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tam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GRIP1)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9초

Glutam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단백질과 armadillo family 단백질 p0071/plakophilin-4와의 결합 (Glutam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Protein Binds to the Armadillo Family Protein p0071/plakophilin-4 in Brain)

  • 문일수;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55-1061
    • /
    • 2009
  • ${\alpha}$-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 propionate (AMPA) 수용체는 중추신경계에 널리 발현하며, 연접부위에서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흥분성 신경전달의 역할을 행한다. 이러한 수용체의 조절은 학습과 기억에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AMPA receptor subunit glutam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GRIP1)과 결합하는 단백질로 armadillo family인 p0071/plakophilin-4을 분리하였다. GRIPl 단백질은 p0071/plakophilin-4 단백질의 C-말단과 결합하며, armadillo family 단백질 중 p0071/plakophilin-4 과만 결합한다. 효모 two-hybrid assay에서 GRIPl의 Postsynaptic density-95/Discs large/Zona occludens-1 (PDZ) 영역이 p0071/plakophilin-4 단백질과의 결합에 관여하며, p0071/plakophilin-4 단백질의 C-말단 아미노산인 "S-X-V" 배열이 결합에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결합은 뇌 균질액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pull-down assay와 공면역침강법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AMPA 수용체가 연접후막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는 새로운 역할을 시사한다.

Association of a missense mutation in the positional candidate gene glutam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with backfat thickness traits in pigs

  • Lee, Jae-Bong;Park, Hee-Bok;Yoo, Chae-Kyoung;Kim, Hee-Sung;Cho, In-Cheol;Lim, Hyun-Ta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081-1085
    • /
    • 2017
  • Objective: Previously, we reported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affecting backfat thickness (BFT) traits on pig chromosome 5 (SW1482-SW963) in an F2 intercross population between Landrace and Korean native pig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lutam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GRIP1) as a positional candidate gene underlying the QTL affecting BFT traits. Methods: Genotype and phenotyp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1,105 $F_2$ progeny. A mixed-effect linear model was used to access association between thes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and the BFT traits in the $F_2$ intercross population. Results: Highly significant associations of two informative SNPs (c.2442 T>C, c.3316 C>G [R1106G]) in GRIP1 with BFT traits were detected. In addition, the two SNPs were used to construct haplotypes that were also highly associated with the BFT traits. Conclusion: The SNPs and haplotypes of the GRIP1 gene determin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genetic structure of BFT traits in pigs.

쥐 해마에서 M1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활성에 의한 GluA2 세포내이입 연구 (Activation of the M1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Induces GluA2 Internalization in the Hippocampus)

  • 류근오;석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03-1109
    • /
    • 2015
  • 뇌 해마의 콜린성 신경분포는 학습과 기역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의 작용제인 carbachol 투여 시 장기기억 저하가 유도됨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콜린성 자극에 의한 해마 신경세포의 시냅스 내 변화기작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활성에 의하여 유도되는 장기기억 저하 현상에 있어 alpha-amino-3-hydroxy-5-methylisoxazole-4-propionate (AMPA) 수용체가 후시냅스 표면으로부터 사라지는 현상과 이의 조절기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쥐 해마의 일차세포를 추출하고 체외에서 배양한 성숙 신경세포에 carbachol 을 투여하여 장기기억 저하를 유도 하였으며, 후시냅스의 표면으로부 터 AMPA 수용체의 아단위체인 GluA2가 M1 무스카린 수용체의 길항제에 의하여 저해 되었다. 또한 콜린성 자극 에 의한 GluA2의 내재화 현상의 작용기작 연구를 위하여 쥐 해마 절편에 carbachol 투여 후 GluA2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Glutam내재화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GRIP1) 과 clathrine 단백질이 매개하는 세포내이입 작용을 하는 adaptin-α 단백질의 결합 변화를 관찰하였다. GluA2는 carbachol 자극에 의해 세포내이입 과정에서 adaptin-α 와의 결합이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GRIP1과는 해리되었다. 이는 아세틸콜린의 수용체의 자극에 의하여 GluA2의 내제화 작용이 수반되며, 이의 작용기작으로 GluA2의 후시 냅스 표면 발현시에 결합하고 있는 GRIP1과 해리 되면서 장기기억 저하 현상이 유도됨을 의미한다.

Detection of Matrix Metalloprotease-9 and Analysis of Protein Patterns in Bovine Vaginal Mucus during Estrus and Pregnancy

  • Kim, Sang-Hwan;Baek, Jun-Seok;Lee, Ho-Jun;Min, Kwan-Sik;Lee, Deuk-Hwan;Yoon, Jong-Taek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3-100
    • /
    • 2012
  • To investigate the biochemical nature of changes in vaginal physiology during estrus and pregnancy, we examined the cytology and viscosity, and monitored the protein expression profile in vaginal mucus during estrus and pregnancy. The viscosity progressively decreased from estrus to pregnancy. Cell type analysis revealed that white blood cells progressively increased from estrus to pregnancy, while red blood cells progressively decreased during pregnancy. The cornification index (CI) was higher in estrus than in pregnancy. Protein mass spectrumetry identified the presence of ribosome-binding protein 1, GRIP 1 (Glutam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associated protein 1, DUF729 (Domain of unknown function729) domain-containing protein 1, prolactin precursor, dihydrofolatereductase, and MMP (Matrix metalloprotease)-9 in vaginal mucus. MMP-2 and MMP-9 proteins in the vaginal mucus were active throughout estrus and gestation, as measured by a gelatinase assay, but most abundant in the vaginal mucus on day 0 of estrus. Results from ELISA of MMP-2 and MMP-9 were in accordance with the gelatinase assay. In light of the crucial role of metalloproteinases in extracellular matrix remodeling, the level of MMP-9 in vaginal mucus might be useful as an indicator of estrus and pregnanc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