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anase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3초

맥주효모박을 이용한 효모추출물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Yeast Extract by Waste Brewery Yeast)

  • 최형택;이성갑;손종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1-166
    • /
    • 2001
  • 맥주효모박 중의 단백질 함량은 41.7%, 탄수화물은 46.0%이었다. 주요 무기질은 K. P, Mg, Ca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각각 1659.7mg%, 1,197.4mg%, 210.4mg% 및 105.6mg% 이었다. 맥주효모박 중의 주요 비타민은 비타민 C와 비타민 B군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각각 7.9IU/100g 및 4.2IU/100g이었다. 맥주효모박의 자가소화 최적반응농도는 10% 였으며, 자기소화 촉진 및 오염방지제로 사용된 에탄올과 NaCl의 최적 농도는 맥주효모 현탁액의 경우 NaCl 3% 첨가구에서, 빵효모현탁액의 경우 NaCl 5% 첨가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NaCl의 첨가에 의한 자가촉진효과는 맥주효모박보다 빵효모에서 더 우수하였다. 또한 맥주 효모현탁액에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에탄올 첨가 농도에 따른 자가소화 촉진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빵효모 현탁액에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에탄올 3% 첨가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들의 결과로 볼 때 에탄올의 첨가에 의한 자가소화 촉진효과 또한 맥주효모박에 비해 빵효모가 더 우수하였다. 맥주 효모박을 자가소화시킨 후 glucanase의 첨가는 정미성이 강한 IMP와 GMP의 함량을 160% 정도 증가시켰다.

  • PDF

Cellulomonas sp. CS1-1이 미소결정성 섬유소로부터 생산한 Carboxymethyl Cellulase의 효소적 성질 (Characterization of Carboxymethyl Cellulase Produced by Cellulomonas sp. CS1-1 on Microcrystalline Cellulose)

  • 박종수;윤민호;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75-282
    • /
    • 1997
  • 섬유소분해세균 Cellulomonas sp. CS1-1을 미소결정성 섬유소(sigmacell)에서 배양하면서 생육 및 1,4-${\beta}$-glucanase의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생균수는 배양 1일만에 최대이었지만 1,4-${\beta}$-glucanase의 활성도는 CMC 당화력으로 280 units/mL, 점도저하력으로 $3{\times}10^3units/mL$으로서 배양 5일째 최대이었으며, 이것은 가용성기질에 비하여 약 3배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배양여액으로 부터 황산암모늄침전, Ultro-gel Ac54 겔여과, DEAE-Sephadex A50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Con A-Sepharose 4B 친화성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CMCase의 한분획을 순수정제하였다, 정제한 CMCase는 8.2%의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당단백질이었으며 그 정제도는 배양여액에 비해 CMC 당화력으로 22배 증가한 것이었다. 분자량은 54,000 그리고 둥전점은 pI 5.4 이었으며, 작용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pH 6.0 과 $45^{\circ}C$ 이었다. 정제효소의 CMC에 대한 Michaelis 상수 및 최대반응속도는 10 mg/mL, $6.25{\mu}mol/min$, 그리고 sigmacell에 대해서는 각각 30.3 mg/mL, $2.85{\mu}mol/min$으로 계산되었다 효소의 활성도는 $Ag^+$, $Zn^{+{+}}$, $Fe^{+{+}}$ 그리고 EDTA에 의해 부분적으로 저해되었고, 1mM의 $Cd^{+{+}}$$Hg^{+{+}}$ 이온에 의해서는 완전히 저해되었다.

  • PDF

키틴퇴비를 이용한 토마토의 Fusarium 시들음병의 생물학적 제어 (Effect of Chitin Compost on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wilt in Tomato Field)

  • 김영덕;조민영;김성재;유지연;채동현;김용웅;김길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20
    • /
    • 2006
  • 최근 들어서 생물학적 제어 방법의 하나로써 키틴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제어 수단이 식물병제어에 일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Fusarium 시들음병을 억제하기 위하여 40kg의 키틴퇴비를 면적이 $7.5m^2$ 인 토양에 정식 7일전 처리하였으며 토마토가 시들음병 증세를 보이기 시작하는 날(정식 후 66일)로부터 시작하여 4번에 걸쳐 시료를 채취하였다. 키틴퇴비 처리구(CTC)의 근권토양의 키틴효소와 ${\beta}$-1,3-glucan 효소 활성은 일반퇴비 처리구 (CC) 토양 보다 항상 높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식물체 뿌리에서 측정된 chitinase, ${\beta}$-1,3-glucanase, peroxidase과 같은 병 관련 효소들은 CNC에서 실험기간동안 증가 추이를 보였다. 실험의 마지막 단계인 정식 후 96일째에는 CTC의 토마토는 CC 와 비교 할 때 25% 낮은 치사율을 나타냈다.

