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composition

검색결과 734건 처리시간 0.035초

익산지역에서 자동 및 수동채취방식에 따른 강수의 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Wet and Bulk Precipitation Collected in the Iksan Area)

  • 강공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1-396
    • /
    • 2004
  •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cipitation acid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ion species in Iksan area as well as to know the difference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precipitation samples from the viewpoint of precipitation sampling method,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by wet-only automatic precipitation sampler and bulk manual precipitation sampler in Iksan, from March 2003 to August 2003. The mean pH of precipitation was 5.0. There was a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pH between automatic and manual sampler. However, pH values of some precipitation samples were lower in automatic sampler than in manual sampler, especially in case of precipitation samples with small rainfall for March 2003. The mean concentrations of each ions in precipitation were generally a little higher in precipitation samples collected by the manual sampler than in those collected by the automatic sampler because of accumulation of dry deposition on the surface of glass funnel installed at the manual sampler during the sampling period or no rainfall. Dominant species determining the acidity of precipitation, were N $H_4$$^{[-10]}$ and nss-C $a^{2+}$ for cations and nss-S $O_4$$^{2-}$ and N $O_3$$^{[-10]}$ for anions. The mean concentration of N $H_4$$^{+}$ and nss-C $a^{2+}$ were 31 $\mu$eq/L and 9 $\mu$eq/L for the automatic sampler and 40 ueq/L and 16 ueq/L for the manual sampler, respectively. In addition, nss-S $O_4$$^{2-}$ and N $O_3$$^{[-10]}$ were 27 $\mu$eq/L and 13 $\mu$eq/L for the automatic sampler and 32 $\mu$eq/L and 17 $\mu$eq/L for the manual sampler, respectively. Although the concentrations of the acidifying ions of nss-S $O_4$$^{2-}$ and N $O_3$$^{[-10]}$ were about 3 times higher than those for foreign pristine sites, precipitation acidity were estimated to be natural due to the neutralization reaction of the alkaline species of N $H_4$$^{+}$ and nss-C $a^{2+}$ with its higher concentrations. Considering the ratios of nss-S $O_4$$^{2-}$/N $O_4$$^{[-10]}$ nss-S $O_4$$^{2-}$, it was found that ammonium sulphate was dominant in Iksan precipitation. The major non-sea salt ions were maximum concentrations for March,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precipitation amount.on amount.

이온빔 스퍼터링으로 증착한 $TiO_2$박막의 광학적 특성 및 응용 (Opt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TiO_2$ films prepared by ion beam sputtering)

  • 이정환;조준식;김동환;고석근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6-182
    • /
    • 2002
  • 이온빔 스퍼터링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위에 $TiO_2$ 박막을 증착하고 광학적, 구조적 특성을 분석한 후 실제 반사 방지막을 제작하였다. 박막 증착은 상온에서 실시하였으며 이온빔 전압을 1.2 kV 이온빔 전류 밀도를 200 $\mu\textrm{A}/\textrm{cm}^2$로 고정하였다. 방전가스로 아르곤과 산소 가스를 사용하였으며 $O_2$/Ar비를 변화시켜 박막을 증착하고 각 박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증착된 박막은 비정질이었고 $O_2$/Ar비가 1일 때 화학량론적인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증착된 박막의 표면 거칠기는 7 $\AA$이내의 낮은 값을 보였으나 과량의 산소분위기에서는 그 값이 50 $\AA$이상으로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투과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증착된 $TiO_2$ 박막의 굴절률은 2.40-2.45값을 나타내었고.$O_2$/Ar 비가 0.25-1사이에서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이온빔 스퍼터링으로 $SiO_2$/$TiO_2$6층 반사 방지막을 제작하여 가시 광선 영역에서 약 1%이하의 반사율 특성을 갖는 박막을 증착할 수 있었다.

진동·충격음 흡수성 목질계 복합재료의 개발 -폭 넓은 감쇠곡선을 나타내는 고분자의 합성- (Development of Vibration and Impact Noise Damping Wood-Based Composites -Synthesis of the Polymer Showing a Broad Damping Peak)

