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lucose retardation effec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감귤과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의 포도당, 담즙산, 카드뮴 투과억제에 관한 In Vitro 연구 (Rea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s Isolated from Tangerine Peels on Glucose, Bile Acid, Cadmium transport In Vitro)

  • 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2호
    • /
    • pp.210-219
    • /
    • 1997
  • Retarding effects of the dietary fibers from tangerine peels on glucose, bile acid and cadmium transport were evaluated by dialysis metho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cial dietary fibers(citrus pection, CM-cellulose, guar gum, $\alpha$-cellulose). Yields of total (TDF), insoluble(IDF) and soluble dietary fibers(SDF) from tangerine peels on the fresh matter basis were 2.84%, 1.95% and 0.39% respectively. The amount of insoluble fibers was 5.2 times higher than that of soluble fibers. Soluble fibers(guar gum, CM-cellulose, SDF, pectin) had the retarding effect on glucose transport, while IDF, TDF and $\alpha$-cellulose did not have. Guar gum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CM-cellulose, SDF and pectin. Among the extracted fibers, only SDF had the effect on glucose transport retardation. Regarding bile acid dialysis, guar gum ha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 and all dietary fibers from tangerine peels, especially SDF, showed the effect of bile acid retardation. On cadmium transport retardation, CM-cellulose ha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SDF, TDF, IDF, guar gum and pectin. Among the extracted fibers, SDF had the greatest effect on Cd trasport transport retardation. The extracted dietary fibers showed higher retarding effect on Cd transport than glucose and bile acid transport, and the effect of SDF was higher than IDF.

  • PDF

보리가루에서 분리한 ${\beta}-Glucan$의 생리적 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 in vitro of ${\beta}-Glucan$ Isolated from Barley)

  • 오희정;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89-695
    • /
    • 1996
  • 보리가루로부터 ${\beta}-Glucan$을 추출, 정제하여 그의 소화관내 생리적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실험을 수행하였다. 보리가루로부터 ${\beta}-Glucan$을 6.2%의 수율로 정제하였으며 그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총 식이섬유 81.6%, 수용성 식이섬유 72.9%, 불용성 식이섬유 8.7%, 수분 8.5%, 단백질 2.5%, 회분 7.4%였다. ${\beta}-Glucan$ 제품의 수분보유력은 1g의 건조물당 6g이었다. 투석막을 이용하여 ${\beta}-Glucan$ 제품의 glucose 흡수 지연효과를 살펴 본 결과 ${\beta}-Glucan$을 3% 첨가한 경우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glucose retardation index가 13.5%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는 감소하여 투석 2시간 후에는 그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ile acid 흡수 지연 효과를 살펴 본 결과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bile acid retardation index는 ${\beta}-Glucan$이 1, 3, 5% 첨가된 경우 각각 3, 12, 18% 수준으로 같은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glucose 흡수 지연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가 감소하였다.

  • PDF

동아의 물리적 특성 및 in vitro 포도당, 담즙산, 카드뮴 투과억제 효과에 대한 열처리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Physical Properties and in vitro Glucose, Bile Acid, and Cadmium Transport Retardation of Wax Gourd (Benincasa hispida))

  • 주인옥;정기태;류정;김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17-1123
    • /
    • 2003
  • 동아를 autoclaving, boiling, microwaving 처리하고 그에 따른 물리적 특성과 in vitro 생리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 방법에 따른 보수력은 microwaving이 9.43 g/g으로 가장 높았으며 boiling(5.12 g/g), 무처리(4.63 g/g), autoclaving(2.61 g/g) 순으로 낮아졌다. 팽윤력은 열처리 동아의 경우 $22.4{\sim}25.8\;mL/g$으로 무처리(18.0m L/g)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의 calcium 흡착력은 microwaving, boiling, 무처리, autoclaving 순으로 나타났으며 autoclaving의 경우 나머지 처리의 30% 정도의 낮은 흡착력을 나타내었다. 열처리동아의 세포조직은 autoclaving 처리에 의하여 가장 심한 구조적 변형을 보였다. 반투막을 이용하여 in vitro법으로 확인한 glucose 투과 억제효과는 boiling 처리에 한해서 20.6%(투석 1시간)로 나타났다. Bile acid 투과 억제효과는 boiling, autoclaving, microwaving, 무처리 순으로 각각 22.9, 17.1, 14.3, 8.6%(투석 1시간)의 투과 억제효과를 보였다. Cadmium투과 억제효과는 열처리 방법에 관계없이 6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Bacillus coagulans CE-74에 의해 생산된 Biopolymer의 생리적 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 in vitro of Biopolymer from Bacillus coagulans CE-74)

