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m

검색결과 3,602건 처리시간 0.034초

산업체 작업환경의 실내 공기에서 미생물 오염도 (Microbiologic Pollution of Indoor Air in Industrial Work-Places)

  • 강경희;장명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14-327
    • /
    • 1999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isolate identify the total bacteria and fungi from the indoor air of work-place of the shoes, paint, stainless steel, and plastic industries. The number of bacterial colonies on the nutrient agar plates were calculated by the open petridish method for 30 minutes in indoor air of work-places at the autumn and winter. The isolated bacteria were identified by Gram stain and biochemical test using API Staph and API 20E kits. The isolated fungal colonies were identified by gross appearance of the giant colonies and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ir spore and hyphal characteristics on the slide culture metho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everal antibiotics against isolated bacteria was determined by the microdilution method with Mueller-Hinton broth. The 70-400 colonies in autumn and 54-236 colonies in winter were isolated from the indoor air of work-places of several industry. The isolation rates of Gram positive cocci, Gram positive bacilli, Gram negative bacilli, and Gram negative cocci were 46.3%, 19.8%, 17.3%, and 16.1%, respectively. In Gram positive cocci, the most strains were identified as Aerococcus spp, Micrococcus spp, and Staphylococcus spp. In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illi, and Gram negative cocci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p, Pseudomonas spp, and Neisseria spp, respectively. The frequently isolated fungi were Aspergillus spp, Penicillium spp and Rhizopus spp, respectively. The frequently isolated Aerococcus spp, Micrococcus spp, and Staphylococus spp were highly resistance against ampicillin, erythromycin, methicillin, and tetracycline. These results arouse our attention to microbiologic pollution in the indoor air of work-places of industries.

  • PDF

사여과수에 존재하는 우점세균의 중압 자외선 램프 소독능 (Disinfection Efficiency of Medium Pressure UV Lamp on Major Bacteria in Sand Filtered Water)

  • 안승구;양윤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141-1146
    • /
    • 2010
  • 상수공급계 모래여과수에 존재하는 종속영양 호기성 세균을 NA 및 TSBA 고체배지로 분리하고 군체의 형태 및 색체로 구분 정량하여 우점종 8종을 선정, 정제하고 Sherlock System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각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액체배양한 후 세정하여 $10^6{\sim}10^7\;cells/mL$ 증류수 현탁액을 조제하여 CBD 중압 자외선 램프로 0, 5, 16, 40, $60\;mJ/cm^2$ 조사량으로 조사한 후 희석, 평판배지에 접종 배양하여 생존 세균농도를 정량하여 불활성화율을 평가하였다. Gram 양성균으로 Bacillus subtillis, Bacillus megaterium, Rhodococcus erythropolis, Microbacterium laevaniformans 등이 Gram 음성균으로 Pseudomonas pseudoflava, Pseudomonas vesicularis, Alcaligenes paradoxus, Zooglea ramigera 등이 동정되었다. 분리된 세균종들은 중압 자외선 조사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표준균주보다 강하였다. 또한 Gram 양성세균이 Gram 음성세균에 비해 월등히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중압 자외선 램프를 상수처리장의 소독목적으로 도입할 경우 $60{\sim}100\;mJ/cm^2$의 조사량으로 높여 조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op-down 방식의 열분해질량분석 스펙트라 분석 및 Gram-type 세균 분류 (Analysis of Pyrolysis MS Spectra in Top-down Approach and Differentiation of Gram-type Cells)