Bacillus subtilis DS660과 Paenibacillus polymyxa DS842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acillus subtilis DS660 and Paenibacillus polymyxa DS842)

  • 이다솔;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54-36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여러 미생물에 항균활성을 갖는 토양세균을 분리하고 그들이 생성하는 항균물질과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많은 세균 분리균주 중 Bacillus subtilis DS660과 Paenibacillus polymyxa DS842은 6가지 인간 피부 상재균과 3종의 병원성 세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S660과 DS842 균주는 대부분의 대상 세균과 진균에 대하여 NA 배지 상에서 각각 직경 15.3~26.8과 11.3~27.5 mm의 생장 저해대를 형성하는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S660과 DS842 균주는 siderophore를 생산하였는데 각각 $570{\pm}8$$1700{\pm}15{\mu}mol/ml$의 최대 생산량을 나타내었고, 균주 배양 상등액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의 분석은 그들의 glycolipid 계면활성물질 생성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배양 상등액의 표면장력을 60 mN/m에서 각각 40.3과 30.3 mN/m으로 현저하게 낮추는 계면활성을 보였다. 또한 두 균주는 $169.2{\pm}9.9$$357.2{\pm}13.7nmol/min/mg$ protein의 ${\beta}$-1,3-glucanase 생산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균의 세포벽 성분을 용해하는 능력을 지녔다. 이러한 결과들은 B. subtilis DS660과 P. polymyxa DS842가 일부 중요한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효율적인 생물제어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상업용 β-glucanase를 이용한 홍삼유래 사포닌으로부터 Ginsnoside Rd 의 생물 전환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d from Red Ginseng Saponin using Commercial β-glucanase)

  • 강혜정;이종우;박태우;박혜윤;박준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9-360
    • /
    • 2020
  • 최근 피부 기능 개선과 관련한 다양한 가능성으로 인해 화장품 소재로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인삼 유래 사포닌의 한 종류인 ginsenoside Rd를 위한 생물 전환 제조 기술을 확립하였다. 홍삼 사포닌(RGS)에 포함된 ginsenoside Rb1을 Rd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업용 효소를 탐색하였고 그 중 Viscoflow MG가 가장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Ginsenoside Rd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RSM)을 통하여 실험 조건을 설계하였다. 주요 독립변수는 RGS 농도, 효소 농도와 반응 시간이었고 Box-Behnken design (BBD) 모델설계법에 따라 선정된 17 가지 조건으로 ginsenoside Rd로 전환을 수행하고 최적화 조건을 분석하였다. 전환된 Ginsenoside Rd의 농도는 0.3113 g/L에서 최대 0.5277 g/L까지였고 RGS 2%, 효소 1.25%를 13.5 h 반응시킨 조건에서 가장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ginsenoside Rd 생물전환의 독립변수인 RGS 농도, 효소 농도는 p-value가 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었고 각 독립변수 사이의 교호작용 중에서는 효소 농도와 반응 시간 사이의 교호 작용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길항미생물 Pseudomonas sp. GRC3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

  • 오지훈;박신;강선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60-661
    • /
    • 2001
  • Pseudomonas sp. GRC3은 식물병원성 진균 P. capsici 에 대해 길항력을 가지며, 배양시 생성되는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이 증가함에 따라 항진균력 또한 증가하여, 4일배양 시 균사 성장 저해율이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 PDF

Enzyme Activities of the Fruit Body of Ramaria botrytis DGUM 29001

  • Lee, Tae-Hee;Han, Yeong-Hwan
    • Myco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73-175
    • /
    • 2001
  • The fruit body of Ramaria botrytis DGUM 29001 was used to determine enzyme activities of fruit body. The specific activity of laccase was the highest(6.5 unit/mg$\cdot$protein) and that of $\alpha$-amylase and xylanase was relatively high. However, little or no enzyme activity of $\beta$-glucosidase, CMCase, exo-$\beta$-1,4-glucanase, chitinase, lipase and protease was found.

  • PDF

Development of Appropriate Fibrolytic Enzyme Combination for Maize Stover and Its Effect on Rumen Fermentation in Sheep

  • Bhasker, T. Vijay;Nagalakshmi, D.;Rao, D. Srinivas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7호
    • /
    • pp.945-951
    • /
    • 2013
  • In vitro studies were undertaken to develop an appropriate fibrolytic enzymes cocktail comprising of cellulase, xylanase and ${\beta}$-D-glucanase for maize stover with an aim to increase its nutrient utilization in sheep. Cellulase and xylanase added individually to ground maize stover at an increasing dose rates (0, 100, 200, 400, 800, 1,600, 3,200, 6,400, 12,800, 25,600, 32,000, 38,400, and 44,800 IU/g DM), increased (p<0.01) th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in vitro sugar release. The doses selected for studying the combination effect of enzymes were 6,400 to 32,000 IU/g of cellulase and 12,800 to 44,800 IU/g of xylanase. At cellulase concentration of 6,400 IU/g, IVDMD % was higher (p<0.01) at higher xylanase doses (25,600 to 44,800 IU/g). While at cellulase doses (12,800 to 32,000 IU/g), IVDMD % was higher at lower xylanase doses (12,800 and 25,600 IU/g) compared to higher xylanase doses (32,000 to 44,800 IU/g). At cellulase concentration of the 6,400 to 32,000 IU/g, the amount of sugar released increased (p<0.01) with increasing levels of xylanase concentrations except for the concentration of 44,800 IU/g. No effect of ${\beta}$-D-glucanase (100 to 300 IU/g) was observed at lower cellulase-xylanase dose (cellulase-xylanase 12,800 to 12,800 IU/g). Based on the IVDMD, the enzyme combination cellulase-xylanase 12,800 to 12,800 IU/g was selected to study its effect on feed intake and rumen fermentation pattern, conducted on 12 rams (6 to 8 months; $20.34{\pm}2.369$ kg body weight) fed 50% maize stover based TMR.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s (p<0.01) and ammonia-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enzyme supplemented group, while no effect was observed on dry matter intake, ruminal pH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