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ionomer cement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17초

비글견에서 DSP 유도 합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직접 치수 복조술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evaluation of direct pulp capping with DSP-derived synthetic peptide in beagle dog)

  • 김재훈;홍준배;임범순;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20-1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DSP (dentin sialoprotein)에서 유래된 합성 펩타이드를 동물실험 모델에 적용하여 치수노출 부위에서 상아질 재생을 확인하고, 기존 치 수복조제와의 성능 비교를 통해 새로운 치수복조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6마리 비글견의 73개의 치아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치수를 노출하고 직접 치수 복조술을 시행하였다. 사용한 치수복조제는 (1) $Ca(OH)_2$ (CH군) (2) DSP유도 합성 펩타이드 (PEP군) (3) 합성 펩타이드와 $Ca(OH)_2$ 혼합제 (PEP+CH군) (4) White MTA (WMTA군) 이다. 노출된 치수에 치수복조제를 적용한 후 와동은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로 충전하였다. 시술 후 2주, 1 개월 및 3개월에 각각 2마리씩 비글견을 희생시키고 조직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은 H&E 염색 후 광학 현미경으로 치수 염증 반응과 경조직 형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PEP군에서는 17개의 시편 중 3 개의 시편에서만 경조직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시편에서 적절한 치수 회복을 관찰할 수 없었다. PEP군은 CH군에 비해 심한 염증반응을 보이고, 경조직 형성은 불량하였다. CH군과 WMTA군은 기계적으로 노출된 치수에서의 염증반응과 경조직 형성에 있어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장재와 이장면적의 차이에 따른 인장결합강도의 변화 (CHANGES OF TENSILE BOND STRENGT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LINING MATERIALS AND LINING AREA)

  • 박종덕;이용우;온영석;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443-46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hanges of tensile bond strengt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lining materials and lining area. Seventy non-carious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2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lining materials. Each experimental group was sub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lining area. Circular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dentin surface to a diameter of 1.5mm, 2.0mm, 2.5mm and the prepared cavities were filled with Fuji II LC( Glass Ionomer Cement : GIC) or Dycal. Dentin specimens without circular cavity were used as control group. The primer and bonding agent of All-Bond 2 and composite resin (Z-100, 3M Dental Products, U. S. A.) were applied to the exposed dentin surface with or without lining. Tensile bond strengths for the experimental specimens were then measured. To examine the interface between dentin and liner & between liner and composite resin, two specimens from each group were fabricated and observed under the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nsile bond strength for the specimens lined with GIC was higher than that for specimens lined with Dyca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5). 2. Tensile bond strength for the specimens lined with GIC in a diameter of 1.5mm(GIC-1.5mm l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for the GIC-2.0mm lining group and GIC-2.5mm lining group(p<0.05). 3. Tensile bond strength for the specimens lined with Dycal in a diameter of 2.5mm (Dycal-2.5mm lining group)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for Dycal-1.5mm lining group and Dycal-2.0mm lining group(p<0.05). 4.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good adhesion of the resin composite to the GIC and the presence of a fissure between GIC and dentin all along the interface. Interfacial gaps of 7.2-$72.2{\mu}m$ between GIC and dentin were observed. The interfacial gap between GIC and dentin at the cavity base was greater. However, the gap was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occlusal portion. 5.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poor adhesion of the resin composite to the Dycal. The detachment of Dycal was occurred all along the composite resin-Dycal interface, and the gaps of 2.0-$30.1{\mu}m$ were formed. In all the specimens, polymerization shrinkage of resin composite caused the detachment of Dycal from the body of Dycal. At a Dycal-dentin interface.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good adhesion. but poor adhesion with interfacial gap of 2.9-$26.8{\mu}m$ was observed partially.

  • PDF

여러 치과 와동 기저재용 재료들의 미세누출 및 압축강도 비교 (Comparison of Microleakag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Different Base Materials)

  • 장은영;이제식;남순현;권태엽;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8-175
    • /
    • 2021
  • 이 연구는 깊은 와동에서 기저재로 사용되는 5개의 기저재용 재료를 대상으로 미세누출 및 압축강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발거된 영구 소구치 50개를 준비하여 베이스 재료에 따라 10개씩 군을 나누었다. 치아의 순면에 가로 5.0 mm, 세로 3.0 mm, 높이 3.0 mm 크기의 와동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와동에 1.0 mm 두께로 각 베이스 재료를 충전하였다. 이후 와동의 상방부를 composite resin으로 최종수복 시행하였으며, 시편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침적시킨 후 치아를 절삭하였고 실체현미경(× 30)을 이용해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였다. 압축강도 평가를 위해 각 재료 별로 5개씩의 원통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만능시험기를 이용해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 평가에서 Riva light cureTM가 가장 큰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Well-Root PT와 Biodentine이 가장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압축강도는 모든 군이 베이스 재료로서 받아들일 만한 강도를 보였다. Fuji II LC가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Well-Root PT가 가장 낮은 강도를 보였다.

