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oside re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6초

가압조건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에서 Ginsenosides의 추출특성 모니터링과 추출효율 비교 (Monitoring of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Comparison of Extraction Efficiencies for Ginsenosides in the Microwave-Assisted Process Under Pressure)

  • 이새봄;이기동;권중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64-171
    • /
    • 1999
  • 가압형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추출조건(에탄올농도,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에 따른 인삼 ginsenosid서 추출특성을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마이크로파 추출법의 추출효율을 확인하였다. 조건별 추출물의 ginsenoside함량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대부분 0.830이상으로 $10\%$이내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Ginsenoside-Rb_2$ -Rc, -Re 및 $-Rg_1$은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140^{\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에탄을 농도가 $50\~75\%$에서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Ginsenoside의 HPLC 패턴은 MAP 추출온도 $120^{\circ}C$에서 unknown peak가 확인되었으며, $150^{\circ}C$추출에서는 unhown peak가 증가되었다. $Ginsenoside-Rb_2$와 -Re 함량에 미지화합물(unknown peak)을 포함하였을 때 는 최대의 추출온도가 $129^{\circ}C$에서 $147^{\circ}C$로 증가하였고, 동시에 추출시간과 $R^2$가 증가하였다. MAP 추출에서 unknown화합물의 함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33\%$, 추출온도 $99.34^{\circ}C$, 추출시간 3.65분이었다. 추출효율의 확인시험에서 8분간의 MAP추출법은 현행 추출법(40시간) 매우 유사한 수준의 ginsenoside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영양액재배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 조성에 미치는 N.P.K.의 영향 (Effect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Root Grown with Nutrient Solution)

  • 박훈;이미경;이종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78-82
    • /
    • 1986
  • 버미큐라이트 폿드 시험으로 묘삼(苗蔘)의 양액재배(養液栽培)에서 N.P.K.의 수준(水準)을 달리하여 근중 ginsenoside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이들 중 어느 하나의 결제 또는 증가는 사포닌 함량(含量)의 증가 또는 감소를 보였다. 사포닌 함량에 영향을 가장 크게 주는 것은 질소이고(15.5%에서 8.9%) P.K.의 순(順)이었다. 각 ginsenoside 함량에서도 유사(類似)한 결과를 보였다. 양분환경변화에 의한 함량변이(含量變異)의 순위(順位)는 $Rd>Rb_1>Rg_1+Rf>Rc>Rg_2{\geqq}Rb_2>Re$로 Re가 가장 둔감하며 다른 요인에 관하여도 둔감할 것으로 보였다. Diol 총량이 triol 총량보다 민감하나 이들의 비(比)는 절반의 변이계수를 보였다. 영양조건에 의한 각(各) ginsenoside의 변이(變異)는 그 함량(含量)과는 무관(無關)하였다. Ginsenoside pattern의 유사도(類似度)는 총 사포닌 함량에 차이가 큰 처리간에서 낮아졌다. 뿌리의 생육(生育)은 수도수구(水道水區)에서만 유의성있게 적었다.

  • PDF

NaCl 농도가 인삼의 ginsenoside 함량과 pH 및 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change of ginsenosides, pH and color by NaCl concentration)

  • 박명한;이종원;이종태;김교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60-264
    • /
    • 1993
  • 인삼을 조미제품의 첨가성분으로 이용할 때 그 NaCl 농도에서 인삼성분의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삼과 홍삼정을 NaCl 농도별로 처리하여 pH, 색상 및 ginsenosides 함량을 조사한 결과, 미삼의 경우 NaCl 농도가 증가 할수록 pH는 높아졌으나 홍삼정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색상은 NaCl 농도가 증가 될수록 감소하였다. n-BuOH extract 수율은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감 범위는 홍삼정이 컸다. Ginsenosides 함량은 d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Rb_1$, $-Rb_2$, -Rc, -Rd 및 tr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모두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ginsenoside-Re가 가장 민감한 증감의 변화를 보였다.

  • PDF

고속액체(高速液體) chromatography에 의(依)한 Ginsenoside $-Rb_1,\;-Rb_2,\;-Rc,\;-Rd,\;-Re$$-Rg_1$의 대량분리(大量分離) (Larqe guantity isolation of Ginsenoside $-Rb_1,\;-Rb_2,\;-Rc,\;-Rd,\;-Re\;and\;-Rg_1$ in Panax ginseng C.A. Meyer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최진호;김우정;배효원;오성기;대포언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4호
    • /
    • pp.199-205
    • /
    • 1980
  • 인삼의 유효약리성분으로 밝혀진 saponin중의 각 ginsenosides를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대량분취전용 고속액체 chromatograph인 preparative HPLC의 응용을 검토하였다. 조(粗) saponin획분을 preparative HPLC인 Prep LC/system-500를 사용하여 부분분획을 하고 각 획분에 함유되어 있는 ginsenosides의 조성을 Analytical HPLC로 동정한 후 Semi-preparative HPLC를 사용하여 인삼주성분 saponin을 단리했다. 그 결과 인삼 주성분 saponin인 $ginsenoside-Rb_1,\;-Rb_2,\;-Rc,\;-Rd,\;-Re$$-Rg_1$은 약 20 mg / 2.0 ml / injection으로 chromatography를 행하여 $300{\sim}400mg/day$로 대량분취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ginsenosides의 약리 및 임상효능 연구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2계단 배양방법을 이용한 인삼 모상근의 대량배양과 Ginsenoside 생산 (Mass Culture and Ginsenoside Production of Ginseng Hairy Root by Two-Step Culture Process)

