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nkgo

Search Result 38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ective Medicinal 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Cyclic Mastalgia (Breast Pain): A Review

  • Niazi, Azin;Rahimi, Vafa Baradaran;Hatami, Hooman;Shirazinia, Reza;Esmailzadeh-dizaji, Reza;Askari, Nafiseh;Askari, Vahid Reza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1-139
    • /
    • 2019
  • Introduction: Mastalgia is the most common benign breast disorder during the fertility period of women. So far a wide range of natural or complementary medicines is used to cure mastalgia. Sanitary organizations need complete and suitable details to help women, for making the proper decision for alternative treatment based on the evidenc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troduce medicinal plant-based treatments about mastalgia and summarizes clinical trials about this disorder. Method: The articles were provided using mixture of keywords including cyclic pain, breast, treatment, therapeutics, therapy, clinical trial, herbal, drug, mastalgia and all the probable terms,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databases SID, Iran Medex, Magiran, PubMed, Scopus, Medline, Science direct and Cochrane library, in both Persian and English languages. All cross-sectional and review articles about herbal treatment of mastalgia until 2018 November were studied. Results: Nineteen articles from all of the available articles (45 cases) and a sample size about of (1987 cases) were included in our study. The articles were clinical trial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stalgia could be healed by Nigella sativa, Vitex agnus-castus, curcumin, Hypericum perforatum, Citrus sinensis, wheat germ, and Ginkgo biloba. Conclusion: Most of the evaluated medicinal plants possessing antioxidant compounds with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properties, exhibited healing effects in the treatment of mastalgia. Thus, medicinal plants can be considered in the treatment of mastalgia;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obtain more details about their probable side effects.

Computed Radiograhpy (CR)를 통한 목재 수종별 X선 투과 이미지 해석을 위한 기초연구 (1) (Preliminary Study (1) for Development of Computed Radiography (CR) Image Analysis according to X-ray Non-destructive Test by Wood Species)

  • 송정일;김한슬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0-231
    • /
    • 2021
  • 문화재 방사선 비파괴 투과 조사 방식은 이미지플레이트(Image Plate, IP)를 사용하는 디지털 방사선영상시스템(Computed Radiography, CR)이 도입되면서 필름방식의 아날로그 이미지에서 점차 디지털 이미지로 교체되고 있다. 방사선 비파괴 투과 조사의 이미지 품질은 촬영 조건(관전압, 관전류, 노출시간), 영상 획득 매체, 촬영 거리, 유물의 두께 등이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는 목재 문화재에 주로 사용되는 수종(소나무, 밤나무, 은행나무, 상수리나무)에 X선 선원의 투과 특성을 GE사(社)의 CR 영상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의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분석한 후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및 대조도를 평가하고, 이중-선 상질계(Duplex-wire image quality indicator), 구형파 차트(line-pair gauges), 선형 식별계(Image Quality Indicator)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단미 한약과 합성 혈압약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antihypertensive drugs)

  • 오유나;이홍범;김형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18
    • /
    • 2018
  • Objective : Many patients take antihypertensive drugs as well as herbal medicine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treat other symptoms or to keep their well-being. In this study, interactions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antihypertensive drugs were analyzed. Methods :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antihypertensive drugs, three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OASIS, Mediline and Sciencedirect were searched.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antihypertensive drugs were independently reviewed and included. Results : Analyzing selected studies, twenty herbs were found to interact with antihypertensive drugs. Herbs found to increase the antihypertensive effect were Panax ginseng, Carthamus tinctorius, Magnolia officinalis, Silybum marianum, Scutellaria baicalensis, Schisandra chinensis, Sophora flavescens, Piper nigrum, Curcuma longa, Ginkgo biloba, Juncus effuses and Hydrastis canadensis. In contrast, Commiphora myrrha, Rhodiola rosea, Hypericum perforatum, Eurycoma longifolia, and Daturae metel were found to inhibit the antihypertensive effect. Stephania tetrandra could increase or decrease the effect depending on the type of antihypertensive drug. Epedria sínica was suspected of pharmacodynamic interaction with antihypertensive drug. Glycyrrhiza uralensis has been reported to have serious side effects in combination with antihypertensive drugs. Conclusion : These results imply that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antihypertensive drugs, proper doses and herbs which are to avoid need to be informed to the patients. Despite concerns about interactions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drugs, related research is very limited. More systematic researches are needed to give information on patient safety as well as to guide clinical practice.

