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erophosphate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8초

β-glycerophosphate 혼합시 인간 치수 세포에 대한 Portland cement의 생활성에 관한 연구 (A BIOACTIVITY STUDY OF PORTLAND CEMENT MIXED WITH β-GLYCEROPHOSPHATE ON HUMAN PULP CELL)

  • 오영환;장영주;조용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5호
    • /
    • pp.415-423
    • /
    • 2009
  • $\beta$-glycerophosphate는 치수의 상아모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물질이다. Portland cement는 수중에서 장기간에 걸쳐 용해되기 때문에 $\beta$-glycerophosphate을 혼합한 Portland cement는 수산화칼슘과 함께 $\beta$-glycerophosphate를 장기간 용출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beta$-glycerophosphate을 혼합한 Portland cament에 대한 인간치수세포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인간 치수 세포에 대한 $\beta$-glycerophosphat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농도의 $\beta$-glycerophosphate와 dexamethasone에 대한 인간 치수 세포의 ALP activity을 측정하였고 alizarin red S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beta$-glycerophosphate가 다양한 농도(10 mM, 100 mM, 1 M)로 혼합된 Portland cement에 대한 인간 치수 세포의 MTS assay, ALP activity를 측정하고 SEM으로 관찰하였다. 치수세포의 석회화 정도를 관찰한 연구에서 $\beta$-glycerophosphate와 dexamethasone 단독으로 적용하였을 때 거의 효과가 없었으나 5 mM $\beta$-glycerophosphate와 100 nM dexamethasone을 혼합 적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ALP acticity를 보였다. 분화제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모든 실험군에서 치수세포에 대한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Portland cement에 10 mM $\beta$-glycerophosphate을 혼합한 시편의 ALP activity가 대조군에 비교하여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beta$-glycerophosphate이 혼합된 Portland cement는 세포 독성이 없으며 첨가물이 없는 Portland cement에 비해 치수 분화 및 석회화를 더 많이 일으키므로 임상적으로 $\beta$-glycerophosphate을 혼합한 Portland cement 적용은 재료 하방에 더 많은 상아질을 형성시킬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산 초파리 집단의 유전 생화학적 연구: 노랑 초파리의 $\alpha$-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allele에 대하여

  • 정용재;한영수;정영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3-129
    • /
    • 1982
  • 한국산 초파리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생화학적으로 분석하여 분자유전학적 측면에서 집단 유전학적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한국산 노랑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의 11개 지역의 자연집단 (청량리, 등촌동, 신촌, 용산, 부천, 춘천, 대전, 대구, 광주, 나주 및 노화도)의 $\\alpha$-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alpha-GPDH) 인자형을 agarose gel 전기영동법에 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노랑초파리 11가지 자연집단에서 $\\alpha$-GPDH allele는 상당한 다형현상을 이루고 있다. 2. $\\alpha$-GPDH allele의 heterozygosity는 $45\\sim50%$로서 상다히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 3. $\\alpha$-GPDH allele의 FF 인자형의 빈도는 SS인자형과 비슷하나 FS 인자형보다는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4. $\\alpha$-GPDH allele의 F, S 두인자가 거의 비슷한 빈도를 보이고 있다.

  • PDF

트립토판 합성효소 잔기 치환체의 효소성질 결함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Mutant Tryptophan Synthases with Defective Enzymatic Properties)

  • 김일;신혜자;김한도;임운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2-254
    • /
    • 2004
  • $\alpha$소단위체 56번 잔기가 치환된 돌연변이 (D56E/G/N) 트립토판 합성효소의 효소활성도는 매우 낮다. 이러한 돌연변이 효소에 $\alpha$$\beta$소단위체 특이 리간드를 처리하여 그 영향을 조사하였다. 양이온은 야생종과 잔기치환체에 다른 흡광도를 보여주었다. 반면, glycerophosphate는 모두 비슷한 양상의 흡광도를 보여주고 있다. glycerophosphate는 $\alpha$소단위체의 활성부위에 결합함으로 $\alpha$소단위체에 기질이 결합된 반응 단계에서는 56번 잔기가 $\alpha$$\beta$소단위체간의 이소조절에 관여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잔기 56번 치환 효소는 $\alpha$소단위체로부터 기질이 떨어진 이후에 일어나는 반응 단계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트립토판 합성효소의 이소조절성에 미치는 리간드 (Effects of Ligands on the Allosteric Property of Tryptophan Synthase)

