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er powder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3초

초임계유체 추출에 의한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이명희;이경혜;김경탁;김성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9-1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추출과 초임계추출(SFE) 조건에 따른 생강 oleresin(GO) 추출물의 Gram 양성균(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과 Gram 음성균(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살펴보았다. GO 에탄올추출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lear zone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의 항균성은 Gram 양성균이 Gram 음성균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Listeria monocytogenes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생강분말과 에탄올의 추출비율이 1:6인 E-III 처리구가 항균활성이 높았다. GO 에탄올추출물의 항균성은$80^{\circ}C$ 조건에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고, 추출시간 (1시간~7시간)은 처리구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초임계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은 Listeria monocytogenes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초임계추출물에서는 100 bar $35^{\circ}C$, 250 bar $35^{\circ}C$, 250 bar $65^{\circ}C$ 조건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그리고 용매추출물의 경우 추출조건에 따라서 항균활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초임계추출물의 경우 추출압력 100 bar, 500 bar 처리구와 추출온도 $35^{\circ}C$, $65^{\circ}C$ 처리구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시판 instant curry 및 curry 사용원료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Instant Curry Powders and Individual Spices)

  • 정명수;정승현;이진선;빅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5-131
    • /
    • 2003
  • Instant curry 제품 및 원료로 사용되는 향신료의 열수추출물을 사용하여 생리활성을 실험하였다. Linoleic acid에 향신료 추출물을 첨가하여 자동산화를 측정한 결과 ginger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특히, clove 및 fennel의 경우 ${\alpha}-tocopherol$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신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mild pure curry(MPC, p<0.001)와 spicy pure curry(SPC, p<0.01)도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instant curry 제품에서도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Instant curry의 열수추출물이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의 활성억제작용은 없었으나, 원료로 사용되는 red pepper$(52.8{\pm}2.13%)$와 clove$(13.48{\pm}1.00%)$, coriander$(10.32{\pm}1.45%)$의 경우 ACE활성을 저해하였다(p<0.001). 향신료 열수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유방암세포 MCF-7의 증식억제에 black pepper$(29.31{\pm}2.12%)$와 cardamon$(19.41{\pm}3.92%)$이 유의차(p<0.01)있게 세포증식을 억제하였으며, celery seed$(28.20{\pm}5.98%)$도 억제효과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SPC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자궁암세포 HeLa의 경우 clover$(42.92{\pm}5.57%)$는 p<0.01 수준에서, cassia$(26.14{\pm}7.41%)$는 p<0.05 수준에서 유의성있게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냈다. 그러나 MPC 및 coriander, turmeric, SPC, nutmeg, cardamon, red pepper, celery seed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종양세포 A172의 경우 ginger$(34.21{\pm}1.11%)$ 및 cardamon$(31.89{\pm}3.13%)$, black pepper$(31.35{\pm}3.93%)$가 p<0.001 수준에서, 그리고 cumin 및 MPC, SPC, turmeric, celery seed에 의해서도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p<0.05). 그러나 clove 및 fenugreek, cassia에서는 A172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신장암 세포 SN12C에 대해서는 garlic$(82.88{\pm}0.53%)$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p<0.001)를 나타냈으며, ginger 및 cumin, cardamon이 p<0.01 수준에서 증식억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love의 경우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암 세포주 SNU-638의 경우 garlic$(71.63{\pm}0.38%)$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red pepper 및 ginger, fenugreek, SPC, cumin, MPC 등에서도 증식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p<0.001). 그러나 clove 및 nutmeg, turmeric, coriand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폐암 세포 A549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대부분의 원료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나 cassia(82.84 16.92%)가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p<0.001), clove 및 nutmeg, fennel, celery seed, fenugreek, black pepp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신장암 세포 SN12C의 경우 MPC 열수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아질수록 cytotoxicity가 증가하였으며, 폐암 세포주 A549의 경우 농도 증가에 따른 cytotoxicity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란젓갈 및 부재료의 미생물 오염도 및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유통안정성 향상 (Microbiological Quality of Myungran Jeotkal and Its Ingredients and Improvement of Shelf-stability by Gamma Irradiation)

