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zzard-shad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7초

전어의 보존 중 겨자의 처리 효과 (Effects of Mustard Seed(Brassica juncea) on the Preservation of Gizzard-shad Slice)

  • 서권일;강갑석;이용수;정용진;김용택;심기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05-211
    • /
    • 1996
  • 겨자의 항균성 및 식품보존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겨자의 처리에 따른 전어회의 보존효과를 조사하고, Vibrio Parahaemolyticus의 형태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겨자를 농도별로 첨가시킨 물에 담근 전어의 pH는 보존기간이 지남에 따라 미량 증가하였으며, 겨자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고, 생균수 및 Vibrio 균수는 겨자 무첨가구에 담근 전어에서보다 겨자 첨가구에 담근 전어에서 감소하였으며, 겨자첨가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폭이 크게 나타났고, TMA 질소 함량은 보존기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겨자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겨자 물추출물로 처리한 Vibrio Parahaemolyticus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균체가 팽윤되고, 표층구조가 허물어져 심한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수산물 및 수산 발효식품의 암세포 억제효과 (Anticancer Effect of Extracts from the Marine and Salted Fish Products.)

  • 임현수;김수현;유은정;강동수;최명락;송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8-53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cytotoxic effect of the various salted fish extracts against cancer cell line,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using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ethod. Urechis unicinctus was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among any other traditional salted fish products. The growth inhibition ratio of Urechis unicinctus hot-water extracts was 94.5%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textrm{g}$/$m\ell$.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salted fish methanol extracts, salt-fermented shad gizzard was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The growth inhibition ratio of salt-fermented shad gizzard methanol extracts was investigated 90%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textrm{g}$/.$m\ell$.

  • PDF

이용도가 낮은 수산자원의 효소적 가수분해 조건 (Enzymatical Hydrolysis of Low-Usefulness Marine Resources)

  • 배태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94-401
    • /
    • 1998
  • In present work, the development of processing for various fermented sea foods using low-usefulness marine resources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temperatures of autolysis were 35$^{\circ}C$ for hair tail, 45$^{\circ}C$ for gizzard shad, 30$^{\circ}C$ for kangdale, 30$^{\circ}C$ for pen shell and 30$^{\circ}C$ for oyster and when alcalse(Novo Co.) were added, optimum temperatures were 60$^{\circ}C$, 50$^{\circ}C$, 50$^{\circ}C$, 50$^{\circ}C$ and 50$^{\circ}C$, respectively, and protease N, P. (Pacific chem. enzyme mixture 2,000) were 55$^{\circ}C$, 60$^{\circ}C$, 50$^{\circ}C$, 50$^{\circ}C$ and 50$^{\circ}C$, respectively. Especially although exozymes and endozymes reacted at same time, hydrolysis rate of raw materials got to maximum at optimum temperatures of exozymes. The facts showed that exozymes dominated the hydrolysis reached max8imum at pH 9.0, and optimum hydrolysis time of all raw materials were 6 hours.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exozymes were about 3.0% for hair tail, 4.5% for gizzard shad, 3.5% for kangdale, 3.0% for pen shell and 3.0% for oyster, respectively.

  • PDF

이용도가 낮은 어패류의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속성액젓의 제조 (Rapid Processing of Hydrolyzed Sauce Using Low-Usefulness Fish and Shellfish)

  • 배태진;최옥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02-408
    • /
    • 1998
  • A rapid processing method for fermented sauce of favorable flavor was investigated with low-usefulness marine resources. Hydrolyzed at optimal conditions for 6 hours usuing alcalase, and separated by molecularporous membrane. It's very effective for remove bitter taste at below M.W. 100 dalton, and effective at below M.W.500 dalton. Added 2% invert sugar in fermented sauce at below M.W.500 dalton, and thermal treatment at 100$^{\circ}C$ for 30 minutes were improved flavor. Chemical composition of fermented sauce using hair tail were 80.7% of moisture, 2.2% of carbohydrate, 1.8% of total nitrogen, 1.6% of amino nitrogen and pH was 6.5. The ratio of amino nitrogen in total nitrogen was 77.8%.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ermented sauce used gizzard shad, kangdale, pen shell and oyster were similar to fermented sauce used hair tail. Total nitrogen were above 1.8% and the ratio of amino nitrogen in total nitrogen was 77.7∼84.2% in all fermented sauce. Amino acid contents in fermented sauce used hair tail, gizzard shad, kangdale, pen shell and oyster were 4,318.1mg%, 4,681.3mg%, 3,156.2mg% and 4,175.0mg%, respectively. And the predominant free amino acid were glutamic acid, lysine and glycine in all fermented sauce.

