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tathione

검색결과 2,875건 처리시간 0.025초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Rat Liver and Kidney Related to Coix Intake

  • Kim, Kyeok;Lee, Mie-S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34-138
    • /
    • 1999
  • The effects of dietary Coix(lacryma-jobi) water extract on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the liver and kidney of Sprague-Dawley rats were studied. Forty-five rats were fed for 3 weeks with either control diet or experimental diets that contain either Coix water extract or Coix water residue. Twenty percent of the carbohydrate was replaced with Coix water residue by dry weight in the water residue diet, while distilled water was replaced by Coix water extract to make a pellet-form diet in the Coix water extract diet. The levels of glutathione, glutathione-peroxidase, and glutathione-S-transferase activities in liver and kidney were measured . It has been found that glutathione,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S-transferase enzyme activities from activities from liver and kidneyof the rats were enhanced in the group fed with Coix water extract.

  • PDF

가자(Terminalia chebula) 추출물이 흰쥐의 간장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inalia chebula Extract on Liver in Rat)

  • 박종옥;이인섭;최종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1-147
    • /
    • 2004
  • 가자 추출물을 흰쥐에 일정량 투여한 후 간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효소량의 변동을 검토하였다. 간 손상의 지표로 사용되는 AST, ALT활성을 측정한 결과 AST, ALT모두에서 정상군보다 300 mg/kg의 용량으로 2주 시료 투여한 군의 함량이 2배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자 추출물이 지질과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300 mg/kg의 용량으로 2주 시료 투여한 군함량이 정상군에 비해 135.43%, 173.9% 정도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XO, AO, AD 및 AH활성에 대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마이크로솜 분획에 존재하는 AD, AH의 활성은 저해 효과가 없었고, 세포질 효소인 XO, AO의 활성은 300 mg/kg의 용량으로 2주 시료 투여한 군 함량이 정상군에 비해 약 2배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가자 추출물에 의한 간 조직중 glutathione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한 결과 2주 동안 3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군의 glutathione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약 7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자 추출물 투여 후 glutathione의 함량 감소를 경감시키는 기전을 알아볼 목적으로 glutathione 합성에 관여하는 $\gamma$-GCS의 활성과 산화형 glutathione을 환원형 glutathione으로 환원시키는 GR의 활성을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GR이 56.6%, $\gamma$-GCS가 6.7%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glutathione의 함량 변동은 산화형 glutathione을 환원형 glutathione으로 환원시키는 GR의 활성에 영향을 주어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된다. 가자 추출물이 지질과산화의 해독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목적으로 catalase, GP 및 SOD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catalase, GP의 활성은 각각 77.5%, 64.3%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SOD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약 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발효주로부터 glutathione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8의 분리.동정 및 최적 생산조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High-Glutathione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Producing Conditions)

  • 박진철;옥민;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48-35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glutathione({\gamma}$-L-glutamyl-cysteinyl-glycine)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효모 균주를 전통 발효주로부터 분리하여 glutathione 생산 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되어 FF-8로 명명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 FF-8의 glutathione 생산 조건은 YM(glucose 1.0%, acid peptone 0.5%, yeast extract 0.3%, malt extract 0.3%) 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최적 온도, 교반속도 및 초기 pH의 조건을 검토하였다. Glutathione 생산은 온도 $30^{\circ}C$, 교반속도 100 rpm 및 pH 6.0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았으며, 이때 glutathione 생산량은 72.0 mg/l이였으며, 건조 균체량은 5.2 g/l이였다.

간세포 암화과정에서 p/s 고정비율과 $\omega3$ 지방산 급원에 따른 전암성 병변과 Glutathione 의존 해독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Different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at the Fixed Ratio of p/s Affect Glutathione Dependent Enzymes in Rat Hepatocarcinogenesis)

  • 이해정;김혜경;최혜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8호
    • /
    • pp.785-792
    • /
    • 2003
  •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source of $\omega$3 fatty acids on preneoplastic foci and the glutathione dependent enzymes in rat hepatocarcinogenesis initiated by diethylnitrosamine (DEN).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one of three diets containing 10% (w/w) fats fixed p/s = -1.0 and $\omega$6/$\omega$3 ratio = -0.4 or 4.0 ; fish oil-com oil blended (FC), com oil-beef tallow-fish oil blended (CF), com oil-beef tallow-perilla oil blended (CP), from gestation period. At 10 weeks, animal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DEN (200 mg/kg body weight) and two-thirds partial hepatectomy was carried out 3 weeks later and were sacrificed 8 weeks after DEN initiation. The area and number of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 (GST-P) positive foc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ats fed diets containing fish oil (FC and CF) than those fed perilla oil diet (CP). Fish oil feed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 dependent enzymes. Rats fed diets containing fish oil (FC and CF)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lutathione (GSH) content and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Glutathione dependent enzymes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GST-P positive foci. Glucose 6-phosphatase (G6Pase) was increased in rats feeding fish oil.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Therefore, the preventive effect against hepatocarcinogenesis might be explained by induction of the glutathione dependent enzymes and G6Pase. (Korean J Nutrition 36(8): 785∼792, 2003)

