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bberellin $A_{4}$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3초

Cyclic-AMP와 탄닌이 지베레린으로 유도되는 Amylase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II. Amylase (Effects of Cyclic-AMP and Tannin on the Amylase Biosynthesis Induced by Gibberellin in Aleurone Layer II. Amylase)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1권1_4호
    • /
    • pp.21-27
    • /
    • 1978
  • The effect of tannic acid on GAs and cyclic-AMP promoted amylase induction in barley aleurone layers was examined. Of a variety of adenine compounds, only cyclic-AMP and ADP showed significant activity, and these activities were promoted by addition of theophylline to the incubation medium. When aleurone layers of barley endosperm tissues were incubated with GAs in the presence of tannic acid, the amylase activity in the incubation medium was reduced. Cyclic-AMP induced amylase activity was also reduced by additiion of tannic acid. The cyclic-AMP response promoted was more sensitive to tannin inhibition than GAs response. The inhibitory effect of tannic acid shwoed reversibility by addition of higher concentration of GAs or cyclic-AMP. The tannic acid effect on GAs response was also recovered by addition of a higher concentration of cyclic-AMP. Experiment with polyacrylamide disc electrophoresis showed different isozyme patterns according to the additions in the incubation medium. Inhibitory effects of decursinol and coumarin was compared with that of tannic acid. They showed different zymogram patterns.

  • PDF

과실의 감압저장법에 관한 연구( I ) -감압저장과 타 저장과의 비교(축)- (Studies on The Reduced Pressure Storage of Fruits( I ) -Comparision of The Reduced Pressure Storage to The Other Storages for The American Summer Pairman-)

  • 김광수;박용태;홍순영;손태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67-76
    • /
    • 1969
  • 1968년 7월 30 일에 채취한 축을 시료로하여 12월 3일 까지 저장시험을 한 결과는 1. 현재까지 가장 저장효과가 양호하다고 알려져 있는 CA저장법보다 강압저장법이 우수하였다. 2. 감압도에 있어서는 저감압이 고감압보다 저장효과가 좋으며 본 실험에서 실시한 70cmHg, 60cmHg, 40cmHg 및 20cmHg중에서 20cmHg가 가장 저장효과가 양호하였다. 3. 사과의 표면처리에 따른 효과는 1)저장중의 중량감소를 방지하는데는 Poly-ethylene film포장이 가장 효과적이나 장기저장에 있어서는 과실의 생리장해로 인하여 폐과량이 증가 하였다. 2) Poly-vinyl acetate coating은 과실 원래의 색택유지는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특이한 냄새가 생겨서 미각적으로 품위를 저하시켰다. 3) Gibberellin 처리시의 저장효과는 축에서는 전연 없었다. 4. 주요성분의 변화는 1) 전당 및 환원당은 각 저장구에 따라 다소의 차는 있으나 저장 초기에는 증가하고 저장이 계속 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냉장 20cmHg 감압구(No. 11)에서 증가 및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2) 산 및 Vitamin C는 각 저장구 및 처리별에 따라 감소율에 차이는 있으나 저장기간 중 계속 감소하였으며 냉장 20cmHg 감압구(No. 11)에서 그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 PDF

뽕나무 버섯 균사체의 생리.생태학적 연구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Mycelia of Armillariella mellea)

  • 최미자;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9-84
    • /
    • 1983
  • Armillariella mellea의 2차균사를 potato dextrose medium, yeast extract medium, malt extract medium Hamada medium, 등에 배양해서 생리 생태적 성질을 연구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사용했던 4종의 배치 중에서 malt extract medium에서 가장 잘 자랐고, 그 다음 yeast extract medium, potato dextrose medium 그리고 Hamada medium 순으로 생육율이 높였다. 2. $27^{\circ}C$에서 가장 잘 자랐고, $36^{\circ}C$에서는 집락의 지름이 $27^{\circ}C$와 비슷하나 균사의 밀도가 매우 낮았다. 3. pH6에서 가장 높은 생육율을 나타내었다. 4. 식물 생장 호르몬을 첨가한 경우에는 Heteroauxin의 5ppm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26.2% 증가로 가장 많은 생육 증량을 보이고, 다음으로 gibberellin 100ppm, Tomatoton 10,000배액, 그리고 Adoton 5,000배액의 순서였다. 식물 생장 호르몬을 적당 농도로 사용하면 생장 증량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과량 사용할 경우, 오히려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5. Vitamin 첨가경우에 있어 200ppm 농도의 균일한 조건하(下)에서 Vit.A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18.2%의 가장 많은 생육 증량을 보였고, $Vit{\cdot}D_2\;Vit{\cdot}E,\;Vit{\cdot}B_1\;folic\;accid\;Vit{\cdot}C$ 그리고 $Vit{\cdot}B_2$의 순으로 그 증가가 나타나 지용성 비타민 첨가 배지에서 상당한 생육율을 나타내었다.

