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vernance of innovation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5초

Institution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Korean case

  • Kang, Byung-Joo;Oh, Deog-Seong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4권2호
    • /
    • pp.46-61
    • /
    • 2015
  • There is an implicit assumption in most regional innovation policy studies that once a policy has been made the policy will be implemented. This assumption is not valid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formulated in many countries. This assumption rests upon certain political and organization conditions. It is frequently said that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Korea is one of the successful cases because of properly established institu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policies. The components of institution for innovation are defined in this article. For the analysis of institution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Korea, three aspects such as organization, policies & programs, and governance structure were taken into account. Institution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Korea is analyzed with three aspects: (1) organization for policy implementation, (2) innovation policy, and (3) governance structure. Firstly, organizations for innovation in Korea are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such as organizations for policy formulation, organizati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agencies for coordination. Secondly, there are two categories of policies for innovation: (1) policies for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olicies for the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building, and (2) policies for fostering manpower and policy for regulatory reform. Thirdly, innovation governance in Korea is composed of three layer structure: (1) top level governance which is composed of two committee, three ministries and two agencies, (2) local level governance such as one innovation related offices and one center for regulatory reform, and (3) one category of agency for coordination as a regional platform.

Collaborative Governance, Decent Work and Innovation: An Analytical Framework for Sustainable Workplaces Based on the Case of Philippine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 SALE, Jonathan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5권1호
    • /
    • pp.71-82
    • /
    • 2016
  • This paper explores, explains and describes a framework for analyzing collaborative governance, decent work and innovation as fundamental elements of sustainable workplaces through case study of Philippine science and technology (S & T) parks. Rules, or the legal infrastructure, are particularly significant considerations that facilitate or hinder collaboration. Industrial relations/human resource (IR/HR) practices are essential to collaboration and decent work. Employee consultation and labor-management council or committee are examples of IR/HR practices that might contribute to collaboration and decent work in firms and workplaces in S & T parks as they are team approaches to production, too. Collaboration and decent work enhance the capacity to innovate. In the long run, collaborative governance, decent work and innovation tend to converge in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interdependencies and interactions among collaborative governance, decent work and capacity to innovate in firms operating in S & T parks make possible new solutions to new problems (i.e., innovation) and, thus, sustainable workpl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Innovation and Corporate Governance: Empirical Evidence from Indonesia

  • ARIFIN, Mohamad Rahmawan;RAHARJA, Bayu Sindhu;NUGROHO, Arif;ALIGARH, Frank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3호
    • /
    • pp.105-112
    • /
    • 2022
  • The current study is at the forefront of examining the theory of principal-agent framework and financing constraints to explain the level of corporate innovation. To boost the firm's level of innovation, this study uses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driving factors. The study's secondary goal is to give information on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level of corporate innovation. This study used a two-step least square (TSLS)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such a simultaneous association using secondary data from Indonesian listed businesses from 2000 to 2021, which totaled around 1,910 observations. This study use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ool to test cumulative variances of potential corporate governance indicators such as the total commissioner of the firm (TCOM), total independent commissioner of the firm (INDPCOM), the proportion of institutional ownership (INSOWN), total female commissioner (FEMCOM), CEO duality (CEODUAL), and type of the firm (SOE). As a result, PCA reveals that four of these variables, omitting CEODUAL and SOE, were a corporate governance construct. Furthermore,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amount of firm innovation and corporate governance are related.

CDMA와 WIPI 기술정책의 성과요인 비교분석 : 혁신시스템, 거버넌스구조,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erformance Factors of CDMA and WIPI Technology Policies : Focusing on System of Innovation, Governance Structure, and Path Dependence)

  • 이효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1-190
    • /
    • 2019
  •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the cases of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to find out the success and failure factors of technology policies in the field of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For this purpose, the two cases are analyzed through a new analysis framework, which is made by combining System of Innovation with a range of variables derived from precedent studies, such as external environment, institutions, technological system, governance structure, and interactions of actor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in the CDMA case, the following factors led to success ; Korea made good use of the external opportunities in the early stage of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dopted a suitable governance structure for the technological system. Main actors in Innovation System had strong will for success and engaged in cooperative interaction. For the WIPI, however, the timing of technology policy was inappropriate and a unsuitable governance structure for technological system was chosen because of path dependence. The Innovation System failded to respond efficiently to the situation where conflicts among actors had intensified, US trade pressure had increased and innovative smartphones emer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policy; namely it is important to choose a governance structure that suits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and to activate cooperative interactions among actors in Innovation System.