  • 김빛나;장애라;송현파;김윤지;고병호;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06-611
    • /
    • 2008
  • 명란젓갈은 한국 전통 발효 식품중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명란젓갈의 유통기한 연장방안으로 감마선 조사를 적용하여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 실험을 행하였다. 명란젓갈과 고춧가루, 생강, 마늘, 복합시즈닝 믹스 등의 부재료에 각각 0, 0.5, 1.0, 2.0 및 5.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를 하여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며 관찰하였고, 이들의 수분활성도는 각각 0.89, 0.56, 0.98, 0.99 및 0.07 이었다. 명란젓갈의 초기 호기성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6.7, 4.3, 3.6 log CFU/g 이였으며, 2 kGy 의 감마선 조사 직후 호기성 세균은 4 log cycle, 효모 및 곰팡이와 대장균군은 3 log cycle의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다(P<0.05). 5 kGy 감마선 조사시 효모 및 곰팡이와 대장균군은 검출한계($10^1$ CFU/g) 이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부재료 중 고춧가루에서 5 kGy 감마선 조사 후 일반 호기성 미생물의 경우 5 log cycle 정도 감소하였다. 관능적 품질의 경우 감마선 조사 후에도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명란젓갈의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이고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며 유통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배추김치의 표준화 연구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이선미;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4-332
    • /
    • 1998
  •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하여 조리서 및 관련 연구 논문과 김치공장에서의 담금방법과 재료배합비의 표준값을 구하여 표준화김치로 선정하고 뚜렷한 차이가 있었던 고춧가루의 첨가농도는 관능검사 및 이화학적 실험과 항돌연변이 효과와 in vitro 항암 기능성을 검토하여 결정하였다. 배추김치 담금시 사용빈도가 50% 이상인 부재료는 무, 파였으며, 양념류로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 설탕으로 나타났다. 또 재료배합비는 절인배추 100에 대해 무 $13.0{\pm}7.0$, 파 $2.0{\pm}0.5$, 마늘 $1.4{\pm}0.4$, 생강 $0.6{\pm}0.3$, 멸치액젓 $2.2{\pm}1.6$, 설탕 $1.0{\pm}0.3$, 최종염도 $2.7{\pm}0.3$로 결정되었으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차이를 보여 $2.5{\pm}0.3$$3.5{\pm}0.8$로 나타났다. $15^{\circ}C$에서 0, 2, 4, 6, 8, 10일간 김치를 발효시키면서 관능검사및 이화학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발효 기간은 4일이 가장 적당히 익은 상태였다.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고, pH가 서서히 감소되어 보존성도 있었으며, 김치의 맛에 관여하는 젖산균인 Leuconostoc속 젖산균수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선정된 표준화 배추 김치 즙액은 $AFB_1$에 대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고, SRB assay에서는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는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표준화 배추김치의 재료 및 배합비는 배추 100에 대해 고춧가루 3.5, 무 13.0, 파 2.0, 마늘 1.4, 생강 0.6, 멸치 액젓 2.2, 설탕 1.0, 최종염도 2.7로 결정되었다. 배추김치의 담금방법은 배추를 10% 소금물에서 10시간 절이고, 물기를 뺀 후, 무, 파는 채 썰어 고춧가루 갠 것을 넣은 다음, 멸치액젓을 넣고, 마늘, 생강, 설탕을 섞은 후 고루 버무린다.