  • PDF

뼈째 포함한 전어 무섞박지 김치의 발효 중 이화학적 품질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dish kimchi supplemented with seafood (gizzard shad) during fermentation)

  • 박인명;송호수;조성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01-607
    • /
    • 2018
  • 전어를 살만 첨가한 섞박지 김치와 전어의 살과 뼈를 함께 첨가한 수산물 첨가 김치와 일반 섞박지 김치를 $54^{\circ}C$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호도 검사를 연구하였다.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와 산도는 일반 섞박지 김치와 같이 정상 발효 패턴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는 일반 섞박지 김치에 비해 높았고 이에 반해 산도는 수산물 첨가 김치가 일반 섞박지 김치보다 높았다. 전어를 뼈 채 첨가한 섞박지 김치의 젖산세균 최대 균 수가 일반 섞박지 김치에 비해 높았으며, 전어를 뼈 채 첨가한 김치의 환원당 함량이 높았기 때문이다. 적숙기(pH $4.3{\pm}0.1$, 산도 $0.7{\pm}0.1%$)에 도달하는 시기는 전어 김치는 1주와 2주차 사이에 일반 섞박지 김치가 저장 3주차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전어를 뼈 채 포함한 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김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김치의 기호도 검사를 통해 적숙기에서 전어의 살만 첨가한 김치의 기호도가 상승하였으며 과숙기에는 전어의 살만 그리고 전어를 뼈 채 포함한 김치의 기호도가 상승하여 발효가 진행될수록 수산물 고유의 감칠맛이 김치의 맛을 더욱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용호만 인공어초 어장에서 어획된 돌돔, 성대 및 전어에 대한 음향반사강도의 체장 의존성 (Fish length dependence of target strength for striped beakperch, bluefin searobin and konoshiro gizzard shad caught in the artificial reef ground of Yongho Man, Busan)

  • 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3호
    • /
    • pp.239-247
    • /
    • 2010
  • Species of fish such as striped beakperch, bluefin searobin and konoshiro gizzard shad are commercially very important due to their high demand in the Korean market. When estimating acoustically the abundance of stocks for these species, it is of crucial importance to know the target strength (TS) to the length dependence. In relation to these needs, the T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ree different species in an acrylic salt water tank using two split-beam echo sounders of 70 and 120 kHz. The TS for these three species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was simultaneously measured with the swimming movement by a DVR system and analyzed as a function of fish length (L) and frequency (or wavelength $\lambda$). The equation of the form TS=a log (L)+b log ($\lambda$)+c was derived for their TS-length dependence. The best fit regression of TS on fork length for striped beakperch was estimated as TS=35.67 log (L, m) -15.67 log ($\lambda$, m) -46.69 ($r^2$=0.78). Furthermore, the best fit regression of TS on fork length for konoshiro gizzard shad was shown to be TS=25.85 log (L, m) -5.85 log ($\lambda$, m) -32.22 ($r^2$=0.51). The averaged TS for 12 bluefin searobins with a mean length of 24.36cm at 70 kHz was analyzed to be -41.55dB. In addition, the averaged tilt angle obtained simultaneously by a DVR system with TS measurements for 27 konoshiro gizzard shads swimming within an acrylic salt water tank was estimated at $-2.7^{\circ}$.

어류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건조젓갈의 제조조건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Fermented and Dried Sauces Using Fish Hydrolysates)