과학기술혁신 패러다임 변화와 거버넌스 개편 방안 (Readjustment of STI Governance for Sustainability)

  • 성지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9-229
    • /
    • 2013
  • 이명박 정부 들어 큰 변화를 겪은 과학기술계는 차기 정부의 과학기술행정체제 개편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를 전개했다. 최근 우리나라는 추격의 대상이 주어졌던 과거와 달리 스스로 문제를 던지고 해결해야 하는 탈추격 상황에 있다. 그 과정에서 과학기술혁신정책은 삶의 질 제고, 지속가능한 발전, 불균형 해소 등 다양한 사회적 목표를 포괄하는 3세대 혁신정책 또는 통합형 혁신정책으로의 진화를 모색하며 관련 정책 및 부처 간의 연계 조정을 핵심 과제로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혁신 거버넌스를 둘러싼 과학기술혁신의 활동 환경 정책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차기 정부가 나아가야 할 혁신 거버넌스 개편 방향과 철학을 몇 가지 안으로 제시했다. 탈추격 혁신정책, 통합형 혁신정책 등의 철학적 기반 하에 혁신 거버넌스 개편 안으로 현행 체제를 유지하되 소프트웨어 개편을 강조하는 1안, 과학기술부 부총리 체제와 지경부의 발전적 해체를 강조하는 2안, 국과위의 발전적 개편을 강조하는 3안을 주장하였다.

  • PDF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 육성전략: 지역혁신 거버넌스의 대안 모색 (Promotion Strategies for Daegu-Kyungbuk Mobile Cluster: Searching for Alternative Regional Innovation Governance)

  • 이정협;김형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77-493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역혁신 거버넌스를 진단하고 구조적 문제점을 규명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인 지역혁신 거버넌스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삼성전자이라는 대기업 주도로 형성된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지역혁신의 거버넌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의 거버넌스 개념을 지식생산 및 지식활용 시스템을 연계하는 정책시스템, 그리고 이를 작동시키는 제도적 조건으로 정의하였다. 클러스터의 거버넌스 측정은 세계은행의 "Social Capital Assessment Tool (SOCAT)"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는 삼성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 간의 일대일 관계가 지배적인 생산네트워크, 분산된 연구개발 네트워크 그리고 다중 허브의 정책 네트워크의 특징을 보였다. 대부분의 정책기관들은 지역기업들과의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며, 정책기관들 간의 상호작용도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기업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은 지역의 문제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공동체의 목표를 공유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주요 지역의 프로젝트 리더들에 대한 신뢰의 수준은 높지 않았다.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의 경우 요소기술을 갖고 유사한 기술이나 제품의 개발로 결합될 수 있는 여러 개발업체간의 연대와 제휴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경상북도 등 지방행정주체들이 모바일상용화센터 등 다양한 혁신기관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기술 및 제품개발 협력체가 프로젝트 단위로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해체되고 재형성될 수 있는 환경과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

우리나라 대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overnance Structure Improvement of Large Corporate in Our Country)

  • 이재범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3-162
    • /
    • 2003
  • The governance structure of corporate is very important to raise the nation's economic efficiency and the operation result of firm. However, the innov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is a important problem to improve international confidence in our country, since most large corporate in our country has a promodern governance structure to be influenced in decision making of corporate group by minority governance-shareholder. Therefore, in our country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is very urgent. This study examine the improvement device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to be introduced in our country, and present the improvement direction to be suitable to our country's economic circumstance.