  • PDF

통배추김치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담그는 방법과 기호에 관한 실태조사- (Studies On Whole Chinese Cabbage Kimchi -An Investigation on the Method of Making Kimchi and a Taste in the Taegu Area-)

  • 김명선;한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making whole Chinese cabbage Kimchi, the family's taste in Kimchi and the reason for disliking the taste of Kimchi in the Taegu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housewives learned the method of making the Kimchi from their mothers. Method was as follows; First, scatter salt on the whole Chinese cabbage and soak that for 3∼6 hours. After, wash the whole Chinese cabbage 3 times. Then, add red pepper powder, garlic, ginger and salted fermented anchovy as basic seasoning. Be sure to, mix the red pepper powder and salted fermented anchovy until they taste hot and salty. Store the whole Chinese cabbage until they ferment. Afterwards store the whole Chinese cabbage in the refrigerator. 2) It was the whole Chinese cabbage Kimchi that most family members preferred. 3) Among the family members, the old age group preferred newly made Kimchi because of the cool and fresh taste. The adult group preferred fresh taste, also smell and peculiar taste of the seasoning were important. The adolescent group preferred fresh taste and sour taste. 4) It shows that most of the family likes Kimchi, and among the family members, about 25% of the sons and daughters dislike Kimchi. And it shows that all family members dislike salty taste. 5) The older housewives’ Kimchi was preferred over the younger housewives’ Kimchi.

  • PDF

김치 발효중 대장균군의 소장과 억제에 관한 연구 (Presence and Control of Coliform Bacteria in Kimchi)

  • 정장호;김연순;유양자;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99-1005
    • /
    • 1997
  • 김치 발효중 대장균군의 잔존 현상을 확인하였고 대장균군을 가식 기간에서도 조기에 사멸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동시에 nisin의 김치 발효에서의 역할을 평가하였다. 대장균(E. coli B34)을 김치 제조시 $10^6\;CFU/g$이 되도록 접종하였을 때 pH, 산도의 변화, 총균수, 총젖산균수, Leuconostoc속 젖산균의 수 등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AITC 그 자체나 AITC를 생성하게 하는 고추냉이, 그리고 김치제조시 정상적으로 첨가하는 마늘이 대장균군에 대한 조기사멸효과가 있었는데, 마늘은 2.0% 이상, AITC는 50ppm이상, 고추냉이가루 0.4%이상에서 대장균군의 사멸효과가 좋게 나타났으나, nisin의 경우는 $100{\sim}2000\;I.U./g$에서 대장균군이 대조구보다 더 오랫동안 잔존하였으며 김치의 저장성 연장효과는 미미하였다. MMTSOO나 겨자가루는 대장균군 조기사멸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치 재료로 쓰이는 원료중에서 절인 배추에는 $10^4$, 깐마늘에는 $10^2{\sim}10^5$, 고춧가루에는 $10^4{\sim}10^5$, 생강에는 $10^7$, 그리고 파에는 $10^3{\sim}10^5\;CFU/g$의 대장균군이 존재하였다. 통마늘과 공장생산 고춧가루에는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양하분말을 이용한 녹두묵 제조 및 품질 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kdumook using Yangha(Zingiber mioga R.) Powder)

  • 김현순;김민정;이명숙;이건순;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21-528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therapeutic diet against aging and obesity, using Yangha(Zingiber mioga R.). Befor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diet, we performed cell viability assay,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 macrominerals and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Yangha. Based on the findings from analyzing the results, mook using Yangha powder(0~20%) was processed, and test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values,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result of cell viability assay of myoga, using liver cells, revealed that within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500 ${\mu}g/m{\ell}$ to 10,000 ${\mu}g/m{\ell}$, cell survivability increased in line with the concentration rate. Therefore, it will not be harmful to consume it as food. Regarding the normal substance of myoga, the water substance of myoga was 94%, which exceeds that of ginger and tumeric with 89% and 83%, respectively. As for crude protein, fat, carbon hydrates and ash, myoga contained less than the other two, which I think is due to the high water substance. Regarding the minerals, potassium had the highest contents among macrominerals of 234.74 mg%. As for the antioxidant test,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hown. As for the production of Yangha mook(Yangha powder levels were 0~20%) for quality characteristics, the more of the powder, the less the L, but the greater the a and b values. Also, for the material property, an increased amount of the powder, resulted in chewiness and springiness, but less gumminess in a correlated manne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 relation to the powder. For the sensory test, jelly type ZM5 with 5% powder showed highest overal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ensory test, based on the powder substance, the jelly with 5% powder showed the highest overall score, including preference.