흰쥐 간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에 미치는 Diallyl disulfide의 영향 (Effects of Diallyl Disulfide on the Hepatic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Rat)

  • 허근;이상일;박종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4-150
    • /
    • 1986
  • 마늘성분중의 하나인 diallyl disulfide가 간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여러 농도의 diallyl disulfide를 흰쥐에 투여 하였을때 혈청 transaminase의 활성은 변동이 없었으며 또한 간 glutathione의 함량도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간 가용성분획의 glutathion peroxidase 활성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시험관 내에서 간 가용성분획의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15{\mu}g/m{\ell}$ 이상의 diallyl disulfide를 첨가 하였을때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동력학적인 측면에서 관찰하였을때 diallyl disulfide$(20{\mu}g/m{\ell})$에 의해 Km치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Vmax치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마늘 성분 중에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을 증가시키는 성분은 allicin의 분해산물인 diallyl disulfide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이 성분은 효소의 기질결합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해 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Dantrolene Sodium이 간 조직내 Sulfhydryl Group과 Glutathion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trolene Sodium on Tissue Sulfhydryl Groups and Glutathione in Rats)

  • 김광국;백광세;강복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9권2호
    • /
    • pp.155-160
    • /
    • 1985
  • Dantrolene sodium(DS) is a long acting skeletal muscle relaxant which has been successfully used to control muscle spasticity in patients with various neurological disorders. However, its use is associated with hepatotoxicity. Tissue sulfhydryl group has many important roles for cellular integration and glutathione serves as a substrate for the detoxification metabo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S on tissue sulfhydrl group and glutathione content. Foully albino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saline treated (control) and DS treated groups. DS dissolved in saline was administered orally. All rats were sacrificed after 7. 14. 21 and 28 days of DS ana saline treatment by dacapitation ana liver was removed for the enzyme preparation. Total and nonprotein sulfhydryl were measured by the method of Sedlak and Lindsay (1968). Total glutathione content was assay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by Tietze (1969) and glutathione reductase was assay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Racker (1955),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DS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depressed the total, protein and nonprotein sulfhydryl content in liver.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 of both total glutathione content and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in liver.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t may be speculated that the toxicity of DS are well correlated with tissue sulfhydryl content and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 PDF

Synthesis of Nucleophilic Adducts of Thiols (Ⅳ). Addition of Glutathione to $\beta$-Nitrostyrene Derivatives

  • Kim, Tae-Rin;Choi, Sung-Yong;Choi, Won-S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4권2호
    • /
    • pp.92-95
    • /
    • 1983
  • The addition products of glutathione to ${\beta}$ -nitrostyren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beta}$ -Nitrostyrene (1a), p-methyl-${\beta}$-nitrostyrene (1b), 3,4,5-trimethoxy-${\beta}$-nitrostyrene (1c), o-, m- and p-chloro-${\beta}$-nitrostyrene (1e, 1f, 1g) and o-, m- and p-methoxy-${\beta}$-nitrostyrene (1h, 1i, 1j) undergo addition reactions with glutathione to form S-(2-nitro-1-phenylethyl)-L-glutathione (5a), S-[2-nitro-1-(p-methyl)phenylethyl]-L-glutatione (5b), S-[2-nitro-1-(3', 4', 5'-trimethoxy)phenylethyl]-L-glutathione (5c), S-[2-nitro-1-(o-chloro)phenylethyl]-L-glutathione (5e), S-[2-nitro-1-(m-choro)phenylethyl]-L-glutathione (5f), S-[2-nitro-1-(p-chloro)phenylethyl]-L-glutathione (5g), S-[2-nitro-x-(o-methoxy)-phenylethyl]-L-glutathion e(5h), S-[2-nitro-x-(m-methoxy)phenylethyl]-L-glutathion e (5i), and S-[2-nitro-1-(p-methoxy)phenylethy])-L-glutathione (5j), respectively. The structure of adducts were identified by UV and IR-spectra, molecular weight measurement, and elemental analysis.