  • 김일;신혜자;임운기;김한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16
    • /
    • 2004
  • 트립토판 합성효소의 이소조절성에 작용하는 리간드가 알려져 있다. $\beta$반응의 기질인 세린만이 있는 조건에서 일가 양이온과 glycerophosphate의 리간드효과를 잔기치환체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리간드가 이 효소의 이소조절성에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백서 태자 두 개관에서 유래된 조골세포의 증식 및 골결절 형성양상 (THE ASPECT OF PROLIFERATION AND BONE NODULE FORMATION IN OSTEOBLAST-LIKE CELLS DERIVED FROM FETAL RAT CALVARIA IN VITRO)

  • 김시형;남순현;신홍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7
    • /
    • 1997
  • 백서 태자 두개관을 효소처리하여 얻은 조골세포 유사세포군의 증식능 및 골결절의 형성에 미치는 dexamethasone의 영향과 형성된 골결절의 조직학적 형태 관찰을 위하여, 12 well 배양접시의 각 well 당 $4{\times}10^4cell$ 을 접종하였으며, 30일간 표준배양액으로만 배양한 군, 표준배양액에 ascorbic acid와 Na-${\beta}$-glycerophosphate를 첨가한 군, 그리고 각각에 dexa methasone을 첨가한 군등 4군으로 분리 배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세포의 증식율은 표준용액으로 배양한 군에 비해 dexamethasone 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05). 2. 골세포의 증식율은 ascorbic acid 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특히 ascorbic acid와 dexamethasone을 동시에 투여했을때 더욱 현저히 세포증식율이 감소됨을 볼 수 있었다(p<0.05). 3. 배양 초기에는 세포들이 주로 섬유아세포 양으로 나타났으나, 밀생상태에 이르면서 점차 다각형 형태로 바뀌었다. 4. 배양 9일후 지방세포와 연골세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dexamethasone이 첨가된 군에서 발견되었다. 5. 골결절은 ascorbic acid와 Na-${\beta}$-glycerophosphate가 첨가된 군에서만 형성되었으며, dexamethasone 을 병용첨가한 군에서 광화된 골결절이 현저히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6. 골결절 형성이 되지 않은 부위의 세포들은 평면형상을 이루고 있었으나, 골결절 부위를 덮고있는 세포들은 많은 세포돌기를 가진 조골세포양 세포들로 나타났으며, ascorbic acid, Na-${\beta}$-glycerophosphate 그리고 dexamethasone 을 첨가한 군에서는 침상의 돌기를 가진 광화물질들이 다발의 교원섬유들 사이에 현저히 많이 존재하였으며, 골결절 내부에는 매몰된 골세포(osteocyte)양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itanium Implant Anodized in Various Electrolytes

  • Kim, Hyung-Sun;Cho, Won-Il;Cho, Byung-Won;Park, Joon-Bong;Hur, Yin-Sik
    • 전기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46
    • /
    • 2002
  • Commercial titanium rod was anodized in three types of electrolytes such as 0.06 mol/L $\beta-glycerophosphate+0.3mol/L$ calcium acetate, 0.06mol/L $\beta-glycerophosphate+0.3mol/L$ sodium acetate and 0.06 mol/L $\beta-glycerophosphate+5mol/L$ calcium phosphate. The titanium oxide layer $(TiO_2)$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X-ray diffraction (XRD) and electron spectroscopy chemical analysis (ESCA). Numerous micropores were observed on the titanium oxide layer by SEM. The diameter of micropor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electrolytic voltage. The titanium oxide layer was composed of anatase structure. The phosphorous element was detected at 130 eV binding energy, but calcium was not found in the oxide layer because of lower contents. After anodizing the oxide layer was etched in the 30g/L NaOH solution at $80^{\circ}C$ for 1hr. The surroundings of micropores were much more smoothed and rounded than before alkaline etching.