  • 이현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15-22
    • /
    • 1999
  • 진동 충격음 흡수성능을 지니는 샌드위치구조 목질 복합재료 제조용 폴리머는 넓은 온도범위(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손실계수를 지니면서, 동시에 $5{\times}10^7\sim-10^9\;dyne/cm^2$의 탄성율을 지녀야 한다. 본실험에서는 이러한 점탄성 거동율 나타내는 고분자재료의 제조를 목적으로 에폭시 수지/아크릴 수지 상호침투망목고분자(IPNs)를 동시망목형성법으로 합성하였다. 고분자의 동적 점탄성은 Rheovibron을 사용하여 110Hz에서 측정하였으며, 복합체의 손실계수 및 동탄성 계수는 Rheovibron을 개조한 양단지지 강제 휨 진동법으로 주파수 110Hz에서 측정하였다. 동력학적 측정 결과, 손실탄성율의 최대값 온도 및 손실계수의 최대값 온도가 이동하고, 유리전이 영역이 확대되어, 이 IPNs계는 부분 상용계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70/30 및 50/50 조성의 Epikote871/P(n-BMA) IPNs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비교적 높은 손실계수 및 적당한 탄성율을 나타냈다. 또한 이를 적층한 목질 복합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비교적 높은 진동흡수 계수를 나타냈다.

  • PDF

한국 제주도와 중국 청도의 항로상에 부유하는 해양폐기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loating Debris on the Cruising Routes from Cheju Island to Qindao Harbor in the Yellow Sea)

  • 김민석;김종화;김삼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3-215
    • /
    • 1999
  • Floating debris was recorded from a training ship, Kaya,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ith about 12 knots speed at July 19~21, 1999 and July 24~26. The sampled area is the Yellow Sea (YS) connected from Cheju Is. of Korea to Qindao harbor of China, divided into 88 unit segments on survey routes.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were categorized with 6 items using the following; man-made or natural wood items, paper and cardboard, nylon netting and rope, styrofoams, vinyl and plastics, floating metal and glass containers. All identified items within a $120{\pm}20m$ wide band were recorded but ignored if beyond this boundary. The results of distribution of floating debris in the area are as follows: 1. The greatest quantities of marine debris discovered during the survey were $184pieces\;per\;km^2$ near Qindao harbor. The next polluted areas, Sohuksan islands, positioned in the eastern part of YS were scattered in about $40pieces/km^2$ or so. 2. Among items, woods, paper and cardboard, vinyl and plastics were found out near Qindao Coast of China.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styrofoams, nylon netting and rope near the area of Sohuksan islands in the eastern part of YS. 3. The distribution densities of western part of YS near Qindao are varied with largely range in items and quantities but those of the eastern part, near Sohuksan islands were nearly constant. 4. Styrofoams were composed of 63% among all debris in YS, next paper and cardboard 15%, and wood item, vinyl and plastics each 10%. Therefore, marine debris of YS is revealed tha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are very different in each area. These phenomena are concluded that they largely depend on the life styles in land and the utilities of the sea. And of items, styrofoams is dominated b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YS. Furthermore, surveys are continuously being investigated, and from this it is hoped that a much wider coverage can be achieved, perhaps all sites of the YS and contributed to the finding sources, the stationary area and removal method of debris joined the flow patterns.

  • PDF

$\textrm{V}_{2}\textrm{O}_{5}$계 전자 전도성 유리의 제조 및 전기적 특성 (Preparation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Electro-conducting Glasses Containing $\textrm{V}_{2}\textrm{O}_{5}$)

  • 김일구;박희찬;손명모;이헌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88
    • /
    • 1997
  • 유리 형성제로 $B_{2}O_{3}$를 사용하고 CuO를 첨가한 vanadate계 3성분계 유리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조성별 결정화온도에서 열처리 시간을 다르게 하여 생성되는 결정상을 조사 하였으며, 결정화 특성에 따른 직류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분헉하였다. 생성 결정물은 XRD 분석결과 $V_{2}O_{5},\;{\alpha}-CuV_{2}O_{6}$로 판명 되었으며, 열처리 시간에 따라 $V_{2}O_{5}\;와\;{\beta}-CuV_{2}O_6$의 결정화도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alpha}-CuV_{2}O_{6}$의 결정화도는 크게 변화하였고 ${\alpha}-CuV_{2}O_{6}$의 결정화도 증가에 따라 전기 전도도가 증가 하였다. 전기 전도도는 상온(303K)에서 유리 조성을 변화시켜 $10^{-2}~-10^{-4}{\Omega}^{-1}cm^{-1}$ 범위로 조절될수 있었다. $V_{2}O_{5}$ 함량이 증가할수록, 염기도($CuO/B_{2}O_{3}$)가 감소할수록 전기 전도도가 증가 하였다. 이 유리의 charge carrier는 전자인 n-type 반도체임이 seebeck coefficient 측정결과 판명되었으며, 전자 전도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0.098-0.124eV로 계산되어졌다. 측정 온도인 $30~200^{\circ}C$에서 small polaron hopping conduction이 발생함이 관찰되었고, variable range hopping은 보이지 않았다.