흰쥐 적혈구에 있는 Glutathione Peroxidase의 순화 및 성질과 간에서의 용작부위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lutathione Peroxidase Isolated from Rat Erythrocyte and Histochemical Study of its Localization in Liver of White Rat)

  • 최임순;최춘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1-158
    • /
    • 1986
  • 흰쥐를 실험재료로 그 적혈구에서 glutathione peroxidase를 $(NH_4)_2SO_4$ 침전법, Sephadex filtration column, DEAE-sephadex column chromatogrgphy하여 순화시키고 이것의 성질을 연구하였으며, 간에서 이 효소의 작용부위를 조직화학적 처리를 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lutathione peroxidase는 약 33.5배 순화되었다. 2. Crude glutathione peroxidase의 최적온도는 $40^\\circC$이며, 반응 최적 pH는 7.5였다. 3. 이 효소는 $30^\\circC$에서 가장 안정되었으며 glutathione농도 변화에 대한 Km값은 8.5 mM, 최대 반응속도는 15.6 $\\mu$moles/min이었고, $H_2O_2$ 농도변화에 대한 Km값은 40 $\\mu$M이며, 최대 반응속도는 10.5 $\\mu$moles/min이었다. 4. 이 효소의 분자량은 약 90,000정도로 측정되었다. 5. 쥐의 간에서 이 효소의 활성부위는 microbody에 국한되며 간소염의 주변주에서 그 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6. 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나타난 반응산물은 직경 $2.0\\sim0.7 \\mum$ 정도의 원형으로 그 경계막은 뚜렷하지 않았다.

  • PD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Intertidal Macroalgae in Korea

  • Park, Jung-Jin;Han, Tae-Jun;Choi, Eun-M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13-320
    • /
    • 2011
  • The oxidative stress leve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two green algae (Ulva pertusa and Ulva linza), two brown algae (Agarum cribrosum and Dictyota dichotoma), and three red algae (Grateloupia lanceolata, Carpopeltis affinis, and Gracilaria verrucosa) collected from intertidal regions of Korea were assessed. In the two green algae, although the total glutathione content was not as high as that of the brown algae, the glutathione pool was extremely reduced, and the glutathione reductase (GRd)/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y ratio was high, which apparently plays an important role for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s manifested by low lipid peroxidation. In the brown algae, which exhibited a low lipid peroxidation level that was comparable to the green algal species, the highest glutathione content, together with high GPx activity, appears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ir antioxidant protection. The red algal species exhibited extremely high lipid peroxidation levels. They also contained the lowest and most oxidized glutathione among the species, as well as the lowest GRd activity. In spite of the marked difference in the glutathione cont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ity of ${\gamma}$-glutamylcysteine ligase, the rate limiting enzyme for glutathione synthesis, among the species was not exhibited. Our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capacity among the algal species, and that the glutathione system, especially the efficiency of glutathione recycling, plays a vital role in antioxidative protection in algal species.

가자(Terminalia chebula) 추출물이 마우스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rminalia chebula on Physiological Activity in Mice)

  • 박종옥;이승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8-153
    • /
    • 2004
  • 가자 추출물을 취하여 사람, 돼지, 쥐 및 개 등의 3% 적혈구용액으로 응집력시험을 행한 결과 7가지 적혈구 모두에 렉틴 활성이 나타났으며 $LD_{50}$는 390 mg/kg으로 측정되었다. 생리 활성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생체 내외인성 요인에 의한 친전자성 물질로 생체내에서 독작용, 노화, 발암 및 면역 억제작용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인 free radical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XO 및 AO의 활성을 측정 한 결과, XO 에서는 일주일간 매일 300 mg/kg의 용량으로 가자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 정상군보다 5배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AO에서는 정상군보다 시료 투여군이 2배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glutathione은 단백질이나 DNA합성, amino acid의 이동 반응 및 thiol기의 저장 등과 같은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여러 가지 반응에 직접 관여하는 물질이다[16〕. 이에 간장 조직의 glutathione농도를 측정한 결과 간장 독성의 유발로 인한 효소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1주간 매일 300 mg/kg의 용량으로 시료 투여한 군의 효소 활성이 79% 감소됨을 볼 수 있었다. 체내의 여러 가지 해독반응과정에 관여하는 GST효소활성을 측정 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1주간 매 일 300 mg/kg의 용량으로 시료 투여한 군이 66%정도 감소된다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glutathione 합성에 관여하는 $\gamma$-GCS의 활성과 산화형 glutathione을 환원형 glutathione으로 환원시키는 GR의 활성을 관찰한 결과 가자 추출물 투여군이 정상군보다 GR의 활성은 80% 감소되었고, 합성에 관여하는 $\gamma$-GCS의 활성은 정상군과 비교할 때 약간의 감소만을 나타내 glutathione함량 변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