라면 건조 수프 재료의 방사선 조사 검지를 위한 Thermoluminescence 활용 (Detection of Post-Irradiation of Dry Soup Base Ingredients in Instant Noodle by Thermoluminescence Technique)

  • 황금택;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59-766
    • /
    • 1998
  • 방사선 조사 또는 비조사한 라면 건조 수프 재료 및 배합 수프에서 무기물을 분리하여 이 무기물의 TL을 측정하여 TL을 라면 건조 수프 재료의 방사선 조사 여부 검지에 활용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라면 건조 수프 재료 또는 배합 수프를 방사선 조사하여 sodium polytungstate 용액을 사용하여 무기물을 분리하여 TL signal ((1st glow TL 강도)/(48.6 Gy에서 재조사한 2nd glow TL 강도))을 측정하였다. $229{\sim}295^{\circ}C$$262{\sim}295^{\circ}C$ 구간에서 측정한 TL signal이 조사 시료와 비조사 시료간의 차이가 다른 구간에 비하여 컸다. 상기온도 구간에서 비조사 마늘분말, 생강분말, 후춧가루, 양파분말, 고춧가루, 참깨의 TL signal의 평균은 0.2 이하인 반면, 10 kGy 조사한 양파분말, 고춧가루, 참깨의 경우는 20 이상이었다. 10 kGy 조사한 양파분말, 고춧가루, 참깨를 배합 수프에 각각 또는 같이 혼합하였을 때 비조사 배합 수프의 경우 상기 온도 구간에서의 TL signal 평균이 각각 0.08 및 0.1이었으나 조사재료를 혼합한 경우 7이 넘었다. 배합 수프를 1, 5, 10 kGy 방사선 조사한 TL signal 평균은 상기온도 구간에서 10 이상이었다.

  • PDF

배추김치의 숙성중 부재료와 젖산균에 따른 Carotene 의 함량변화 (Changes in Carotene Content of Chinese Cabbage Kimchi Containing Various Submaterials and Lactic Acid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 장경숙;김미정;오영애;강명수;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2
    • /
    • 1991
  • the Chinese cabbage kimchi was fermented with the various submaterials such as hot pep-per garlic ginger leek green onion fermented anchovy juice and sugar according to the average contents of each submaterial described in the 39 kinds of references. And then the effects of each submaterial and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 brevis. Leu. mesenteroides. P cerevisiae and L. plantarum on the content of carotenes were investigated, The major carotene in kimchi was $\beta$-carotene. And also $\delta$-carotene and $\alpha$-carotene were detected. Contents of $\beta$-carotene and total carotene were high in the kimchi containing leek red pepper powder green onion and fermented anchovy juice as a submaterial. But the kimchi containing or omitting the other submaterials were litter affected to the contents of carotene. Contents of $\beta$-carotene and total carotene were high in kimchi fermented with Leu. msenteroides L. brevis and P. cerevi-siae as a starter but was low with L plasntarum.

  • PDF

조선시대(朝鮮時代) 궁중연회음식중(宮中宴會飮食中) 과정류의 분석적(分析的) 연구(硏究) (An Analysis of Korean Dessert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 이효지;윤서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97-209
    • /
    • 198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Korean food culture by analizing in sets of Jinyounigue (進宴儀軌), Jinchanuigue (進饌儀軌), and Jinjarkuigue (進酌儀軌) which were the records of royal party procedures in Yi-Dynasity. Korean desserts were 141 kinds and could be classified into 8 groups such as Yoomilkwa(油蜜菓)16, Gangjung(强精) 51, Dasikl(茶食) 13, Jungkwa(正菓) 22, Suksilkwa(熟實菓) 7, Byung(餠) 8, Dang(糖) 28, Junyak(煎藥) 1. Food materials were fruits, fruit vegetables, roots, cereals, wine, pepper, cinnamon, ginger powder, pine spike, maximowiczia chinensis, fruit of buckthorn, cape jasmine, japanese touchwood, green bean, sesame oil, honey, salt, sesame, rouge and so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