공동주거단지 조경식재공사의 하자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Defect of Landscape Trees Its Improvement Plan at the Apartment Complex)

  • 김양희;권영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101-111
    • /
    • 2008
  • 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people want to live in more pleasant environment with beautiful trees, clean air and water. They are keenly interested in environmental issues as well as living environment of apartment which is a trademark of modern life. With this situation, the function and roles of landscaping trees have been recognized as a critical factor to improve living environment. As people have asked for more demands on those trees, it has raised more issues on the defect of trees and is required the solution to those issu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reasons of defects and find out those solutions. The data on defects in 1990s was referenced to the reports issued by SH Corporation in 1994 and 1997. The data on defects in 2000s are collected from March, 2006 to May 2006 based on the survey for apartments already constructed by Korea Housing Corpor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shown that, in the year of 1994, landscaping trees causing high rate of defects were Acer buergerianum (92%), Pinus densiflora(85.7%), Celtis sinensis(80%), Cydonia sinensis(75%) and Diospyros kaki(66.6%), and in the year of 1997, landscaping trees causing high rate of defect were Ziziphus jujuba(100%), Cornus alba(65.2%), Diospyros kaki(60%), Thuja occidentalis(60%), and Metasequoia glyptostroboides(42%). And, in the year of 2006, landscaping trees causing high rate of defect were Sophora japonica(100%), Taxus cuspidata(80%), Magnoila quinquepeta (75%), Acer palmatum(62.5%) and Ginkgo biloba(50%). Because the reasons of defects were variou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including the climate, location, time and landscaping trees carried into the work area, we present the problems and solutions to those defects. Since the landscaping trees are living creatures, the factors of defects were various and complicat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 So, in the period of warranty, contractor should designate the tree manger who can recognize the situation and take suitable action within timely manner.

수목원 방문객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선방향 - 제이드가든 내 4개 주제정원을 대상으로 -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Increases of Visitor Satisfaction on Arboretum by Post-evaluation - Based on Jade Garden -)

  • 박건;윤영조;길승호;노회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0-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이드가든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제원의 식물전시 만족도, 관람로 만족도, 시설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적인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만족도분석을 위해 제이드가든 내 4개의 주제원별로 100부씩 총 400부의 설문결과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기법은 다중회귀분석 t-test, 다원배치분산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식물원 내 주제원의 만족도는 식물전시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시설물이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나타났다. 식물전시 만족도의 세부요인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식물다양성 만족도, 식물배치방법이 각 주제원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식물다양성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서는 다양한 종의 도입이 주제원의 만족도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단일 수종으로 특화하여 조성된 주제원인 은행나무미로원의 경우, 만족도가 높게 분석되어 식물의 다양성과 그에 따른 만족도가 비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원의 주제나 조성의도에 따라 식물다양성 연출이 이용만족도에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관람로의 경우 동선의 폭원이 이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는데, 이는 제이드가든의 성수기 내 집중된 이용객의 증가 요인으로 관람로 내 이용객의 교행 가능여부가 만족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시설물의 경우 휴식 및 편의 시설의 존재유무가 방문객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용자만족도 증진을 위한 수목원의 관리 및 조성에 있어서 식물다양성, 식물배치방법, 관람로의 폭원, 시설물다양성 등이 중요도가 높은 설계인자로 고려되어야 하며, 세부적인 방문객 만족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주제원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국내(國內) 6개(個) 은행(銀杏)나무 식재지(植栽地)에 있어서 I-SSR 변이체(變異體)의 다양성(多樣性) (Diversity of I-SSR Variants in Gingko biloba L. Planted in 6 Regions of Korea)

  • 홍용표;조경진;홍경낙;신은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2호
    • /
    • pp.169-175
    • /
    • 2001
  • 6개지역에 식재된 은행나무 182개체의 잎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I-SSR과 RAPD 표지자를 분석하였다. 15개 I-SSR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해서 227개의 증폭산물 변이체를 확인하였고, 5개 RAPD primer를 사용하여 67개의 증폭산물 변이체를 확인했다. 6개 집단에 있어서 집단내의 유전적 다양성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Shannon's Index, I-SSR : 0.35~0.40; 평균 0.38, RAPD : 0.31~0.38; 평균 0.35, 통합 : 0.35~0.40; 평균 0.37). 3개의 자료(I-SSR 표지자, RAPD 표지자 및 통합 자료)로부터 평가된 유전적 다양성 정도의 등급은 상호간에 일치하지 않았다. 유전적 다양성의 대부분이 집단내 개체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I-SSR : 94.31%, RAPD : 93.62%, 통합 : 93.57%), 결과로써 집단간 분화정도는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수나무와 암나무 그룹간의 유전적 분화정도는 매우 낮았으며(I-SSR : 0.03, RAPD : 0.091, 통합 : 0.043), 수나무와 암나무들 동시에 채집한 3개 지역만을 대상을 분석했을 경우에는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I-SSR : 0.038, RAPD : 0.084, 통합 : 0.047). UPGMA법을 이용해서 분석한 집단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는 지리적 거리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몇몇 지역들이 종자 공급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I-SSR과 RAPD data를 성별로 재편성해서 유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든 수나무 집단들과 암나무 집단들이 각각 별개의 성별 분지군을 형성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2개의 data를 통합해서 유집 분석을 수행했을 경우에는 성에 따른 명백한 분지군이 형성되지 않았다.