북유럽 디자인 거버넌스의 사회혁신 패러다임 분석 -핀란드, 덴마크, 독일의 디자인 주도 사회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ocial Innovation Paradigm of Northern European Design Governance - Focusing on Design-driven Social Innovation Cases in Finland, Denmark and Germany)

  • 전영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463-470
    • /
    • 2017
  • 본 연구는 공동체 위협을 극복하는 북유럽 국가들의 전략적 디자인 협업체계 분석을 통해 사회공유 서비스와 삶의 질적 가치인식을 제고하는 디자인 거버넌스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핀란드의 시트라(Sitra), 덴마크의 마인드 랩(Mind Lab), 독일의 걸리버(Gulliver) 프로젝트에서 살펴본 디자인 거버넌스는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문제 해결의 전 과정에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민 관 산 학 협의체의 개입을 장려하고 있다. 특히 시민은 정보 제공이나 일시적인 참여가 아니라 다른 거버넌스 구성원들과 함께 문제 해결 아이디어 개진과 새로운 정책 설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이 사례들에서 디자인 거버넌스는 사회 문제가 발생하는 현장 중심적 접근, 지역의 특수성과 다원주의,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정책 집행에 있어 불필요한 행정적 재정적 소모와 불편을 줄인다. 결과적으로 향후 디자인 정책 패러다임은 소수의 관계자들에 의한 정책 결정의 방식에서 민간 참여를 토대로 한 디자인 거버넌스 중심의 정책 설계와 다원적 모니터링의 개념으로 진화해야 할 것이다.

산업클러스터에서 혁신지구로: 도시의 산업혁신과 거버넌스 (From Industrial Clusters to Innovation Districts: Metropolitan Industrial Innovations and Governance)

  • 남기범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9-189
    • /
    • 2023
  • 본 연구는 혁신지구의 논의를 종합하고 혁신지구의 거버넌스 대안을 제시한다. 산업특화와 네트워킹, 가치사슬과 산업생태계에 중점을 두었던 클러스터정책은 이제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도시혁신의 시대, 산업, 주거, 여가의 융복합시대, 연관다양성의 시대에 적합한 혁신지구는, 다양한 중소규모의 혁신, 공방과 산업의 융복합으로 인한 협력과 대도시지역의 다양한 기반자원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의 통합성과 포용성을 강조한다. 민관 파트너십에 의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기반한 퀸터플 헬릭스의 구축, 장소성과 장소의 위신을 강화하는 물리적, 문화적 환경, 서비스업과의 융합이 중요하다. 산업적 측면을 넘어서 혁신지구는 도시 에메니티와 생활양식의 변화를 추동하고, 창조적 분위기 즉, 다양성, 생활양식, 매력, 개방성 등을 만들어내고, 이벤트, 거리예술, 야간활동 등 다양한 사회, 문화적 측면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사회적 활력과 경제적 상호작용을 증진한다. 혁신지구 거버넌스는 기업 간 교환, 조합, 지식과 자원의 창출을 촉진한다. 나아가 기업 간 교환에 의해 지식이 창출되면 거버넌스 체제의 변화에도 영향을 주어, 경직적이고 중앙집중적인 체제에서 개방적, 역동적, 유기적 체제로 진화하게 된다. 혁신지구 정책을 통해 기존의 중심업무지구(CBD)는 중심활력지구(CLD)로 변모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과 혁신정책의 재해석 (New Interpretation of Innovation Policy with Lenses of Societal Innovation Policy)

  • 송위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5-162
    • /
    • 2015
  •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기존 혁신정책을 재해석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기존 산업혁신정책의 프레임과 다른 틀로 혁신활동과 정책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이 갖는 정의와 특성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사회 기술시스템의 전환에 대한 전망과 시민사회의 참여에 대한 강조가 기존 관점과 차별화되는 점이라는 것을 논의한다. 다음에는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렌즈로 혁신정책의 요소들을 새롭게 해석한다. 혁신 거버넌스, 산업혁신정책, 지역혁신정책, 인프라 구축 정책과 같이 혁신정책의 핵심적 수단을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과 참여의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기존 혁신정책 수단을 재해석하고 성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