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nutrition

검색결과 746건 처리시간 0.028초

당귀.지황.홍삼 첨가에 따른 발효 청국장의 기능성 변화 연구 (Changes in the Functionality of Cheonggukjang During Fermentation Supplemented with Angelica gigas, Rehmanniae Radix, and Red ginseng)

  • 최은지;이정숙;장흥배;이미숙;장해동;권영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7-474
    • /
    • 2010
  • 일반 청국장과 한약재를 첨가한 CKJ-DD, CKJ-RG, CKJDD+RG, CKJ-RED의 기호도 및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색도분석 결과, 5가지 청국장 모두 브라운 계열이었으며, a값 (redness), b값(yellowness)은 5가지 청국장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구수한 맛을 나타내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CKJ보다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이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단맛을 나타내는 alanine, glycine, lysine 또한 CKJ에 비해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이 3~4.5배 더 많은 함량을 나타냈다. 반면, 한약재의 고유한 향에 의해서 쓴맛을 나타내는 leucine은 CKJ에 비해 CKJ-DD, CKJ-RED이 2배의 함량을 더 나타냈다. 한편 혈당강하 조절기전과 관련된 항당뇨 활성 결과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상승억제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CKJ과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 CKJRED) 간의 큰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5종의 청국장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피놀릭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 CKJ에 비해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의 총 피놀릭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Pe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mu}g/mL$ 농도에서 대조군인 CKJ과 비교하여 CKJ-DD은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나 CKJ-RG는 1.5배, CKJ-DD+RG은 3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다양한 한방청국장 제품의 표준화 및 제품화를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hibitory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on DNA damage response and apoptosis in Helicobacter pylori-infected gastric epithelial cells

  • Kang, Hyunju;Lim, Joo Weon;Kim, Hyeyo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79-85
    • /
    • 2020
  • Background: Helicobacter pylori increas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induces oxidative DNA damage and apoptosis in gastric epithelial cells. DNA damage activates DNA damage response (DDR) which includes ataxia-telangiectasia-mutated (ATM) activation. ATM increases alternative reading frame (ARF) but decreases mouse double minute 2 (Mdm2). Because p53 interacts with Mdm2, H. pylori-induced loss of Mdm2 stabilizes p53 and induces apoptosis. Previous study showed that Korean Red Ginseng extract (KRG) reduces ROS and prevents cell death in H. pylori-infected gastric epithelial cells. Methods: We determined whether KRG inhibits apoptosis by suppressing DDRs and apoptotic indices in H. pylori-infected gastric epithelial AGS cells. The infected cells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KRG or an ATM kinase inhibitor KU-55933. ROS levels, apoptotic indices (cell death, DNA fragmentation, Bax/Bcl-2 ratio, caspase-3 activity) and DDRs (activation and levels of ATM, checkpoint kinase 2, Mdm2, ARF, and p53) were determined. Results: H. pylori induced apoptosis by increasing apoptotic indices and ROS levels. H. pylori activated DDRs (increased p-ATM, p-checkpoint kinase 2, ARF, p-p53, and p53, but decreased Mdm2) in gastric epithelial cells. KRG reduced ROS and inhibited increase in apoptotic indices and DDRs in H. pylori-infected gastric epithelial cells. KU-55933 suppressed DDRs and apoptosis in H. pylori-infected gastric epithelial cells, similar to KRG. Conclusion: KRG suppressed ATM-mediated DDRs and apoptosis by reducing ROS in H. pylori-infected gastric epithelial cells. Supplementation with KRG may prevent the oxidative stress-mediated gastric impairment associated with H. pylori infection.