  • 이선호;최희진;손준호;배두경;배종호;김성;안봉전;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37-142
    • /
    • 2001
  • 미생물로부터 고분자 물질을 생산하여 기능성 식품보조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Bacillus coagulans CE-74에 의해 생산된 biopolymer를 이용해 glucose, bile acid 흡수 지연 효과 및 ACE와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조사 검토하였다. 분리된 biopolymer의 소화관내 생리적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투석막을 이용하여 biopolymer의 glucose흡수 지연 효과를 살펴본 결과 biopolymer를 2% 첨가한 경우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히ucose retardation index가 43.5%였고 시간이 경과 할수록 그 효과는 감소 하였으며 투석 5시간 이후에는 그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ile acid흡수 지연 효과를 살펴본 결과 투석 30 분이 경과 되었을 때 bile acid retardation index는 biopolymer가 1%, 2% 첨가된 경우 각각 34%, 44.2%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가 감소하였다. 분리된 biopolymer의 ACE저해효과는 $10\;{\mu}g/{\mu}l$의 농도에서는 97%의 저해를 보였으며, tyrosinase 저해효과를 관찰한 결과 $20\;{\mu}g/{\mu}l$농도에서 48.5%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알로에 베라 유래 식이섬유의 In Vitro 및 In Vivo 생리기능 특성 (In Vitro and In Vivo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etary Fiber from By-product of Aloe vera Gel Processing)

  • 백진홍;차태양;허진철;이상한;이신영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73-182
    • /
    • 2010
  • A fiber fraction (Aloe cellulose), the by-product obtained from Aloe vera gel processing was freeze dried and investigated for in vitro glucose/ bile acid retarding effects of powdered sample (100 mesh) comparing with commercial $\alpha$-cellulose as a reference sample. We also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y such as the antiobesity and anti-constipation on Sprague-Dawley (SD) rat. The Aloe cellulose powders during in vitro dialysis experiment for 2 hours exhibited the glucose and bile acid retarding index of 20.32-35.2% and 53.13-28.30%, respectively. Especially, freeze dried aloe cellulose showed the 2.5 and 1.2-6 times higher effect on in vitro glucose and bile acid retardation than those of $\alpha$-cellulose. These relatively good retarding effects on glucose and bile acid diffusion suggest a potential of preventing from diabetes and arteriosclerosis of some extent. Also, the results from animal experiments on SD rats fed a high-fat diet for 4 weeks suggested that Aloe cellulose might be used as a novel dietary fiber showing an effective anti-obesity and anti-constipation effect.

Characterization of Soluble Dietary Fibers from Wax Gourd (Benincasa hispida) Pulp and Peel

  • Hong, Sun-Pyo;Jun, Hyun-Il;Song, Geun-Seoup;Kwon, Yong-Ju;Kim, Young-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734-738
    • /
    • 2008
  • The physicochemical and in vitro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oluble dietary fiber (SDF) from wax gourd (Benincasa hispida) pulp and peel were investigated. The pulp was composed of 11.4% SDF and 24.3% insoluble dietary fiber (IDF), while the peel contained 3.2% SDF and 43.3% IDE The predominant sugar in the SDF of the wax gourd pulp and peel was uronic acid, followed by galactose and rhamnose. The SDFs from the wax gourd pulp and peel gave similar elution patterns, with 4 main neutral sugar and uronic acid peaks eluted by 0.4, 0.5, 1, and 2 M ammonium acetate buffer. The pulp SDF had a much higher glucose retardation index (GRI) than the peel SDF for all measurement times. The pulp SDF showed strong growth-inhibiting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Clostridium perfringens, whereas the peel SDF produced strong growth-promoting activity against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infantis, and Lactobacillus brevis when compared to glucose.