  • 고경민;양덕춘;박지창;최강주;최광태;황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1호
    • /
    • pp.63-69
    • /
    • 1996
  • 인삼의 모상근 HRB-15 clone을 3L 용량의 생물반응기에서 배양하여 ginsenoside 생산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상근을 광배양하면 암배양에 비해 생장이 30% 정도 억제되지만 ginsenoside 함량(ginsenoside-Rb1, -Rb2, -Rc, -Rd, -Re, -Rg1)은 크게 증가되어 암배양시보다 2배 높은 1.10%로 나타났으며, 이때에는 ginsenoside-Re의 함량이 매우 높은 반면 다른 ginsenoside들의 함량은 암배양시 보다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초기 10일간 암배양한 후 20일간 광배양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sodium acetate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본 결과, sodium acetat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상근의 생장이 억제되고 ginsenoside 함량도 감소하였으며, 배양배지내 인산의 농도를 변화시켜 본 결과, 1.25 mM $KH_2PO_4$ 처리가 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함량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yeast elicitation과 ammonium nitrate를 이용한 2단계 배양방법(two-step culture process)을 개발하였다. Elicitor로서 $50\;\mu\textrm{g}/g$ yeast extract를 배양 20일째(광배양 10일째)에 첨가하여 본 결과, 총 ginsenoside 생산 모두에서 상승된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2단계 배양방법은 인삼 모상근의 대량배양을 통해 이차대사산물인 ginsenoside 생산량을 증가시킬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인삼의 근, 엽 및 경의 일반성분, 용매별 엑기스 및 사포닌 함량 비교 (Content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s, Various Solvent Extracts and Saponins in Root, Leaf and Stem of Panax Ginseng)

  • 김석창;최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18-122
    • /
    • 1987
  • 인삼의 재배과정중에 부산물로 산출되는 지상부위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엽과 경의 반성분, 용매별 엑기스 및 사포닌함량을 근의 함량과 대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엽은 총당의 함량이 21.5%로 근보다 낮았으나 조직유질, 조지방질 및 회분은 각각 9.41%, 3.43% 및 6.83%로 높았다. 경은 조직유질이 39.2%로 현저하게 많았고 총당과 조단백질은 22.7% 및 8.54%로 근보다 낮았다. 2. 용매별 추출물의 수율은 추출용매의 극성이 클수록 높았으며 근과 경에 비하여 엽은 methanol 및 ehanol 추출물의 수율이 35.9% 및 27.3%로 현저하게 많았고, acetone 및 ethyl acetate추출물도 5.64% 및 3.52%로 높았으며 그 외의 비극성 용매의 추출물의 수율도 대체로 높았다. 3. 총 조saponin의 수율은 근과 경은 4.78% 및 2.22%였으나 엽은 19.58%로 현저하게 높았다. HPLC에 의한 분석결과 엽에는 ginsenoside-Rg1(3.32%), -Re(3.24%), -Rd(2.32 %), -Rc(0.65%), -Rb2(0.92%), -Rbl(0.29%), and -Rf(0.11%)가 함유되었고, 경에는 ginsenoside-Rgl(0.28%), -Re(0.3%), -Rd(0.05%), -Rf(0.11%)외에 미량의 -Rbl, -Rb2, -Rc가 검출되었다. 특히 엽은 총 saponin과 ginsenoside-Rg1, -Re 및 -Rd외에도 -Rc와 -Rb2의 함량이 높아서 이들 성분의 분리용 시료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진생베리의 활성 성분 최적 추출 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f Optimized Simultaneous Extraction Conditions for Active Component of Ginseng Berr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고희경;박준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5-1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진생베리로부터 활성 성분인 ginsenoside Re와 Rb1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인하였다. 70% 에탄올과 증류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교반, 초음파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ginsenoside Re와 Rb1 의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친환경적 제조 방법 여부를 고려한 결과 증류수 용매의 마이크로파 추출법이 가장 적합한 추출방법인 것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파 추출법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파 출력량(50 ~ 200 W, X1), 용매와 진생베리의 비율(5 ~ 20 times, X2), 추출시간(30 ~ 120 s, X3)을 독립변수로 최적화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도출된 회귀방정식의 결정계수는 0.9보다 높으며 p-value값은 0.05보다 작아 모델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Ginsenoside와 총 폴리페놀 함량을 위한 최적 추출조건은 마이크로파 출력량(200 W), 진생베리와 추출 용매 비율(20 times), 추출시간(90 s)로 확인되었다. 최적 추출조건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6.23 mg GAE/g, ginsenoside Re 17.69 mg/g, Rb1 16.01 mg/g으로 예측되었고, 실제 실측검증에서 각각 6.33 mg GAE/g, 17.79 mg/g, 15.59 mg/g으로 예측된 값에 대하여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hemical and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Changes of Ginsenoside Re by Maillard Reaction and Its Possible Use as a Renoprotective Agent