Improvement of antithrombotic activity of red ginseng extract by nanoencapsulation using chitosan and antithrombotic cross-linkers: polyglutamic acid and fucoidan

  • Kim, Eun Suh;Lee, Ji-Soo;Lee, Hyeon Gy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236-245
    • /
    • 2021
  • Background: Red ginseng (RG) extract, especially ginsenoside Rg1 and Rb1 fractions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thrombotic activities. However, gastric instability and low intestinal permeability are considered to be obstacles to its oral administration. We hypothesized that stability, permeability, and activities of RG might be improved by encapsulation within nanoparticles (NPs) prepared with antithrombotic coating materials. Methods: RG-loaded chitosan (CS) NPs (PF-NPs) were prepared by complex ionic gelation with the antithrombotic wall materials, polyglutamic acid (PGA), and fucoidan (Fu). The concentrations of PGA (mg/mL, X1) and Fu (mg/mL, X2) were optimized for the smallest particle siz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RG and PF-NPs were analyzed using ex vivo and in vivo antiplatelet activities, in vivo carrageenan-induced mouse tail, and arteriovenous shunt rat thrombosis models. Results: In accordance with a quadratic regression model, the smallest PF-NPs (286 ± 36.6 nm) were fabricated at 0.628 mg/mL PGA and 0.081 mg/mL Fu.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RG on ex vivo and in vivo platelet aggregation and thrombosis in in vivo arteriovenous shunt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to approximately 66.82%, 35.42%, and 38.95%, respectively, by encapsulation within PF-NPs. For an in vivo carrageenan-induced mouse tail thrombosis model, though RG had a weaker inhibitory effect, PF-NPs reduced thrombus significantly due to the presence of PGA and Fu. Conclusion: PF-NPs contributed to improve the activities of RG not only by nanoencapsulation but also by antithrombotic coating materials. Therefore, PG-NPs can be suggested as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for oral administration of RG.

홍삼박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 정유민;오한슬;강성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050-10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홍삼박 분말의 첨가량을 0%, 3%, 6%, 9%로 밀가루에 혼합하여 머핀을 제조한 후 이에 따른 품질을 평가하였다. 홍삼박의 일반 성분은 수분 6.37%, 조단백질 11.7%, 조지방 0.9%, 조회분 4.3%로 나타났다. 홍삼박 머핀 반죽의 비중을 측정한 결과 반죽의 비중은 홍삼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머핀의 중량과 굽기손실률은 홍삼박 분말 첨가군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머핀의 부피, 높이와 pH는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홍삼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홍삼박 분말 첨가량 증가 시 높은 수분 함량의 머핀 제조가 가능하였다. 머핀의 dough와 crumb의 색도의 경우 dough와 crumb의 L값과 b값은 홍삼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홍삼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머핀의 항산화 활성은 홍삼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 검성, 씹힘성은 홍삼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점착성, 탄력성, 응집성, 복원성은 홍삼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색, 조직감, 입안에서의 느낌은 홍삼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머핀 제조에 홍삼박 가루를 6% 이하로 첨가할 경우 홍삼박의 기능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품질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홍삼박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홍삼 . 백삼 및 압출성형 건조수삼의 성분특성 (Chemical Components of Red, White and Extruded Root Ginseng)