  • PDF

플라즈마토치 용융로 운전경험을 통한 내화물 수명 증진 방안 (Enhancement of the Life of Refractories through the Operational Experience of Plasma Torch Melter)

  • 문영표;최장영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9-178
    • /
    • 2016
  • 플라즈마토치 용융로에 있어서 내화물의 보수를 최소화하고 용융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처리대상 폐기물의 물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원전에서 발생되는 비가연성 방사성폐기물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콘크리트 조각, 유리, 모래 등에 대한 화학적 조성비를 조사하여 보면 산성산화물이 염기성산화물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용융 시 염기도가 매우 낮은 산성 슬래그가 된다. 이 용융슬래그는 유동도가 낮아서 용융물의 배출특성이 좋지 않으며 내화물에 침식을 유발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경사형 구조의 측면 출탕구를 가진 플라즈마토치 용융로의 경우, 구조상 출탕 후 일정량의 금속성 용융물이 항상 용융로 내부 바닥과 출탕구에 남게 된다. 비중차에 의해 비금속 용융슬래그는 금속성 용융물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혼합형 플라즈마토치를 이행형 운전모드로 가동하게 되면 금속성 용융물과 비금속 용융물이 동시에 용융되므로 비금속 용융슬래그의 온도는 금속 용융온도 이상으로 유지가 된다. 내화물의 수명 향상을 위해 용융로 내부의 온도와 용융물과 접촉하는 부위와 접촉되지 않는 부위를 구별하여 내화물의 특성을 주지하고 가장 적합한 내화물을 부위별로 선정하였다. 산성 내화물과 염기성 내화물이 인접하지 않도록 하고 용융슬래그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Solution-Processed Nontoxic and Abundant $Cu_2ZnSnS_4$ for Thin-Film Solar Cells

  • 문주호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5-65
    • /
    • 2012
  • Copper zinc tin sulfide ($Cu_2ZnSnS_4$, CZTS) is a very promising material as a low cost absorber alternative to other chalcopyrite-type semiconductors based on Ga or In because of the abundant and economical elements. In addition, CZTS has a band-gap energy of 1.4~1.5eV and large absorption coefficient over ${\sim}10^4cm^{-1}$, which is similar to those of $Cu(In,Ga)Se_2$(CIG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absorber materials for high efficient solar cell. Most previous works on the fabrication of CZTS thin films were based on the vacuum deposition such as thermal evaporation and RF magnetron sputtering. Although the vacuum deposition has been widely adopted, it is quite expensive and complicated. In this regard, the solution processes such as sol-gel method, nanocrystal dispersion and hybrid slurry method have been developed for easy and cost-effective fabrication of CZTS film. Among these methods, the hybrid slurry method is favorable to make high crystalline and dense absorber layer. However, this method has the demerit using the toxic and explosive hydrazine solvent, which has severe limitation for common use. With these considerations, it is highly desirable to develop a robust, easily scalable and relatively safe solution-based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a high quality CZTS absorber layer. Here, we demonstrate the fabrication of a high quality CZTS absorber layer with a thickness of 1.5~2.0 ${\mu}m$ and micrometer-scaled grains using two different non-vacuum approaches. The first solution-processing approach includes air-stable non-toxic solvent-based inks in which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ecursor nanoparticles are dispersed in ethanol. Our readily achievable air-stable precursor ink, without the involvement of complex particle synthesis, high toxic solvents, or organic additives, facilitates a convenient method to fabricate a high quality CZTS absorber layer with uniform surface composition and across the film depth when annealed at $530^{\circ}C$. The conversion efficiency and fill factor for the non-toxic ink based solar cells are 5.14% and 52.8%, respectively. The other method is based on the nanocrystal dispersions that are a key ingredient in the deposition of thermally annealed absorber layers. We report a facile synthetic method to produce phase-pure CZTS nanocrystals capped with less toxic and more easily removable ligands. The resulting CZTS nanoparticle dispersion enables us to fabricate uniform, crack-free absorber layer onto Mo-coated soda-lime glass at $500^{\circ}C$, which exhibits a robust and reproducible photovoltaic response. Our simple and less-toxic approach for the fabrication of CZTS layer, reported here, will be the first step in realizing the low-cost solution-processed CZTS solar cell with high efficiency.

