상 및 CT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관전류를 140 kVp, 조사시간을 8초로 고정한 상태에서 CT의 관전류 값을 95 mA, 45 mA, 40 mA, 35 mA, 30 mA, 25 mA, 20 mA, 15 mA, 10 mA로 바꾸어가면서 영상을 획득하여 감쇠지도를 만든 후 그 data를 이용하여 재구성한 각각의 PET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다. 영상평가를 위한 지표로는 CT 영상의 표준편차와 PET 영상에서의 회백질과 백질과의 비의 값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호프만 팬텀을 이용한 PET 영상에서의 회백질과 백질의 비율은 감쇠지도용 CT의 사용 관전류 95 mA, 45 mA, 40 mA, 35 mA, 30 mA, 25 mA, 20 mA, 15 mA, 10 mA에서 각각 3.79:1, 3.79:1, 3.78:1, 3.78:1, 3.77:1, 3.72:1, 3.72:1, 3.76:1, 3.76:1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하여 GE DSTe PET/CT 시스템의 경우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최저의 관전류로 영상을 재구성하여도 PET 영상의 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GE DSTe PET/CT 시스템에 한정되어 수행된 연구로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에서도 지속적인 연구를 하여 환자에 대한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영상 획득방식의 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3T MR 스핀에코 T1강조영상에서 적정의 숙임각 (3T MR Spin Echo T1 Weighted Image at Optimization of Flip Angle)

  • 배성진;임청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2호
    • /
    • pp.177-182
    • /
    • 2009
  • 목 적 : 영상진단영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3T(T, tesla) MR의 스핀에코(SE, spin echo) T1강조영상(T1-Weighted image)기법에서 숙임각(FA, flip angle)의 변화에 따른 영상의 질을 나타내는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대조도 잡음비(CNR, contrast to noise ratio)를 평가한 후 특이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줄이면서 CNR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정의 숙임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고식적 스핀에코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90$^\circ$ RF pulse 대신 50$^\circ$ RF pulse에서 130$^\circ$까지 10$^\circ$씩 증가시키면서 대뇌 T1강조영상을 획득하였다. 이 영상들에서 백질(WM, white matter), 회백질(GM, gray matter)과 배경(background)에서 각각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SNR를 구하였고, 기존의 T1 이완곡선 R1 = 1- exp ($\frac{-TR}{T1}$)으로, 즉 Ernst angle cos $\theta$ = exp ($\frac{-TR}{T1}$)과의 관계성으로 T1강조영상에서 WM과 GM의 SNR과 CNR의 정규성 검정과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분석으로 적정의 숙임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 WM와 GM의 신호강도와 배경잡음 신호강도를 이용하여 SNR를 구한 결과 WM의 SNR는 숙임각 50$^\circ$보다 130$^\circ$에서 1.6배 정도 증가하였고, GM의 SNR는 약 1.9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두 조직의 SNR은 T1 이완곡선과 동일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R1 = 1- exp ($\frac{-TR}{T1}$)으로 분석한 SNR의 신호증가가 둔화되는 기점이 WM은 120$^\circ$의 숙임각에서, GM은 110$^\circ$ 이후로 나타나 두 조직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M과 GM의 SNR는 130$^\circ$의 숙임각에서 높았지만 CNR에 있어서는 80$^\circ$에서 최고 높게 나타났으며, 80$^\circ$ 전후의 숙임각에서는 감소하였다. 결론 : 3.0T MR의 SE T1강조영상 기법에서 숙임각의 증가에 따라 SNR는 증가하였지만 CNR는 이전까지의 임상에서 사용하는 숙임각이 90$^\circ$ 보다 적은 80$^\circ$에서 CNR이 최고로 나타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숙임각보다 10$^\circ$ 낮은 RF pulse duration time 사용함으로써 3T에서 문제로 제기된 SAR도 줄일 수 있었다. 앞으로 3.0T MR의 SE T1강조영상 기법에서 적정 숙임각을 사용함으로서 CNR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

반전 시간의 변화가 정상인의 뇌 체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hanges of Inversion Time Effect on Brain Volume of Normal Volunteers)

  • 김주호;김성후;신화선;김지은;나재범;박기수;최대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4호
    • /
    • pp.286-293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2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반전 시간 (inversion time, TI)의 차이에 의한 뇌 영상을 획득하여 체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MPRAGE (magnetization prepared rapid acquisition gradient echo) pulse sequence, 절편두께 1.5 mm, 4개의 반전 시간 (800 ms, 900 ms, 1000 ms, 1100 ms)을 이용해 뇌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뇌 영상을 이용해 백질 (white matter, WM), 회백질(gray matter, GM), 그리고 전체 뇌 체적(intracranial volume, ICV)을 측정하고 각 TI 별로 뇌 체적 및 성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 Freesurfer로 산출된 뇌 체적은 평균 ICV=$1278.94{\pm}154.92cm^3$를 이용하여 정규화 하였고, 평균 WM=$486.52{\pm}48.64cm^3$, 평균 GM=$646.83{\pm}57.12cm^3$ 이었다. 남자의 뇌 체적 (WM, GM, ICV)은 여자보다 컸다. 측정간 신뢰도 테스트에서 급내 상관 계수는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WM 0.992, GM 0.988, ICV 0.997). 반복측정 분산분석에서는 GM과 ICV는 각 TI에서 유의수준 내에서의 차이가 없었지만 (GM p=0.143, ICV p=0.052) WM는 유의수준 내에서의 차이가 있었다 (p=0.001). 선형 구조 관계 분석에서는 피어슨 상관 계수가 모두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결론 : WM, GM, ICV는 높은 신뢰도와 선형 구조 관계를 나타내었고 WM는 각 TI에서 유의수준 내에서의 차이를 보였다. 20대 건강한 성인의 뇌 체적의 자료는 환자들과의 비교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뇌의 구조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I의 변화에 따라 대조도, 잡음비 그리고 병변의 검출 능력을 조사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luid Accumulation in Canine Tympanic Bulla: Radiography, CT and MRI Examinations