  • Yamabe, Noriko;Song, Kyung-Il;Lee, Woo-Jung;Han, Im-Ho;Lee, Ji-Hwan;Ham, Jung-Yeob;Kim, Su-Nam;Park, Jeong-Hill;Kang, Ki-S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256-262
    • /
    • 2012
  • Reactive oxygen species play critical role in kidney damag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Panax ginseng are known to be increased by heat-processing. The structural change of ginsenoside and the generation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MRP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d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demonstrated the Maillard reaction model experiment using ginsenoside Re and glycine mixture to identify the renoprotective effect of MRPs from ginseng or ginsenosides. Ginsenoside Re was transformed into less-polar ginsenosides, namely Rg2, Rg6 and F4 by heat-processing.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ginsenoside Re-glycine mixture was increased in a temperature-dependant manner by heatprocessing. The improved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by heat-processing was mediated by the generation of antioxidant MRPs which led to the protection of LLC-PK1 renal epithelial cells from oxidative stress. Although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less-polar ginsenosides were weak, they could protect LLC-PK1 cells from oxidative stress. Therefore, MRPs and less-polar ginsenosides contributed to the combined reno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renal damage.

고려인삼 열매채취시기에 따른 열매형질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 (Changes of Berry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Depending on Collection Time of Korean Ginseng Berry)

  • 이은섭;김연주;안영남;한정아;조창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4-219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est time for collecting ginseng berries without reducing the ginsenoside-Re content of ginseng roots, which are used as food, medicine, or cosmetic materials. Methods and Results: The test variety of ginseng used in this study was is Chunpung, which was collected from a 4-year-old ginseng field. Ginseng berries were collected at 7, 14, 21, 28, 35, 42, 49, and 56 days after flowering. The number of berry bunches per $1.62m^2$ ranged from 43.4 to 61.4, while the weight of berries per $1.62m^2$ was the greatest when they were collected 49 days after flowering. The root fresh weight per $1.62m^2$ was increased by 0.21 - 1.00 kg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est, but root weight gain was decreased as the berry collection time was delayed. Total ginsenoside content of 4-year-old ginseng was the highest when berries were collected 7 days after flowering, while the ginsenoside-Re contents was the highest when collection was done 14 days after flowering. Conclusions: The most suitable period for ginseng berry collection was proposed to be from 14 to 21 days after flowering, as this is when the content of ginsenoside-Re, which is useful as a medicinal or cosmetic material, is still high and the ginseng root has not yet decreased in weight.

40주령의 생쥐 간에 미치는 ginsenoside의 항산화효과 (Effects of the Antioxidative Components to Ginsenoside in the Liver of 40-week-old Mice)

  • 김경현;성금수;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162-167
    • /
    • 2000
  • 40주령의 생쥐에게 홍삼 총사포닌, PD, PT ginsenoside G-Rd, 5-Re 및 C-K 등을 경구투여하여 생쥐 간에 미치는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OD와 CAT활성도 변화와 과산화수소 함량, MDA수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SOD와CAT 활성도는 모든 홍삼 사포닌 투여군에서 증가하였지만 PD투여군에서만 유의성(p<0.01) 있는 증가를 보였다. 과산화수소 함량은 홍삼 사포닌의 투여로 모두 감소하였으며, 특히 PD, PT G-Rd(p<0.01) 및 G-Re 투여군(p<0.05)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CAT 활성도는 G-Rd 투여군에서 유의성(p<0.05) 있게 증가하였다. 지질과산화의 최종산물인MDA수준은 홍삼 투여군 모두에서 감소되었으며, 특히 G-Rd투여군에서 유의성(p<0.05) 있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홍삼 사포닌 성분은 40주령의 생쥐 간에서 항산화효소의 합성증가를 유도하거나 활성을 촉매하여 활성산소들을 효율적으로 소거하는 기능과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물질의 합성능력을 강화하여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방어하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특히 홍삼 사포닌 중에서도 PD와G-Rd투여군은 항산화 효소활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