Effect of the restorative technique on load-bearing capacity, cusp deflection, and stress distribution of endodontically-treated premolars with MOD restoration

  • da Rocha, Daniel Maranha;Tribst, Joao Paulo Mendes;Ausiello, Pietro;Dal Piva, Amanda Maria de Oliveira;Rocha, Milena Cerqueira da;Di Nicolo, Rebeca;Borges, Alexandre Luiz Sout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3호
    • /
    • pp.33.1-33.12
    • /
    • 2019
  • Objective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restorative technique on the mechanical response of endodontically-treated upper premolars with mesio-occluso-distal (MOD) cavity. Materials and Methods: Forty-eight premolars received MOD preparation (4 groups, n = 12) with different restorative techniques: glass ionomer cement + composite resin (the GIC group), a metallic post + composite resin (the MP group), a fiberglass post + composite resin (the FGP group), or no endodontic treatment + restoration with composite resin (the CR group). Cusp strain and load-bearing capacity were evalu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Tukey test were used with ${\alpha}=5%$. Finite element analysis (FEA) was used to calculate displacement and tensile stress for the teeth and restorations. Results: MP showed the highest cusp (p = 0.027) deflection ($24.28{\pm}5.09{\mu}m/{\mu}m$), followed by FGP ($20.61{\pm}5.05{\mu}m/{\mu}m$), CR ($17.62{\pm}7.00{\mu}m/{\mu}m$), and GIC ($17.62{\pm}7.00{\mu}m/{\mu}m$). For load-bearing, CR ($38.89{\pm}3.24N$) showed the highest, followed by GIC ($37.51{\pm}6.69N$), FGP ($29.80{\pm}10.03N$), and MP ($18.41{\pm}4.15N$) (p = 0.001) value. FEA showed similar behavior in the restorations in all groups, while MP showed the highest stress concentration in the tooth and post. Conclusions: There is no mechanical advantage in using intraradicular posts for endodontically-treated premolars requiring MOD restoration. Filling the pulp chamber with GIC and restoring the tooth with only CR showed the most promising results for cusp deflection, failure load, and stress distribution.

광중합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탈회 저항성과 결합 강도에 대한 나노미터 입자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효과 (THE EFFECTS OF NANO-SIZED HYDROXYAPATITE ON DEMINERALIZATION RESISTANCE AND BONDING STRENGTH IN LIGHT-CURED GLASS IONOMER DENTAL CEMENT)

  • 김지희;이용근;김성오;송제선;최병재;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4-3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에 마이크로 입자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와 나노미터 입자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첨가하였을 때 물리적 성질과 탈회 저항, 결합 강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실험에 사용된 광중합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는 Fuji II LC 였고 순수한 Fuji II LC GIC는 대조군으로, 15% micro HA- Fuji II LC GIC는 실험군 1, 15% nano HA- Fuji II LC GIC는 실험군 2로 설정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LSM으로 탈회 표면 깊이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 보다 실험군에서 법랑질의 탈회가 덜 발생하였고, 실험군 1 보다 실험군 2에서 법랑질의 탈회가 적게 관찰되었다. 2. SEM을 이용한 탈회면 관찰시 대조군에서 법랑질의 탈회가 더 많이 일어났고, 실험군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영향으로 탈회가 덜 일어나 표면입자가 보다 규칙적이었다. 두 실험군을 비교했을 때 실험군 2가 실험군 1 보다 탈회에 저항하였다. 3. 결합 강도는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순으로 증가했으며 세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있었다 (p < 0.05). 4. SEM 상에서 결합 강도 측정 후 파절된 면을 관찰한 결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실험군에서 골 유사 아파 타이트 추정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실험군 1 보다 실험군 2에서 더 많은 입자가 형성되었다.

2종 전자근관장측정기의 일관성에 관한 in vitro 연구 (IN VITRO EVALUATION OF THE CONSISTENCY OF TWO ELECTRONIC APEX LOCATORS)

  • 황규용;노병덕;김의성;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20-27
    • /
    • 2008
  • 정확한 근관장 측정은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다. Kuttler는 근관협착부는 주근단공에서 0.5 mm 상방에 위치한다고 하였고 Lee는 상아백악질 경계점부위보다 주근단공이 재현성이 높고 임상적으로 관찰하기 용이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alginate model상에서 2개의 전자근관장측정기를 사용하여 얻은 측정치의 정확성(accuracy)을 평가하고 각각 0.5 mark와 Apex mark 중에서 어느 지점에서 더 일관성(consistency)을 보이는지를 비교하고 또한 근관장을 측정할 때 파일을 전진시키면서 Apex mark를 측정한 값과 치근단부위를 지나친 후 다시 후퇴하면서 측정한 값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52개의 발거된 건전한 제 1, 2소구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Root ZX와 E-Magic Finder Deluxe를 이용하여 각각 26개중 13개는 파일을 전진하면서 0.5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하고 Apex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한 후 0.5 mark에서 고정하였다. 나머지 13개는 0.5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한 후 Apex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하고 다시 치근단 부위를 넘어선 후 후퇴하면서 Apex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하고 고정한 후 치근단부 4 mm를 삭제하여 현미경상에서 파일 끝부터 주근단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Root ZX와 E-Magic Finder 모두, 실험군 100%에서 주근단공과 file tip간의 거리가 임상적 허용범위인 ${\pm}0.5\;mm$내에 있었으며 0.5 mark보다 Apex mark에서 더 높은 일관성을 보였다. 주근단공에서 fie tip사이의 거리는 Root ZX의 0.5 mark에서 -0.18 mm, Apex mark에서 -0.07 mm이고 E-Magic Finder의 0.5 mark에서 -0.25 mm, Apex mark에서 -0.02 mm를 나타내었다. Apex hand는 0.04 mm였다. 따라서 Alginate model을 사용한 본 실험조건에서는 Apex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한 결과 거의 주근단공과 일치하고 다른 여러 연구에서 주근단공에서 0.5 mm상방에 근관협착부가 위치한다고 보고하였으므로 임상적인 측면에서 Apex mark에서 측정한 근관장에서 0.5 mm를 빼서 근관장으로 사용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더 좋으리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