  • 김주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19-725
    • /
    • 2011
  • To apply TMAH-based Py-MS to a field biological detection system for real-time classification of cell-type, reproducible patterns of the TMAH-based Py-MS spectra was known as a critical factor for classification but was seriously disturbed by quantity of cells injected into pyro-tube. This factor is an exterior variable that could not be complemented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TMAH-based Py-MS instrument. One of idea to solve the knotty problem has been flashed from "Top-down proteomics for identification of intact microoganisms". That is, biomarker peaks are selected from complicate Py-MS spectra for intact microoganisms by tracing out their origins, based on Py-MS spectra for the featured components of different cell-types, in Top-down approach. This idea has been tested in classification of different Gram-type microoganisms. Through the analyses of spectra for the featured components - peptidoglycan and lipoteichoic acid for Gram-positive cells and lipopolysaccharide and lipid A for Gram-negative cells - with comparing to the spectra the corresponding Gram-type cells in the Top-down approach, biomarker peaks were selected to carry out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order to see classification of different Gram-types, resulting in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ir classification. Furthermore, weighting biomarker peaks on intact cell's spectra, based on the data for the featured components of the Gram-types, contributed to elevate classification performance.

GRAM 모델을 이용한 폐탄광 지역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 분석 (GRAM Model Analysis of Groundwater Rebound in Abandoned Coal Mines)

  • 최요순;백환조;정영욱;신승한;김경만;김대훈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2권6호
    • /
    • pp.373-382
    • /
    • 2012
  • 폐광된 광산에서는 채광장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펌핑 작업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채광 공동이나 채광장 주변 지층에서 지하수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한다. 그동안 폐광산 지역의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수치모델들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폐탄광지역의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 분석시 활용할 수 있는 VSS-NET, GRAM, MODFLOW 모델에 대해 조사하고, 공간적/시간적 규모에서 각 모델의 적용 범위에 대해 소개하였다. 특히, GRAM 모델에 대해서는 상세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포트란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GRAM 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동원탄광 수갱의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을 분석하였으며, 현장의 지하수위 계측 결과와 GRAM 모델의 분석 결과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급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와 아디핀산의 항균작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ntibacterial Activity of Adipic Acid and Medium Chain Monoglycerides)

  • 장재권;신웅규;이상호;한은상;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38-1044
    • /
    • 1997
  • Gram 음성 및 Gram 양성균, 효모와 곰팡이의 총9종의 균주에 대해 탄소수 8-12의 저급지방간 모노글리세라이드와 아디핀산의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Gram 음성균에 대해서 저급지방산 모노글리는 단독으로 거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AP와 혼합첨가시 적은 농도에서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농도의 AP에 대해서 MG C8이 MG C10보다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Gram 양성균은 저급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단독으로도 항균효과가 있었으나 높은 농도가 첨가되어야 하며 AP를 혼합첨가하면 Gram 음성균과 마찬가지로 적은 농도에서도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유산균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적었다. 또한 효모 및 곰팡이는 AP보다는 모노글리세라이드가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Gram 양성균과 효모 및 곰팡이는 Gram 음성균과는 달리 모노글리세라이드중 MG C10이 MG C8보다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합성 세라믹분말에 대한 항균성물질의 흡착 및 내열성 (Adsorption and Thermostability of Antimicrobial Agents on Synthetic Ceramic Powder)

  • 김현수;성림식;유대식
    • KSBB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594-599
    • /
    • 2000
  •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세라믹 포장필름의 제조를 위해 합 성세라믹에 항균성 물질의 홉착 및 내열성올 조사하였다. 메 탄올자화 방선균 MO-16 및 MO-17이 생산하는 천연 항균성 물질은 ethylacetate로 추출하였으며, $121^{\circ}C$, 171압에서 30분간 열처리시 안정하였고 Gram(+)세균 및 Gram(-)세균에 대해 넓은 항균 spe$\xi$trum을 보였다. 항균성 물질을 합성 세라믹 Ce-1에 흡착시켜 열처리한 결과 $105^{\circ}C$$230^{\circ}C$에서도 항균효과 를 보였다. 또한 열처리 후 methanol로서 홉착된 항균성물질 을 Ce-l으로부터 재추출하여 잔존활성을 검토한 결과 Gram( + )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230^{\circ}C$, 30분 처리시에도 안정하였다. 항균성 물질의 내열성에 대한 산소의 영향은 Ce-1에 흡착시 산소의 유무에 관계없이 효과적인 안정성을 보였다.

