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se-lysin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7초

정속가열(定速加熱)조건에서 표준온도상당시간(相當時間)을 이용한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의 동력학 파라미터 추정(推定) (Estimation of Kinetic Parameters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Using Equivalent Time at Reference Temperarture with Linearly Increasing Temperature Profile)

  • 조형용;권윤중;김인규;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8-184
    • /
    • 1993
  • 식품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kinetic parameters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표준온도 상당시간이 유효함을 밝히기 위하여 비효소적 갈색반응 액체 모델 및 식품시스템을 직선적으로 온도를 증가시키는 조건$(6^{\circ}\;/h)$에서 반응시켰다. 표준온도 상당시간은 $t_E=-{\exp}[-(E_a/R)\;(1/T-1/T_{ref})]$로 정의되며, 임의의 온도 T에서 1일 동안에 일어난 품질변화는 표준온도 $T_{ref}$에서 몇일 동안에 일어난 변화에 상당하는가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정의되는 표준온도 상당시간을 이용하여 glucose-lysine모델, 여러종류의 아미노산과 당의 액체모델 및 액체 음료 식품시스템의 실험자료로부터 비선형 최소자승법으로 kinetic parameter, n, $k_{ref}$$E_a$를 추정하였다. Glucose와 lysine의 손실속도는 1차 반응, 갈색물질 형성속도는 0차 반응이었다. 추정한 kinetic parameters를 이용하여 computer simulation한 결과 실험값과의 상관계수가 0.96 이상으로 잘 일치하여 $t_E$를 이용한 1단계 비선형 최소자승법으로 kinetic parameters를 효율적으로 정확히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건조된 야생더덕과 경작더덕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s of Dried Wild and Cultivated Codonopsis lanceolata)

  • 이석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4호
    • /
    • pp.225-230
    • /
    • 1984
  • 수분함량 약 10%로 건조된 야생더덕과 경작더덕의 화학적 성분을 조사한 결과 야생더덕과 경작더덕의 일반 성분은 가용성 물질이 각각 12.9%, 10.7%, 조단백질이 각각 18.8%, 17.1%, nitrogen free extract가 각각 30.3% 33.8%로써 야생더덕과 경작더덕 간의 특징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리당의 조성은 fructose, glucose, sucrose였으며 그 함량은 야생에 비하여 경작의 경우가 높았고 maltose의 경우 야생더덕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작더덕은 0.05%로 나타났다. 유리 아미노산은 lysine, histidine,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등 16종이 나타났으며 야생더덕과 경작더덕 사이에 함량의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그 외 별다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유리 지방산의 조성은 palmitate, linoleate, linolenate가 검출되었으며 야생더덕보다 경작더덕의 함량이 높았다. crude saponin의 함량은 야생더덕과 경작더덕이 각각 1. 5%, 1.4%였다.

  • PDF

고로쇠 및 대나무 수액간장의 성분조성 (The Components of the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 and Bamboos SaP)

  • 정미자;조종수;김행자;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7-174
    • /
    • 2001
  • 기존의 간장 담금 용수 대신에 고로쇠와 대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간장을 제조하였고 90일간 숙성시키면서 유기산, 무기물,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질소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90일간 숙성시킨 후 무기질의 총량을 보면 일반간장에 비해 고로쇠수액 간장에서 약 2.0배, 대나무수액 간장에서는 약 4.4배 높게 정량되었다. 무기질 중 특히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았다. 유리당은 대조구에서는 glucose와 galactose, 수액 간장에서는 상기 유리당 외 fructose와 sucrose가 검출되었고, 유기산은 butyric acid가 월등히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재래식 간장에서는 leucine, phen-ylalanine, isoleucine, lysine 그리고 glutamic acid의 함량이 높았고, phosphoserine을 포함한 11종류의 아미노산은 숙성중 계속 증가하였다. 수액간장의 숙성 중 유리아미노산의 증감 양상은 대조시료와 유사하였다. 총질소, 아미노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의 함량은 대조시료, 수액간장 모두 일정기간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참다래 'Hayward' 수액의 화학성분 분석 및 수액을 이용한 음료 제조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of Xylem Sap from 'Hayward' Kiwifruit Canes and Processing of Drink Using the Xylem Sap)