  • PDF

도시 낙엽성 조경수종의 탄소저장 및 흡수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Deciduous Tree Species for Urban Landscape)

  • 조현길;안태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60-168
    • /
    • 2012
  • 본 연구는 직접수확법을 통해 도시 낙엽성 조경수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 회귀모델을 제시하고 도시녹지의 탄소저감 계량화에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 수종은 도시조경수로 흔히 식재되는 단풍나무, 느티나무, 왕벚나무 및 은행나무이었다. 수종별로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흉고직경 크기를 고려한 수목을 구입하여,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산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흉고 부위의 수간 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4개 수종별 생장에 따른 단목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는 활용 용이한 회귀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는 0.94~0.99로서 적합도가 상당히 높았다. 단목의 탄소저장량과 탄소흡수량은 모두 직경생장과 더불어 증가하였고, 직경급간 그 차이도 대개 직경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동일 직경에서는 느티나무가 가장 높은 경향이었고, 다음으로 왕벚나무, 은행나무 등의 순이었다. 유도한 회귀식을 적용하면, 흉고직경 15cm인 느티나무 단목은 약 54kg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연간 7kg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 조경수목의 직접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에 기인하여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산림수목의 계수를 대용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는 정부나 지자체의 도시녹지 사업과 관련하여 조경수목의 탄소저감을 평가하는 공공기반기술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조경수목(造景樹木)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대한 피해반응(被害反應)(I) -엽내유황(葉內硫黃) 및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을 중심으로- (Injury Responses of Woody Landscape Plants to Air Pollutants(I) -Sulfur and Heavy Metal Content-)

  • 김명희;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71-282
    • /
    • 1993
  • 조경수목(造景樹木)들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 흡수(吸收), 정화능력(淨化能力)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대전(大田) 등(等) 대도시(大都市) 지역과 광릉지역(光陸地域)을 선정하고 소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튜립나무 및 양버즘나무 잎을 채취하여 유황함량(硫黃含量)과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을 측정 분석하였다. 조경수목(造景樹木)의 엽내(葉內) 유황함량(硫黃含量)은 서울 및 대전(大田)의 오염지역(汚染地域)의 수목(樹木)들이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인 광릉지역(光陸地域) 수목(樹木)에 비하여 모두 높았으며, 활엽수(闊葉樹)가 침엽수(針葉樹)에서보다 2.6배(倍)나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은행나무(나자식물(裸子植物))와 양버즘나무(피자식물(被子植物))의 유황(硫黃) 흡수능(吸收能)이 높았다. 시기별(時期別)로는 은행나무, 양버즘나무 및 튜립나무에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유의적(有意的)인 증가(增加)를 하고 있었다. 엽내(葉內) Pb 함량(含量)은 오염지역(汚染地域)이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에 비하여 잣나무, 소나무, 양버즘나무, 튜립나무 및 은행나무에서 각각(各各) 14.1, 10.6, 5.0, 4.2 및 3.9배(倍)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엽내(葉內) Zn의 함량(含量)은 오염지역(汚染地域)에서 각각(各各) 2.0, 1.4, 5.3, 8.8 및 3.6배(倍) 더 높게 나타났다. 오염지역(汚染地域)에서는 침엽수(針葉樹)의 경우 Pb의 흡수(吸收), 축적(蓄積)이 많았고 활엽수(闊葉樹)의 경우 Zn의 흡수(吸收), 축적(蓄積)이 더 많았다. 수종별(樹種別)로는 잣나무가 소나무보다 엽내(葉內) Pb, Zn, Cu의 함량(含量)이 높았으며, 엽령별(葉令別)로 1년생(年生)잎보다 2년생(年生)잎에서 더 높았고, 소나무, 잣나무, 튜립나무 및 양버즘나무에서는 전유황함량(全硫黃含量)과 중금속(重金屬)(Pb+Zn+Cu) 함량(含量)의 평균치간(平均値間)에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 PDF