  • 배태진;최옥수;강훈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0-174
    • /
    • 1999
  • 이용율이 낮은 어류를 이용하여 건조젓갈을 제조하고 품질개선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젓갈은 풀치, 전어 및 강달이 전어체 마쇄물에 대하여 절반량의 물과 $4\%$ Alcalase를 첨가하여 6시간 가수분해시키고 여과한 여액을 분자량 500 dalton의 막을 통과시킨 후 건조보조제로서 $2\%$ glucose, $4\%$ lactose 및 $4\%$ skim milk를 첨가하고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분자량 500dalton의 막을 통과시킨 분획물은 아미노질소 회구율이 $91.7\~92.5\%$로서 쓴맛을 거의 나타내지 않아 쓴맛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첨가한 건조보조제도 역시 풍미개선에 효과적이었고, 건조수율은 풀치 $16.4\%$, 전어 $17.2\%$ 및 강달이 $17.0\%$였다. 최종제품의 수분함량은 각각 $4.2\%,\;3.7\%$$4.0\%$였고,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38.2\%,\;46.2\%$$42.5\%$였다. 그리고 총질소량과 아미노질소량은 각각 $3.9\%,\;4.1\%$ 및 3$3.7\%$$3.2\%,\;3.4\%$$3.1\%$로 높았으며, 총질소에 대하여 아미노질소가 차지하는 비율은 $82.1\~83.6\%$이었다. 풀치, 전어 및 강달이의 건조젓갈을 $25\%$, Aw 0.88 조건에서 평형시켰을 때 흡습율은 각각 $6.9\%,\;7.5\%$$6.8\%$였고, 용해도는 각각 $84.6\%,\;83.6\%$$93.8\%$로 나타났다.

  • PDF

인공 신경망에 의한 6개 어종의 음향학적 식별 (Acoustic Identification of Six Fish Specie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 이대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24-233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for the acoustic identifica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fish species in Korea. A broadband echo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operating over the frequency range of 85-225 kHz was used to collect and process species-specific, time-frequency feature images from six fish specie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utus [K],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konoshiro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and larg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An ANN classifier was developed to identify fish species acoustically on the basis of only 100 dimension time-frequency features extracted by th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The overall mean identification rate for the six fish species was 88.5%, with individual identification rates of 76.6% for black rockfish, 82.8% for black scraper, 93.8% for chub mackerel, 90.6% for goldeye rockfish, 96.9% for konoshiro gizzard shad and 90.6% for large yellow croaker,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dividual live fish in well-controlled environments can be identified accurately by the proposed ANN model.

정치망에 대한 어군의 대망행동 (Behavior of Fish School to the Set-Net)

  • 아동근;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2호
    • /
    • pp.109-117
    • /
    • 1997
  • 우리나라 남해안의 거제도 도장포와 남해군 미조면에 설치되어 있는 수심 20m해역의 중형 정치망어구를 대상으로 길그물 및 통그물의 어군수도기능과 원통그물의 어군체유효과 등을 현장 실험을 통해 검토, 분석하였다. 어류에 Tag를 부착하고 통그물의 각부와 길그물의 주변에 방류 시켜 다음 양망과정에서 재포하였으며, 본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의 헛통에서 방류하여 양쪽 원통 안으로 들어가 재포된 입망률은 소형 고등어가 20.3%, 소형 전갱이는 16.2%, 감성돔은 10.3%, 꼬치고기는 19.1%, 학공치는 16.3%, 전어는 20.0%였으며, 전체 방류미수 667마리 중에서 115마리로 17.2%였다. 2. 양쪽 원통에서 방류하여 다시 그 원통그물내에서 재포된 잔류율은 소형 고등어가 21.7%, 소형 전갱이는 21.5% 감성돔은 6.7%, 꼬치고기는 17.8% 학공치는 16.8% 전어는 19.1%를 나타냈으며, 전체 방류이수 1,513마리 중에서 284마리로 18.8%였다. 그리고 81.2%는 원통그물로부터 빠져나갔다. 3. 창문으로부터 25m거리의 길그물 양측 지점에서 방류하여 헛통으로 들어간 비율, 즉 길그물의 수도율은 소형 고등어가 58.9%, 소형 전갱이는 74.6%, 감성돔은 38.0%, 꼬치고기는 54.7% 학꽁치는 58.6%, 전어는 54.5%였으며, 총방류미수 1,086마리 중에서 627.4마리로 평균 57.8%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형 고등어, 소형 전갱이, 꼬치고기, 학공치 및 전어는 길그물의 차단수도교과가 크게 작용하는 어종으로 나타났다. 4. 꼬치고기, 학공치, 전어는 조상측의 원통그물에 많이 입망되었고, 소형 전갱이와 감성돔은 조하측 원통그물에서 많이 입망되었다. 5. 소형 고등어와 소형 전갱이는 조하측 원통그물에서 잔류율이 높았고, 감성돔, 꼬치고기 및 학공치는 조상측 원통그물에서 잔류율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