  • 박용서;임근철;이지헌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6호
    • /
    • pp.808-810
    • /
    • 2000
  • 참다래 수액을 이용 음료수을 제조하기 위해 수액내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참다래 수액에서 수분 함량, 당도, pH, 산 함량, 탁도 및 점성은 각각 99.6%, 0.90%, 6.50, 0.15%, 0.60, 1.01로 나타났다. 수액내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galactose, manitol가 함유되어 있었는데 당의 대부분은 fructose였다. 수액내 주요 무기물은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으로 칼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다. 수액에는 10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들 중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ysine 및 isoleucine이었는데 이중 glutamic acid함량이 가장 높았다. 수액을 이용 제조한 다래수액 음료수(252mL)내 영양소 함량에서 당은 21.2g, 칼슘 23.1mg, 칼륨 14.1mg, 아미노산 554.5mg, 비타민 C 15.0mg/252mL이었다.

  • PDF

식품 소재로서 장미꽃의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Rose Petals (Rosa hybrida L.) As A Food Material)

  • 양미옥;조은자;하재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39-542
    • /
    • 2002
  • 다양한 식품 소재의 창출을 목적으로 그 기초자료로서 장미의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기준으로 조단백질 16.3%, 조지방 2.9%, 조회분 5.4%, 조섬유 16.1%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xylose가 검출되었으며, $\beta$-carotene은 205.2 ug/100 g, ascorbic acid는 129.5 mg/100 g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질 함량은 K, P, Mg, Ca, Na, Fe순으로 다량 함유하며 K함량이 1,981.7 mg/100 g으로 가장 많았다.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ysine, leucine 순으로 많았고, 그 함량은 각각 4,007.3, 1,114.8, 672.6, 661.0 mg/100 g이 었다. 지방산 조성은 76.3%가 불포화지방산이었으며, 그 중 linoleic acid가 58.2%이었다.

둥글레의 볶음처리에 따른 갈변반응 기질의 동적변화 (Dynamic Changes in Browning Reaction Substrat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s during Roasting)

  • 권중호;류기철;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54-661
    • /
    • 1997
  • 전통적인 볶음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는 둥굴레차의 제조 중 성분변화를 검토하고자 중심합성 계획에 의한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볶음조건에 따른 유리당 및 아미노산의 동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볶음 둥굴레 수용성 추출물의 갈색도는 볶음온도 14$0^{\circ}C$이하에서 볶음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6$0^{\circ}C$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유리당은 주로 sucrose와 fructose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함량은 볶음처리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glucose는 15$0^{\circ}C$까지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볶음온도가 증가하고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다가 고온, 장시간 조건에서는 함량변화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threonine과 lysine은 17$0^{\circ}C$, 60분 이상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채취시기에 따른 참다래와 야생다래의 수액특성 및 화학 성분변화 (Seasonal Changes in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nents of Xylem Sap from 'Hayward' and Wild Kiwifruit Species)

