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er extract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58초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Volatile Oil Content of Cassumunar Ginger (Zingiber montanum Roxb.) at Various Rhizome Ages

  • Manochai, Benya;Paisooksantivatana, Yingyong;Kim, Myo-Jeong;Hong, Jeo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290-293
    • /
    • 2007
  • Cassumunar ginger (Zingiber montanum Roxb.) was grown in the experimental field at the Department of Horticulture, Kasetsart University, Thailan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volatile oil content of rhizomes of varying age were measured. Antioxidant activity as determined using the DPPH (diphenyl-2-picrylhydrazyl) method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samples of different ages. Antioxidant activity and rhizome ag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22-month old rhizomes showing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9.19%). Volatile oil was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of fresh rhizomes. The extraction yield of volatile oil was highest in l6-month old rhizomes (13.02 mL/kg). GC-FID data indicated the presence of three major compounds, sabinene, terpinen-4-ol and (E)-1-(3',4'-dimethylphenyl) butadiene (DMPBD), however none of the major components were correlated with the age of rhizome.

Crude gingerol의 추출과 항산화효과 (Crude gingerol extraction and its antioxidant effect)

  • 홍정희;이태경;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43-146
    • /
    • 1990
  • 생강을 ether와 hexane으로 추출하여 황색 유상의 crude gingerol extract를 얻었다. 이것을 TLC 분석한 결과 주성분이 gingerol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crude gingerol extract가 항산화작용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Crude gingerol의 항산화환성은 citric acid 0.04% 첨가시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효과는 BHT, crude gingero1+0.04% citric acid, crude gingerol, BHA, tocopherol순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뇌신경소교세포(腦神經小膠細胞)에서 생강 헥산 분획물의 염증매개물질 생성(生成) 억제효과(抑制效果) (Hexane Fraction of Zingiberis Rhizoma Crudus Extract Inhibit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 정환용;주예진;정혜미;신우진;서운교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29
    • /
    • 2009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focused on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rhizome hexane fraction extract of Zingiberis Rhizoma Crudus (ginger hexan extract; GHE) o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PGE_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BV2 cells, a mouse microglial cell line. Methods: We separated the hexane fraction from Zingiberis Rhizoma Crudus's methanol extract. The inhibitor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GHE was examined on microglial activation. Results: GH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cessive production of NO, $PGE_2$, TNF-${\alpha}$, and IL-1${\beta}$ in LPS-stimulated BV2 cells. In addition, GHE attenuated the mRNA expressions and protein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Conclusion: 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GHE may make it useful as a therapeutic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human neurodegenerative diseases.

  • PDF

김치 부재료가 젖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imchi Minor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이진희;조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11-520
    • /
    • 1995
  • 파, 마늘, 생강, 적생고추, 고추가루의 멸균 추출액의 농도가 2%와 4%가 되도록 첨가한 배지에서 김치의 주된 젖산균들인 Leu. mesenteroides와 Lac. plantarum의 생육을 조사하였는데, 모든 부재료가 Lac. plantarum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마늘은 이 균에의 저해효과가 가장 컸으며, 생강이 Leu. mesenteroides의 생육에 증진 효과를 보였고, 마늘이 역시 Leu. mesonteroides의 생육에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마늘, 생강 및 고추가루의 연속분획추출 후 멸균액을 배지에 첨가해 역시 두균의 생육정도를 조사하였을 때 마늘의 부탄을 분획물이 두균의 생육에 저해효과를 보여 그 효과물질은 alkaloid나 flavonoid일 것으로, 또 생강과 고추가루의 물 분획물이 Leu. mesenteroides의 생육 촉진 효과를 나타낸 바 그 효과물질은 당류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생강 추출물의 어유에 대한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Ginger Extracts on Fish Oil)

  • 변한석;윤호동;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7-332
    • /
    • 1986
  • 천연항산화제의 유효이용을 위하여, 생강으로부터 추출한 산항화성물질을 정어리유에 첨가하여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 산가, TBA가, 중량변화 및 지방산조성 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여 그 항산화성을 검토하였다. 1. 저장중 과산화물가의 변화에 있어서, 생강의 $80\%$ ethanol 추출구와 지용구는 10일 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수용구는 25일 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2. 저장중 TBA가의 변화는 수용구가 10일 째까지 완만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한 반면 $80\%$ ethanol 추출구와 지용구는 초기부터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3. 저장중 산가의 변화에 있어서 대조구는 10일째부터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수용구는 30일 째까지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4. 저장중 중량변화에 있어서 대조구는 15일 째까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80\%$ ethanol 추출구는 20일 째 약 $3.5\%$, 지용구는 $1.7\%$, 증가한 반면 수용구는 약 $0.5\%$ 증가하였다. 5. 저장중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저장초기에 포화산은 약 $41.4\%$ 이었으며 $C_{14:0}$가 약 $9\%$, $C_{16:0}$$28.9\%$로서 포화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였고, monoene산은 $19.0\%$로서 $C_{16:1}$이 약 $9\%$, $C_{18:1}$$8.6\%$로서 monoene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polyene산은 약 $32.1\%$로서, $C_{20:4},\;C_{20:5},\;C_{20:6}$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생강의 각 추출구를 첨가한 후 저장 40일 째의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대조구에 있어서 포화산이 약$62.2\%$이고 monoene산은 $29.0\%$, polyene산은 약$5.6\%$인데, polyene산의 경우 저장초기에 비하여 약$26.5\%$ 감소하였는데 $C_{20:4},\;C_{20:5},\;C_{22:6}$이 주감소요인으로 작용하였다. $80\%$ ethanol 추출구. 지용구 및 수용구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polyene산의 감소비율이 작았는데 특히 $C_{22:6}$의 경우 수용구의 감소비율이 가장 적었고 다음으로 지용구 $80\%$ ethanol 추출구의 순이었다.