  • PDF

The Recovery Phenomena of the Cold Worked Pure Zirconium

  • Jung, Dae-Young;Yoon, Jong-Kyu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5-23
    • /
    • 1975
  • 냉간 압축가공한 순수 지르코늄의 회복현상을 X-ray line broadening과 미소경도 (microhardness)를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Isochronal 소둔한 결과에서 경도나 X-ray line breadth가 30$0^{\circ}C$이하에서는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같은 크기의 냉간가공도에서 X-ray line breadth의 회복속도는 경도의 회복속도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가공도에 상관없이 X-ray line breadth의 회복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는 경도의 회복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8%, 19%, 28% 냉간가공한 지르코늄에서의 X-ray line breadth의 회복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64,800cal/gram atom, 56,400 cal/gram atom, 48,500 cal/gram atom이였으며 경도의 회복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는 72,800 cal/gram atom, 64,300 cal/gram atom, 58,600 cal/gram atom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lor N$\times$M-grams를 이용한 영상 분류 (Image Categorization Using Color N$\times$M-grams)

  • 이은주;정성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402-404
    • /
    • 1998
  • 최근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의 급증으로, 영상의 특징 요소들의 유사성(similarity)에 근거하여 영상을 분류.검색하는 기술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칼라영상의 분류를 위해 기존의 N$\times$M-grams를 변형한 Color N$\times$M-grams를 제안한다. Color N$\times$M-grams는 영상의 칼라정보를 이용하여 영상고유의 구조 정보를 추출한 후 유사성을 측정하여 영상을 분류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39쌍의 Benchmark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Color N$\times$M-grams를 사용한 방법이 기존의 N$\times$M-grams를 사용하여 칼라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보다 1순위로 분류되는 비율에 있어서 약 19%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 PDF

호기성 대마침지 중 그람음성세균 군집의 군락형성 (Colonization of gram-negative bacterial community in aerobic hemp retting)

  • 임종락;정계효;한홍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0-66
    • /
    • 1988
  • Dynamics of bacterial communities and its colonization under aerobic gemp retting were observed in air lift fermentor as a closed system, unlike conventional hemp retting as an open system. Dried hemp which was harvested in both 1986 and 1987 was retted at room temperature. Predominant community was facultatively anaerobic Gram-negative rods, and its density was increased from $3.0\times 10^{7}$ cells/ml to $9.0\times 10^{8}$ cells/ml. The density of facultatively nanerobic Gram-positive fods was maintained at the lovel of $5.0\times 10^{6}$ cells/m, and this Gram-positive bacterial community was not participated in retting. In the Gram-negative bacterial community during the retting, five types of colonieswere developed at early stage of pH7.0-8.0, and thereafter, only three types were colonized till later stage, shich were identified as pectolytic strain Erwinia salicis, Erwinia tracheiphila and Enterobacter agglomerans. A community of facultatively Gram-negative rods was mainly proliferated in stems and dispersed into liquor after 6-8 hours. Retting was terminated within 70-80 hours.

  • PDF

선별된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 세균에 대한 양극 전리수의 살균효과 (Bactericidal Effects of Anodic Electrolyzed Water on the Selected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 김점지;이미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1호
    • /
    • pp.1295-1300
    • /
    • 2007
  •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anodic electrolyzed water against various bacteria were studied in this investigation. Complete inactivation of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occurred within 15 s after exposure to anodic electrolyzed water. Moreover, 1/2, 1/5 and 1/10 diluted anodic electrolyzed water by adding deionized water showed strong antibacterial effects. However, the inhibitory effect of anodic electrolyzed water on the anaerobe of Propionibacterium acnes was much weaker than that on the aerobes, including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The degraded fragments of E. coli cell were observed upon treating anodic electrolyzed water for 1 min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