전통공간 재현을 위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intenance Plan of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for Representing Traditional Space)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안혜인;김대열;조운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82-95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공간의 수목정비방안 마련을 위해 광한루원을 사례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통공간의 수종 선정과 수목정비 동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선행되었으며, 광한루원의 현장조사를 통한 식재현황을 분석하고, 과거 문헌 및 기록 등에 나타나는 수종 및 식재경관을 토대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공간의 수종 선정과 수목정비에 관한 동향을 살펴본 결과, 전통공간 내에 식재된 외래수종에 대하여 맹목적인 지양은 한계가 있으며 전통공간의 수종 선정에 대한 논의는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시점에서 수목정비에 대한 외래수종의 무분별한 제거 및 향토식물의 맹목적 식재 등의 이분법적 정비방안 및 비검증된 사료의 맹신은 배제되어야 한다. 둘째, 광한루원 내에 식재된 수종을 조사한 결과 소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배롱나무 등 전통공간에서 애용되었던 수종들이 주로 식재되어 있으나 각 공간의 성격을 고려할 때, 광한루 일대를 제외한 광한루원 경내의 수목 식재는 전통공간의 성격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문헌이나 문학작품 등에서 나타나는 광한루원의 수목식재 관련 기록을 살펴본 결과, 현재 광한루원 내에 식재된 수종 중 버드나무류, 배롱나무, 대나무(이대), 연꽃만이 나타나고 있어 고증을 통한 수목정비에는 무리가 따른다. 넷째, 광한루원의 각 권역별 수목정비방안을 모색한 결과, 광한루 권역은 역사적 시대성과 장소성을 지니고 있으며 오늘날 그 모습을 복원해나가고 있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완월정 권역은 광한루의 건조물군과 유사한 형태로서 자칫 원형으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완충식재를 통한 전이 공간 조성 등 광한루 권역과는 다른 별도의 장소성 확보가 필요하다. 월매집 권역과 잔디광장 권역은 과거 성외 장시이자 대규모의 숲으로서 율림의 상징적 복원과 동시에 경내의 편의시설 및 관리시설의 집적을 통해 성외 장시의 모습을 재현하도록 하며, 완월정 동측 잔디광장은 완월정 권역과 연계하여 활용적 측면에서 현재와 같이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광한루원 경계 권역은 고증의 측면과 현존요소의 진정성 여부를 살펴보았을 때 전통공간의 장소성과는 연관 짓기 어려운 장소로서 과거 문학작품에서 나타나는 문화경관을 반영하는 것 또한 하나의 정비방안으로 고려할 만하다 판단된다.

밀양 칠탄정 경영과 칠리탄 16경의 경관특성 (A Characteristics of 16 Scenes of Chilitan and Management of Chiltanjung, Milyang)

  • 김수진;정해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36
    • /
    • 2019
  • 본 연구는 오한 손기양이 경영한 칠리탄 일원의 경관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조선 16~17세기 선비가 지향했던 출처관과 이상적인 경관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칠탄정십육경도」에 묘사된 그림과 시문 그리고 현장답사를 진행하여 각 경의 구조와 해석을 진행하였다. 오한은 광해군 4년 조정의 정치가 날로 문란해지자 은거를 결심하고 낙향하게 되는데, 평소 엄자릉의 은일적 삶을 흠모하여 엄자릉이 칠탄을 경영한 것과 같이 원래의 종천을 칠리탄이라 이름하고 그 주변 정자에 짓고, 낚시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등 자연에 귀의하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하지만 은거를 하고 있음에도 임금과 조정을 걱정하는 등 도학적 출처관을 지향하고 있으며, 칠탄정 원림 건물의 각 기둥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수신, 안빈낙도 등의 성리학적 사유와 무위자연을 표상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모습은 1936년 모습이며, 읍청당을 중심으로 운강루, 벽립재, 칠탄정 등이 위치하고 있다. 원림 주변에는 '진암수석', '기암', '오한손선생장구지소', '조기' 등의 각자가 남아있어 당시의 장소정체성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중건기 등의 기록에 의하면 칠탄정 주변으로 소나무를 비롯한 전나무, 오동나무, 은행나무, 연꽃, 복숭아, 대나무 등이 식재되었다고 하며, 현재 은행나무와 배롱나무, 소나무와 밤나무가 발견되는데, 식물의 상징성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식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칠탄정 16경의 경관묘사 방법은 '장소+경관(행위)'의 구조로, 칠탄정을 중심으로 근경, 중경, 원경이라는 장소적 특징을 분류하여 해석하였으며, 칠탄정 일원의 각 경관을 은자를 비롯한, 군자, 신선사상, 향토경관, 태평성대 등을 상징화하여 유교적 이상향을 노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