Streptococcus faecium M74 · LC에 의한 L-α-Glycerophosphate Oxidase의 생산 (Production of L-α-Glycerophosphate Oxidase by streptococcus faecium M74 · LC)

  • 이인애;이은숙;이준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84-688
    • /
    • 2003
  • L- $\alpha$ -glycerophosphate oxidase(GPO)는 L- $\alpha$-glycero-phosphate를 산화시켜 dihydroxyacetone phosphate와 과산화수소의 생성을 촉매시켜 주는 효소로서 혈중에 존재하는 triglyceride의 양을 측정하는 kit를 개발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로 종균을 개발 및 확보하였으며, 이 종균의 사용으로 GPO의 발효공정기술을 확립하였고, 또한 이들 조효소로부터 순수한 효소를 생산할 수 있는 정제공정 기술을 확립하였다. 먼저 ATCC에서 네 가지 균주와 KCTC에서 세 가지 균주, 그리고 본 연구실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faecium $M_{74}$.LC 균주 등 8가지 균주의 성장상태를 비교하고 GPO의 역가를 측정 해 본 결과, 배양액 1 L당 ATCC 19634는 65 units, ATCC 12755는 60 units, S. faecium $M_{74}$. LC는 67 units로 S. faecium $M_{74}$.LC가 제일 높은 역가를 생산하였다. 또한 발효조에서 배지의 양을 3 L로 하여 배양온도는 $37^{\circ}C$, 교반속도는 300 rpm, 통기량은 0.5 L/min, 17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많은 양의 균체가 생성되었으며, GPO의 생산량도 가장 많았다(256 units/L). 이 때 배지 조성은 glucose 0.1%, glycerol 0.2%, tryptone 1.0%, yeast extract 1.0% 및 $K_2HP0_4$0.5%로 하여 배양하였고 GPO의 정제공정은 염투석 분획과 이온 교환수지 공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온교환수지는 DEAE-cellulose 칼럼을 이용한 정제수율은 약 47%를 얻을수 있었다.

다양한 양극산화막 처리방법이 임프란트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INODIZING CHARACTERISTICS ON BONE INTEGRATION OF TITANIUM IMPLANT SURFACE DESIGN)

  • 차수련;이준;민승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417-427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odizing surface to osseointegration of implant by using of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an anodically modified implant type with regard to osseous healing qualities. A total of 96 screw-shaped implants were prepared for this study. 72 implants were prepared by electrochemical oxidation with different ways. 24 (group 1 SP)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0.25M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24 (group 2GC)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calcium glycerophosphate and calcium acetate and 24 (group 3 CMP (Calcium Metaphosphate) Coating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0.25M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followed by CMP coating. Rest of 24 (control group were as a control group of RBM surface. Bone tissue responses were evaluate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that were undertaken at 2, 4 and 6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in the mandible of mini-pig. Group 1 SP (anodized with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implants) demonstrated slightly stronger bone responses than control Group RBM. Group 2 GC (anodized surface with calcium glycerophosphate and calcium acetate implants) demonstrated no difference which wer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Group 3 GMP (anodized and CMP coated implants) demonstrated slightly stronger and faster bone responses than any other implants. But, all observation result of RF 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with various surface type.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bone-to-implant contact for group 2 GC. Significantly more bone formation was found inside threaded area for group 2 GC. It was concluded that group 2 GC (anodized surface with calcium glycerophosphate and calcium acetate implants) showed more effects on the bone tissue responses than RBM surface in initial period of implantation. In addition, CMP showed a tendency to promote bone tissue responses.