  • 박용서;나택상;김승화;임동근;나양기;임근철;정순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1호
    • /
    • pp.11-14
    • /
    • 1999
  • 참다래 및 야생다래에서 수액 채취시기에 따른 수액특성, 수액내 유리당, 무기물 및 아미노산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참다래 및 야생다래에서 수액 채취시기에 따른 수액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심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액내 수분함량, 당도, 점도 및 pH는 두 종간 차이가 없었으나 산함량 및 탁도는 야생다래보다는 참다래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당은 참다래에서 fructose, glucose, sucrose, galactose, manitol이 함유되어 있었고 야생다래에서는 fructose, glucose가 함유되어 있었는데 당의 대부분은 fructose였다. 수액내 주요 무기물은 칼슘, 카리 및 마그네슘으로 칼슘함량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다. 두 종에서 각각 17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들중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ysine 및 isoleucine이었는데 이중 glutamic acid함량이 가장 높았다. 참다래에서 histidine, methionine과 tylosine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야생다래에 비해 높았다. 무기물 및 아미노산함량은 수액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반면 유리당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액의 품질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액채취량은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밤의 저장 중 성분변화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 나영아;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64-1170
    • /
    • 1996
  • 밤의 저장중 품질변화를 평가하고져 실온$(20^{\circ}C)$ 및 냉장$(1^{\circ}C)$에서 각각 9주간 및 15주간 저장하면서 vitamin C, 당, 유기산 및 아미노산의 함량변화를 측정 하여 다음과 잘은 결과를 얻었다. 밤의 vitamin C함량은 환원형이 17.76 mg/100 g,f.w., 산화형이 4.08 mg/100g,f.w.로 환원형이 전체의 81.3%나 차지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 환원형은 감소하였으나 산화형은 저장온도 $20^{\circ}C$에서는 5주까지, $1^{\circ}C$에서는 7주까지 증가하였다. 밤의 유기산 조성으로는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quinic acid는 적은 양 함유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citric acid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malic acid는 $20^{\circ}C$에서는 증가되었다. 밤의 유리당조성은 sucrose, maltose, fructose, glucose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glucose와 fructose는 감소한 반면 sucrose와 maltose는 증가하였다. 밤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전체의 51%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 aspartic acid, arginine, alanine, proline, serine, threonine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20^{\circ}C$에서는 glutamic acid, arginine, alanine, threonine, phenylalanine, valine, lysine 등은 증가하였으나, proline, serine, isoleucine, leucine 및 ${\gamma}-aminobutyric{\;}acid$ 등은 감소하였으며 $1^{\circ}C$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Effects of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on Monosaccharide Autoxidation and $H_2O_2$ Formation

  • Lee, Beom-Jun;Kang, Kyung-Sun;Nam, Sang-Yoon;Park, Jae-Hak;Lee, Yong-Soon;Yun, Young-Won;Cho, Myung-Hai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3호
    • /
    • pp.251-261
    • /
    • 1999
  • The effects of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CRCs) including anserine, homocarnosine, histidine, and ${\beta}-alanine$ on monosaccharide autoxidation and $H_2O_2$ formation were investigated. The incubation of CRCs with D-glucose, D-glucosamine, and D, L-glyceraldehyde at $37^{\circ}C$ increased the absorption maxima at 285 nm, 273 nm, and $290{\sim}330$ nm, respectively. D, L-glyceraldehyde was the most reactive sugar with CRCs. The presence of copper strongly stimulated the reaction of carnosine and anserine with D-glucose or D-glucosamine. Carnosine and anserine stimulated $H_2O_2$ formation from D-glucose autoxid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presence of 10 ${\mu}M$ Cu (II). The presence of human serum albumin (HSA) decreased their effect on $H_2O_2$ formation. Carnosine and anserine has a biphasic effect on ${\alpha}-ketoaldehyde$ formation from glucose autoxidation. CRCs inhibited glycation of HSA as determined by hydroxymethyl furfural, lysine residue with free ${\varepsilon}-amino$ group, and fructosamine ass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Cs may be protective against diabetic complications by reacting with sugars and protecting glycation of protein.

  • PDF

Nicotinic acid 결핍이 메추리 혈청의 여러 대사물질 수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icotinic Acid Deficiency on the Levels of Various Metabolites in the Serum of Quail)

  • 이재혁;박인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3-208
    • /
    • 1991
  • Nicotinic acid 결핍시 메추리는 심각한 체중의 감소를 보였으며, 심장 및 간의 무게도 약간 감소하였다. 포도당의 농도는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콜레스테롤, 알부민 그리고 총 단백질 양의 변화는 없었다. Glutamic oxaloacetate iransaminase 와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의 활성은 증가하였으나 alkaline phosphatase와 LDH의 활성은 변화가 없었다. 혈청속의 아미노산중 tryptophan, tyro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등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나, arginine, histidine, lysine 등은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