  • PDF

키토산/젤라틴 블랜드 폴리머의 물리적 및 열적 특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Phys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Chitosan/Gelatin Blend)

  • 김병호;박장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0-37
    • /
    • 2005
  • 유용한 생고분자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키토산과 젤라틴을 이용하여 solution casting 방법으로 혼합비율에 따라 혼합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키토산/젤라틴 혼합필름의 인장 강도, 신장률, 색도, 불투명도, 수분 및 산소 투과도와 같은 물리적인 특성과 열적 특성에 있어 혼합비율이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혼합비율별로 제조된 키토산/젤라틴 혼합필름의 인장강도는 58.24MPa에서 22.01MPa로 점차적으로 감소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신장률은 13.11%에서 24.67%로 인장 강도 결과와는 다르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필름의 외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특성인 색도 측정 결과, L 값의 경우 키토산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었고, a와 b 값은 L 값에 반비례로 증가되었다. 또한 키토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혼합 필름의 ${\Dalta}E$ 및 YI 값들은 키토산 함량 90%를 제외하고는 보다 높은 값들로 측정되었다. 혼합필름의 불투명도는 $0.3104nmO.D./{\mu}m$에서 $1.2161nmO.D./{\mu}m$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수분 투과도는 $1.6875ng{\cdot}m/m^{2}{\cdot}s{\cdot}Pa$에서 $1.7225ng{\cdot}m/m^{2}{\cdot}s{\cdot}Pa$로 측정되었지만, Duncan의 다중비교 분석결과로 키토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혼합필름의 수분 투과도는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산소 투과도는 혼합비율에 따라 $2.2380{\times}10^{-7}mL{\cdot}m/m^{2}{\cdot}s{\cdot}Pa$에서 $2.2975{\times}10^{-7}mL{\cdot}m/m^{2}{\cdot}s{\cdot}Pa$로 나타났다. 또한 열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혼합비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는 단일 곡선을 나타내었고, 젤라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는 증가하였기 때문에 이 결과들을 볼 때, 키토산과 젤라틴 고분자들 사이에 상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기화학적 증착법에 의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용 메조포러스 백금-금 합금전극제조 (Synthesis of Mesoporous Pt-Au Alloy Electrode by Electrodeposition Method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 박은경;안재훈;김영수;김경화;백성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727-731
    • /
    • 2008
  • 계면활성제(P123)를 주형물질로 사용하여 메조포러스 구조의 Pt-Au 합금박막을 전기화학적 증착법에 의해 ITO가 코팅된 유리 위에 합성하였다. 전해질은 각각 10 mM의 $H_2PtCl_6$$HAuCl_4$의 혼합용액에 일정량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분석을 통하여 기공구조를 확인하였고,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분석을 통하여 합성된 박막의 표면입자의 형태를 확인하였다. 합성된 메조포러스 구조의 Pt-Au 합금박막의 입자 함량비는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메탄올 산화에 대한 전기화학적 촉매활성과 박막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메조포러스 구조일 때,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산화전류밀도가 월등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순수한 Pt박막과 비교하였을 때 소량의 Au입자의 첨가로 촉매적 안정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아크릴계 복합입자 바인더의 제조와 플라즈마 처리영향 (Synthesis and Effect of Plasma Treatment of Acrylic Composite Particle Binder)

  • 심동현;설수덕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76-283
    • /
    • 2008
  • 단량체의 종류(MMA, EA, BA, St), 단량체의 중량비($80/20{\sim}20/80$) 등을 변화시켜 core shell 바인더를 제조하구 여기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물성을 향상시켰다. 각 소재별로 플라즈마 처리시간($1{\sim}10\;s$)을 변화시켜 인장강도, 접촉각 및 접착박리강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core shell 바인더의 표면처리 조건을 산출하였다. 중합에서는 바인더의 종류와 조성에 관계없이 개시제는 APS, 반응온도 $85^{\circ}C$에서 0.3 wt%의 유화제를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고,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공중합체의 단일 전이 곡선에 비하여 core shell 바인더는 2개 이상의 전이 곡선을 얻었다. Core shell 바인더에 플라즈마 처리 전 후의 접촉각 변화는 PEA/PSt의 경우 5초 이내에 38%의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처리하지 않은 경우는 감소율이 급격히 $0^{\circ}$에 도달하였다. 인장강도는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PSt/PMMA의 경우 $46.71{\sim}46.27\;kg_f$/2.5 cm로 처리전 후 모두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접착박리강도는 PEA/PMMA의 경우 처리 전 $7.89\;kg_f$/2.5 cm에서 처리 후 $14.44\;kg_f$/2.5 cm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접착박리강도의 크기는 shell 단량체가 MMA인 core 단량체에 대하여 PEA>PBA>PSt의 순으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