  • Lee, Young-Won;Kang, Sang-Kyu;Choi, Ho-J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6-181
    • /
    • 2008
  • Fluid accumulation within the tympanic bulla is an important diagnostic indicator of canine otitis media although its identification can be a challenge using currently available imaging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adiography, computed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e identification of fluid accumulation within canine tympanic bulla. Unilateral tympanic bulla in 10 beagles were experimentally filled with blood or saline. Quantitative analysis of CT images were obtained by using Hounsfield unit (HU). MR signal intensity was obtained by using region of interesting (ROI) and compared with those of gray matter. On the CT image, the presence of blood or saline produced a fluid opacity occupying the tympanic bulla. On the MR image, the appearance of blood in the tympanic bulla was isointense in T1-weighted images and hyperintense in T2-weighted images. However, the appearance of saline in the tympanic bulla was hypointense in T1-weighted images and hyperintense in T2-weighted images. This study suggest that CT and MR imaging are useful methods for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fluid in canine tympanic bulla.

퍼지클러스터링 기반 의료 영상 워터마킹 (Fuzzy Clustering Based Medical Image Watermarking)

  • ;김종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7호
    • /
    • pp.487-494
    • /
    • 2013
  • 의료 영상 워터마킹은 헬스케어 정보 시스템의 보안 서비스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워터마킹을 삽입할 최적의 서버 블록 위치 선택을 위한 개선된 퍼지 클러스터링 기법, 이산 웨이블릿 변환 및 이산 코사인 변환을 분할된 회백질 의료 영상에 적용한 블라인드 의료 영상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결과, 제안한 워터마킹 기법은 기존의 기법들보다 PSNR과 M-SVD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제안한 워터마킹 기법은 노이즈 첨가, 필터링, JPEG 압축, 블러링, 히스토그램 균일화, 크로핑과 같은 공격에서도 기존의 기법들보다 정규화된 연관성 값에서 보다 강인함을 보였다.

Down syndrome with asymptomatic neuroglial cyst: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Yang, Seung Do;Lee, Seung Ju;Lee, Dong Hwan;Hong, Yong H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4권2호
    • /
    • pp.67-70
    • /
    • 2017
  • Down syndrome (DS, trisomy 21) is associated with neuroanatomical abnormalities, including choroid plexus cysts and various types of brain tumors. Trisomy 21 is associated with oncogenic factor, especially in brain tumor. The brain of DS patients had a smaller volume of gray and white matter and an unbalanced cerebellum volume, indicating a smaller volume overall than normal. We report a case of a DS male patient who had an incidentally discovered neuroglial cyst in left cerebellar vermis. He visited our hospital with gait disturbance and fatigue. But, the neurologic exam was normal.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a neuroglial cyst in a trisomy 21 patient. As the developmental mechanisms of a cyst and the choroid plexus are related, more research is needed.

MRI T2강조영상에서 측두하악관절 원판 후 조직의 상대적 신호 강도에 대한 연구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RETRODISCAL TISSUE IN TMJ USING A T2-WEIGHTED MRI)

  • 예영근;이상화;윤현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5호
    • /
    • pp.457-462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TMJ retrodiscal tissue in T2-weighted MRI as diagnostic marker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58 temporomandibular joints from 29 TMD patients (14 men & 15 women) were evaluated.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retrodiscal tissue in T2-weighted MRI was referenced to brain gray matter same size of the region of interest(ROI). The collected data was compared to disc positions (normal,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the presence of joint effusion.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retrodiscal tiss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disc was displaced without reduction. And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retrodiscal tiss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joint effusion was present. The results suggest that evaluating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TMJ retrodiscal tissue using a T2-weighted MRI is valuable as a non-invasive tool for diagnosing the procession of TMD.

턱관절 질환환자의 MRI상 원판후 조직의 상대적 신호강도에 대한 연구 (A RESEARCH FOR THE RELATIVE SIGNAL INTENSITY OF THE RETRODISCAL TISSUE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S ON MRI)

  • 하원석;윤현중;이상화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11-216
    • /
    • 2007
  •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MD) often show muscular disorder, internal derangement and degenerative change of articular surface of the condyle. It is important to choose adequate diagnostic method for obtaining data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has some advantages, because it shows good resolution image for the soft tissue and it is not invasive to the human body. We have performed serial research about the retrodiscal tissue of the TMJ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disease, using T2 weighted image, since 2002. In this study, we applicated resized observation area to compare signal intensity between the retrodiscal tissue of the TMJ and cerebral gray matter, using T2 weighted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