  • 하대철;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7-254
    • /
    • 2005
  • 본 실험은 홍삼, 백삼, 압출성형 공정변수인 수분함량을 25%와 30%로 달리하여 제조한 압출성형수삼의 화학적 성분을 비교하였다. 조회분, 조지방, 총당의 경우 홍삼, 백삼, 압출성형수삼 간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환원당의 경우 백삼시료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산은 수삼을 파쇄하여 7$0^{\circ}C$에서 건조한 수삼(A처리구)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수분함량 25%, 배럴 11$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에서 압출성형한 수삼(B처리구)보다 수분함량 30%, 배럴 11$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에서 압출성형한 수삼(C처리구)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사포닌의 경우에는 A처리구가 4.02%, B와 C처리구가 4.77%, 4.12%이고, 수삼 표피를 제거하지 않은 피부백삼(D처리구)은 3.56%, 수삼 표피를 제거한 피부백삼(E처리구)의 경우는 3.25%, 홍삼(F처리구)은 4.02%로 조사되었다. 총 진세노사이드는 조사포닌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A처리구가 6.031 mg/g, B와 C처리구가 8.108 mg/g, 6.876 mg/g으로 조사되었고, D처리구는 7.978 mg/g, E처리구의 경우는 5.591 mg/g, F처리구는 9.834 mg/g로 측정되었다. F처리구에서 홍삼특유 사포닌이라고 알려진 $R_{g3}$가 측정되었다. 말톨의 경우에는 홍삼과 압출성형수삼 처리구에서만 관찰되었다. 산성다당체는 압출성형에 의해 2∼3%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압출성 형수삼은 홍삼의 성분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압출성형공정변수의 변화를 통해 홍삼에 포함된 홍삼특유 사포닌인 $R_{g3}$도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삼(人蔘)사포닌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 대한 지용성(脂溶性) 비타민의 첨가효과(添加效果) (Study on the Additional Effect of Fat-Soluble Vitamins to Antioxidative Action of Ginseng Saponin)

  • 이향숙;우순임;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115
    • /
    • 1983
  • 1.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vitamin A와 D가 인삼사포닌 단독보다 높아 지용성 비타민 첨가에 의한 상승효과가 인정되었다. 2. 과산화지질 생성초기의 유도기간은 vitamin A, D를 첨가했을 때 대조군이나 인삼 사포닌보다 효과적으로 유도기간을 연장시킴을 알 수 있었다. 3. in vitro에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을 TBA value로 조사한 결과 vitamin E>A>D의 순으로 지용성 비타민의 첨가효과가 인정되었다. 4. in vivo실험에서 인삼 사포닌 및 지용성 비타민 첨가 투여에 의한 rat의 체중 및 간장, 신장의 장기중량 변화는 지용성 비타민의 첨가가 체중증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간장은 비타민 첨가군에서 다소 중량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신장의 중량변화에는 큰 유의성을 발견 할 수 없었다. 5. in vivo실험에서 인삼 사포닌 및 지용성 비타민 첨가 투여에 의한 rat의 혈액에서의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은 vitamin E>D>A의 순으로 나타났고, 간장에서는 vitamin A와 E첨가군에서 효과적임이 인정되었다.

  • PDF

고려인삼이 암독소의 지방분해작용에 미치는 저해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Ginseng on Lipolytic Action of Toxohormone-L from Cancerous Ascites Fluid)

  • Sung-Dong Lee;Yoo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83-391
    • /
    • 1994
  • 한국 홍삼과 백삼의 조산성 다당체 성분과 수용성 추출물, 그리고 ginsenoside 성분이 암독소 호르몬-L에 의해 유도된 지방 분해를 저해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방분해 및 식욕억제 인자로 알려진 암독소 호르몬-L은 saroma-180을 접종한 mouse의 복수액으로부터 부분정제하여 사용하였다. 한국 홍삼과 백삼으로부터 정ㅇ제하여 얻은 조산성 다당체 각 분획의 성분은 10$\mu$g/ml 농도 이상에서 암독소 호르몬-L이 유도하는 지방 분해에 억제효과가 있었고, 이들 중 PG1과 PG4에서 지방 분해 저해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이를 더 정제한 결과 PG4-3분획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고려인삼 중 백삼과 홍삼의 각 4, 5, 6 년근별로 얻은 수용성 추출물의 암독소 호르몬-L의 지방분해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억제율은 1,000$\mu$g/ml 농도에서 백삼 4, 5 및 6년근이 각각 56.3, 59.7 및 59.4% 였고, 홍삼은 각각 78.6, 79.1 및 82.5%로 백삼보다 홍삼의 억제율이 높았다. 인삼 시료 g당 총저해활성은 백삼의 경우 100$\mu$g/ml 농도에서는 4년근이, 1,000$\mu$g/ml 농도에서는 5년근에서 가장 높았으나, 홍삼의 경우 다같이 6년근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ginsonoside 성분의 경우 지방 분해 억제율과 총저해활성이 모두 RB2에서 가장 높았다.