  • PDF

대나무 알코올추출액을 첨가한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Added with Bamboo Ethanol Extract)

  • 정기태;류정;주인옥;노재종;김정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81-286
    • /
    • 2014
  • 본 연구는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갖는 대나무추출액을 첨가한 약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나무 알코올추출액을 사용하였으며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강과 배를 첨가하여 약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등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대나무 알코올추출액 첨가한 약주의 pH는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으나 총산과 당도는 높았다. 알코올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대나무 알코올추출액을 첨가한 약주가 약간 높았다. 색도인 L값은 대나무 알코올추출액을 첨가한 약주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b값과 갈변도는 높았다. 약주의 성분 중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유리당은 sorbitol, glucose 및 fructose가 검출되었고 glucose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구가 약간 높았다. 항산화 활성은 대나무 알코올추출액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가 5.8%로 가장 낮았으나 대나무 알코올추출액을 첨가한 약주에서는 23.8~31.0%로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와 3.0에서는 모든 처리가 97.5% 이상의 활성을 보인 반면 pH 6.0에서는 대나무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한 약주에서 15.2~36.4%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대나무 알코올추출액+생강, 대나무 알코올추출액+생강+배 첨가 약주가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Effect of Ginger Extract and Citric Acid on the Tenderness of Duck Breast Muscles

  • He, Fu-Yi;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Kim, Yong-Jae;Ham, Youn-Kyung;Kim, Si-Young;Yeo, In-Jun;Jung, Tae-Ju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21-730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inger extract (GE) combined with citric acid on the tenderness of duck breast muscles. Total six marinades were prepared with the combination of citric acid (0 and 0.3 M citric acid) and GE (0, 15, and 30%). Each marinade was sprayed on the surface of duck breasts (15 mL/100 g), and the samples were marinated for 72 h at 4℃. The pH and proteolytic activity of marinades were determined. After 72 h of marination, Warner Bratzler shear force (WBSF),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MFI), pH, cooking loss, moisture content,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d protein solubility were evalu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moisture content or cooking loss among all samples. However, GE marina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p<0.05) decrease in WBSF but a significant (p<0.05) increase in pH and MFI. In addition, total protein and myofibrillar protein solubility of GE-marinated duck breast muscles in both WOC (without citric acid) and WC (with citric acid)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compared to non-GE-marinated duck breast muscles. SDS-PAGE showed an increase of protein degradation (MHC and actin) in WC condition compared to WOC condition. There was a marked actin reduction in GE-treated samples in WC. The tenderization effect of GE combined with citric acid may be attributed to various mechanisms such as increased MFI and myofibrillar protein solubility.

산수유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찜류용 기능성 간장소스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based stew sauc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 김준호;오혜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0-558
    • /
    • 2006
  • We developed a kind of soy-based sauce for stews using three recipes and sensory evaluation processes, and examined th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e, fibrinolytic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in order to use as functional ingredient. The developed stew was composed of soy sauce $1\frac{1}{2}$ Tbsp, sugar $1\frac{1}{4}$ Tbsp, garlic, small green onion, powdered sesame and sesame seed oil $\frac{1}{2}$ tsp, respectively, ginger extract $\frac{1}{4}$ tsp, black pepper $\frac{1}{8}$ and water $\frac{2}{3}$C per 300 g of main ingredients(pork rib, chicken and dried pollack). It was evaluated more highly acceptable than the original recipes by sensory test. Replacement of water in the recipe of the developed stew sauce with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did' nt affect the sensory quality.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might be a excellent source to provide health functionality.

카레분 및 향신료 추출물의 항 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Extracts of Curry Powder and Its Individual Spice)

  • 정승현;정명수;이진선;박기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2-357
    • /
    • 2002
  • 카레분 및 카레 원료로 사용되는 주요 향신료들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하여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을 하였다. 카레분 및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해 돌연변이원성 유무를 확인한 결과 돌연변이 원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 직접 변이원 2-NF 처리 시Saimonella typhimurium TA 98에 대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cinnamon(42%) 및 fenugreek(38%), fennel(32%), ginger(28%), clove(24%)는 p<0.00I 유의수준에서, 그리고 turmeric (23%) 및 celery seed(20%), coriander(16%)는 p<0.01 수준에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garlic(17%)이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밖의 향신료 및 카레분 추출물은 항 돌연변이 효과가 없었다. 간접변이원 2-AT처리 시 돌연변이 수는 115.0$\pm$46.4에서 clove추출물 첨가에 의해 13.2$\pm$8.1로 감소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 clove가 116%로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elery seed(103%) 및 cardamon(100%)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p<0.01). 그밖에 red pepper, cinnamon, cumin, ginger, fennel, coriander, nutmeg, turmeric에서도 항 돌연변이 활성이 존재하였다(p<0.05). 간접변이원 2-AF에서는 clove추출물이 120%의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innamon(113%)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다(p<0.001). 그리고 cardamon(93%) 및 celery seed (80%), ginger(58%), fennel(44%) 역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보였다(p<0.05). 그밖에 coriander, black pepper는 항 돌연변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카레분 추출물의 경우, 간접변이원인 2-AT와 2-AF에서 6~23%의 항 돌연변이 율을 나타냈으나 유의성이 없었으며 직접변이원인 2-NF 에서는 항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동일한 추출물이라도 변이원에 따라 항 돌연변이율이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의 추출물에서 항 돌연변이율은 직접변이원보다는 간접변이원에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