참죽의 추출방법에 따른 수용성 다당류의 생리기능성 (Biological activity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from Cedrela sinensi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 오민희;황여진;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15-221
    • /
    • 2017
  •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이 우수한 참죽으로부터 수용성 다당류를 추출하고 이들의 생리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참죽을 열수, 초음파 및 효소(Viscozyme, Shearzyme)를 이용하여 수용성 다당류를 추출하고, 추출법에 따른 수용성 다당류의 기능성을 비교하였다. Searzyme 효소로 추출하여 얻은 수용성 다당류 분획의 수율과 총당 함량이 가장 높았다. 참죽으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다당류 분획의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에 의해 얻은 수용성 다당류 분획물의 $IC_{50}$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나 가장 높은 산화방지 활성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측정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든 추출군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포도당 흡수지연 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추출군은 포도당 흡수 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WSPs는 대조구인 CMC의 포도당 흡수지연 효과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Bile acid 흡수지연 효과를 측정한 결과, bile acid의 투과율이 CMC에 비해 높아 흡수지연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열수에 의해 추출된 수용성 다당류분획이 뛰어난 산화방지 및 미백활성을 보였으며, Shearzyme 효소추출물이 우수한 포도당 흡수저해 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참죽으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다당류는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마 유래 Fucoidan의 In-vitro 포도당 및 담즙산 흡수지연 효과 (In Vitro Glucose and Bile Acid Retardation Effect of Fucoidan from Laminaria japonica)

  • 박갑용;백진홍;허원;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65-269
    • /
    • 2007
  • 다시마 fucoidan의 식이섬유로서의 생리기능성 탐색연구의 일환으로, 다시마의 건조 분말로부터 fucoidan을 열수 추출하여 분리하고 부분정제하였으며, 이의 in-vitro 포도당 및 담즙산 흡수 지연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시마 fucoidan은 투석막을 이용한 2시간 동안의 in-vitro glucose 및 bile acid 흡수 지연 실험에서 각각 25.36$\sim$22.68% 및 27.03$\sim$33.50%의 흡수지연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들 효과는 타 식이섬유와 비교하여 비교적 우수하거나 매우 우수한 효과로, 어느 정도 당뇨 및 동맥경화 억제에의 효과를 나타낼 것이 기대되어 추가 검토의 필요성이 높았다.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과 포도당을 이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최대 수화온도 저감 (The Reduction of Maximum Hydration Temperature in Cement Paste Using Calcium Silicate Hydrates and Glucose)

  • 문훈;김형근;류은지;진은지;정철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65-2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매스콘크리트의 높은 수화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결정핵 (C-S-H)와 지연제(포도당)를 동시 사용하여 최대 수화온도를 낮추면서, 응결지연효과를 상쇄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온도를 측정하고, C-S-H와 포도당의 동시 사용이 시멘트 모르타르의 응결시간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과 포도당을 동시 사용할 경우 최대 수화온도를 저감하면서도 최대수화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C-S-H와 포도당의 동시 사용은 시멘트 모르타르의 28일 압축강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방법이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조절에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과피와 대추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의 포도당, 담즙산 , 카드뮴 투과 억제에 관한 in vitro 연구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 Isolated from Persimmon Peels and Juubes on in vitro Glucose, Bile Acid, and Cadmium Transport)

  • 이혜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4호
    • /
    • pp.809-822
    • /
    • 1998
  • Retarding effects of the dietary fibers from persimmon peels (PTDF ; total dietary fibers, PIDF ; insoluble dietary fibers, PSDF ; soluble dietary fibers) and dried jujubes (JTDF ; total dietary fibers, JIDF ; insoluble dietary fibers, JSDF ; soluble dietary fibers) on glucose, bile acid and cadmium transport were evaluated by in vitro dialysis sack method. These effe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ical citrus pectin, CM-cellulose (CMC) and $\alpha$-cellulose. Yields of PTDF, PIDF and PSDF on wet weight basis were 14.04% , 11.61%, 1.76%, respectively, and those from dried jujubes were 14.80%, 9.98% and 2.80%, respectively. The amount of soluble fibers in JTDF was higher than PTDF. Soluble fibers had the retarding effects on glucose transport but insoluble fibers did not have. CM-cellulose showe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 which was followed by citrus pectin and JSDF. Among the soluble fibers, PSDF had the lowest retardig effect. Retarding effect of TDF was dependent upon the amount of SDF in TDF. Regarding bile acid dialysis , insoluble dietary fibers as well as soluble dietary fibers showed the retarding effects, among which JSDF ha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s, among which JSDF ha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 followed by citrus pectin. Among the extracted fibers, dietary fibers from dried jujub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se from persimmon peels, and SDF seemed to show higher retarding effects than IDF and TDF. On cadmium transport retardation , all dietary fibers except $\alpha$-cellulose had the retarding effects and PSDF showed the greatest effect which was followed by PIDF and CMC, The extracted fibers showed higher retarding effect on Cd transport than glucose and bile acid transport, and dietary fibers from persimmon peels showed higher retarding effects than those from dried jujub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