  • PDF

홍삼과 산야초 발효액을 첨가한 고추장의 기능성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ing the Functional Quality of Kochujang Added with Red Ginseng and Fermented Wild Herbal Extract)

  • 윤금주;김지영;여혜림;전미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75-1679
    • /
    • 2011
  • 본 연구는 홍삼 및 전분질 원료로 산야초 발효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 등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일반 시판 고추장에 비해 6% 정도 낮았고 회분과 조단백의 경우 각각 3.7%, 0.9% 정도 높게 나왔다. 조지방에 경우는 두 시료 모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H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편이었는데 이는 다른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고추장보다도 낮은 값으로 홍삼과 산야초 발효액 첨가가 더 많은 유기산을 생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색도의 경우 L, b값은 홍삼, 산야초 발효액 첨가 고추장이 높은 값을 띄는 반면 a값은 시판 고추장이 더 높게 나왔다. 이러한 차이는 색도의 관한 기호도 평가에서 대조군 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기능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DPPH 활성의 경우 전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높게 나왔지만 특히 가장 높은 농도인 100 ${\mu}g$/mL에서 유의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적으로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지질산화를 일으키는 효소인 lipoxygenase의 저해능을 평가한 결과 100 ${\mu}g$/mL의 고농도에서 시판 고추장뿐만 아니라 양성대조군보다 2배가량 높은 저해활성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색깔, 풍미, 종합적 기호도 모든 항목에서 시판 고추장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얻음으로 홍삼과 산야초 발효액의 첨가가 전반적인 고추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환경하(異常環境下)의 영양문제(營養問題) 연구(硏究)(제1보) -진동하(振動下)의 영양문제(營養問題)- (Studies on the Nutrition under Abnormal Environment(I) -Nutrition under Vibration-)

  • 유정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권4호
    • /
    • pp.15-23
    • /
    • 1971
  •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pplementation of certain nutrients or foods to the rice diet (low protein, low fat, and low vitamins) may decrease, to some extent, the degree of suffering from abnormal environments, such as vibration, noises, gases, dusts, smog etc.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started. As the first report the nutrition under vibration was studied in this experiment. Sixty (60) young growing male rats weighing about 65 grams were used, grouping to five (5) groups, twelve (12) rats each group. They were fed on the following five (5) experimental diets: rice diet (basal diet), rice diet+casein, rice diet+vitamins, rice $diet+{\alpha}-tocopherol$, and rice diet+ginseng powder (see the tables 1 and 2) for the period of 14 weeks experiment.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the half number of the rats of each group were exposed to the three (3) hours vibration every day. The protective effect of each diet against the vibration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rowth of rice diet group was impaired significantly under vibration, However, those of other groups (protein-supplemented, vitamin-supplemented, ${\alpha}-tocopherol-supplemented$ and ginseng-supplemented groups) were impaired much less compared with rice diet group. 2. The feed efficiency of the rice diet group was decreased significantly under vibr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biological availability of nutrients was impaired under this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he feed efficiencies of protein supplemented, of vitamin supplemented, and of ginseng supplemented groups were not decreased under vibration, statistically. 3. There is tendency that the food spillages of vibration groups are higher than those of non-vibration groups. Especially it seems true in the case of rice diet group. The food spillage may be, to some extent, related with mental nervousness of animals. From the point that the food spillage of ginseng supplemented group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it is thought ginseng acts some good role in protecting nervous system from suffering from vibration. 4. In all groups except protein supplemented group, liver fat of vibration group tends to be higher than that of non-vibration group. 5. It shows that, in general,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the vibration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vibration group. It seems that there may be, to some extent, co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liver fat and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6. There is tendency that, in rice diet group, the organs of vibration group are smaller than those of non-vibration group, especially lung is so. It is thought that this may be due to the poor growth of whole body size in vibration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