Physicochemical,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Compatibility of ZnO-NP/Chitosan/β-Glycerophosphate Composite Hydrogels

  • Huang, Pingping;Su, Wen;Han, Rui;Lin, Hao;Yang, Jing;Xu, Libin;Ma, Le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522-530
    • /
    • 2022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novel ZnO-NP/chitosan/β-glycerophosphate (ZnO-NP/CS/β-GP) antibacterial hyd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mass fraction ratio of ZnO-NPs to chitosan, mixtures of 1, 3, and 5% ZnO-NPs/CS/β-GP were prepared. Using the test-tube inversion metho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influence of ZnO-NPs on gelation time, chemical composition, and cross-sectional microstructures were evaluated. Adding ZnO-NPs significantly improved the hydrogel's antibacterial activity as determined by bacteriostatic zone and colony counting. The hydrogel's bacteriostatic mechanism was investigated using live/dead fluorescent staining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addition, crystal violet staining and MTT assay demonstrated that ZnO-NPs/CS/β-GP exhibited good antibacterial activity in inhibiting the formation of biofilms and eradicating existing biofilms. CCK-8 and live/dead cell staining methods revealed that the cell viability of gingival fibroblasts (L929) cocultured with hydrogel in each group was above 90% after 24, 48, and 72 h. These results suggest that ZnO-NPs improve the temperature sensitivity and bacteriostatic performance of chitosan/β-glycerophosphate (CS/β-GP), which could be injected into the periodontal pocket in solution form and quickly transformed into hydrogel adhesion on the gingiva, allowing for a straightforward and convenient procedure. In conclusion, ZnO-NP/CS/β-GP thermosensitive hydrogels could b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djuvant drugs for clinic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implant inflammation.

치주인대세포의 골기질 단백질 유전자 발현에 대한 Dexamethasone의 영향 (The effect of dexamethasone on the gene expression of the bone matrix protein in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정하봉;박진우;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445-456
    • /
    • 2002
  • 치주조직 재생을 위해서는 새로운 백악질과 치조골 그리고, 치주인대의 재생이 필요하며, 이러한 재생을 담당할 세포의 분화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분화를 담당하는 것은 치주인대세포이며, 이 중 골아세포의 분화가 중요하다. 본 실험의 목적은 치주조직 재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치주인대세포의 골아세포성 세포로의 분화를 관찰하며, Dex가 광물화에 미치는 영향과 농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또한, 광물화시 발현되는 여러 골기질 단백질 중 Matrix GlaProtein의 발현양상도 관찰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의 제1소구치 부위의 정상치은을 절제하고, 건강한 제1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은섬유아세포와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ascorbic acid와 ${\beta}$-glycerophosphate 투여군을 실험1군, ascorbic acid, ${\beta}$-glycerophosphate, Dex 100nM 투여군을 실험 2군, ascorbic acid, ${\beta}$-glycerophosphate, Dex $5{\mu}M$ 투여군을 실험3군, 그리고, 단순 배양만 시킨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치주인대세포 형태의 변화 양상은 초기에 방추형 혹은 다각형의 단일층 형태에서 7일경에는 세포 크기와 수가 증가하여 복합층 형태로 변화했으며, 배양 14일 이후에는 세포들의 방향성이 없어지고, 더욱 치밀해 졌다. 골 결절형성은 치주인 대세포의 Dex 투여군에서만 21일째에 나타났으며, $5{\mu}M$ 투여군에서 100nM 투여군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ALP 활성도를 비교해보면 치주인대세포에서 0, 7일 경에는 활성도를 보이지 않았으며, 14일경에 높은 활성도롤 나타냈으며, 21일에도 비슷한 활성도를 유지하였다. MGP 유전자 발현 양상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Matrix Gla Protein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이 나타났으며,그 발현양상은 모든 시기에서 일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주인대세포는 골아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하며, Dex는 농도의존적으로 광물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MGP는 치주인대세포에서 발현이 감지되었으며, 광물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