  • PDF

저온습윤 및 지베렐린 처리가 눈잣나무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t Cold and Gibberellin Treatments on Germination of Dwarf Stone Pine Seeds)

  • 임효인;김길남;장경환;박완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3-258
    • /
    • 2015
  • 눈잣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산림청 지정 멸종위기종으로 구분되어 있다. 눈잣나무는 설악산 대청봉 지역(해발고 1550–1700 m)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대부분의 구과가 조류와 설치류의 피해를 받기 때문에 종자를 확보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눈잣나무의 현지외보존림 조성을 위하여 습사, 예냉 및 GA3 처리가 눈잣나무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눈잣나무 종자에 대해 습사 및 예냉처리를 각각 1, 2, 3, 4, 5개월 처리하고 GA3는 0, 100, 500, 1,000, 2,000, 3,000 ㎎/L 농도로 처리한 뒤 페트리디쉬에 치상하였으며 25℃의 광조건에서 실험하였다. 종자 발아율,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를 조사한 결과, 습사와 예냉처리는 모두 종자 발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저온처리의 방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각각의 처리에서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종자 발아가 향상되었으나, 3개월 이상의 처리에서는 종자 발아의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GA3 처리에서도 눈잣나무의 종자 발아가 효과적으로 향상되었는데, 100 ㎎/L 처리 조건에서 발아율이 79.0%로 나타났다. 그러나 GA3 고농도 처리조건(2000 ㎎/L 이상)에서는 오히려 종자 발아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3개월 이상의 습사처리와 GA3 100 ㎎/L 처리가 눈잣나무의 종자의 발아향상에 적절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a Plastid DNA-Based Maker for the Identification of Five Medicago Plants in South Korea

  • Kim, Il Ryong;Yoon, A-Mi;Lim, Hye Song;Lee, Sunghyeon;Lee, Jung Ro;Choi, Wonkyu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3권4호
    • /
    • pp.212-220
    • /
    • 2022
  • DNA markers have been studied and used intensively to identify plant species based on molecular approaches. The genus Medicago belongs to the family Fabaceae and contains 87 species distributed from the Mediterranean to central Asia. Five species of Medicago are known to be distributed in South Korea; however,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lone cannot distinguish the spec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using collected five species of Medicago from South Korea and 44 taxa nucleotide information from NCBI. The constructed phylogenetic tree using gibberellin 3-oxidase 1 and tRNALys (UUU) to maturase K gene sequences showed the monophyly of the genus Medicago, with five species each forming a single cla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five species of Medicago distributed in South Korea. In addition, we design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s for species-specific detection of Medicago by comparing the plastid sequences. The accuracy of the designed primer pairs was confirmed for each Medicago spec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fficient and novel species identification methods for Medicago, which will assist in the identification of wild plants for the management of alien species and living modified organisms.

인공수분(人工受粉) 및 Promalin 처리에 의한 사과 '후지' 품종(品種)의 과형(果形) 개선(改善) (Applications of Artificial Pollination, Spraying Gibberellin A4+7 Plus Benzyladenine for Production of Uniform Fruits in 'Fuji' Apples)

  • 박정실;홍재성;최인명;김정배;전성호;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1호
    • /
    • pp.27-29
    • /
    • 1998
  • 인공수분 및 promalin 처리가 사과 후지품종의 정형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년생의 후지/M26/실생을 공시하여 과실비대 효과 빛 과형분포 정도를 조사한 결과, 인공수분+promalin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종경, 과중, L/D비가 높았으며, 정형과 비율은 78.6%로서 무처리에 비해 약 30% 정도 높은 상품과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원형 과실의 특정인 apex 생장량이 높아 과중과 과실 외관이 우수하였다. 인공수분+promalin 처리구의 종자수 및 종자중에 있어서는 무처리에 비해 각각 1.5개, 0.14g 정도 높아 과실비대가 좋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promalin 단용처리의 경우, 단위결과에 의한 배주의 퇴화 및 장타원형의 비정형과실이 일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인공수분 또는 방화곤충 활용을 적극적으로 수행한 후 promalin을 살포하는 것이 기형과실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라 판단된다. Promalin 처리에 따른 과실 품질 및 숙기 정도에는 영향이 없었다.

  • PDF

Stevia rebaudiana Bertoni의 Steviol 생합성 효소 ent-Kaurenoic Acid 13-Hydroxyl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ent-Kaurenoic Acid 13-Hydroxylase in Steviol Biosynthesis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 ;김근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01-507
    • /
    • 1997
  • 파라과이 원산의 국화과 식물 Stevia rebaudiana Bertoni는 steviol (ent-13-hydroxy kaur-16-en-19-oic acid)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stevia 감미료를 건물 중량의 5-10%를 생합성하여 축적을 한다. 감미성분은 Gibberellin 생합성의 전구체로 알려진 ent-kaurenoic acid (ent-kaur-16-en-19-oic acid; ent-KA)의 7번과 13번의 어느 탄소에 hydroxylation을 시키느냐에 따라 gibberellin 대사와 steviol 대사로 나뉘어진다. ent-KA 13-hydroxylase를 stevia 엽록체의 stroma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Stroma 분획 단백질 $100\;{\mu}g$으로 효소 반응의 cofactor 요구성을 조사해 본 결과, 반응 혼합액에 NADPH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는 85%의 효소활성의 감소를 보였고, NADPH 대신 NADH를 첨가해도 34%의 감소를 보였다. anaerobic 조건에서는 2.1%의 활성을 뛰었다. 이 결과로 ent-KA 13-hydroxylase는 NADPH와 $O_2$ 요구성임을 밝혔다. FAD, FMN, riboflavin을 첨가함으로써 FAD는 1.5배, riboflavin은 1.7배의 효소활성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효소의 기질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t-cinnamic acid, 4-hydroxyphenyl acetic acid, choline과 resorcinol에는 전혀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4)C]-methyl-KA$를 ent-KA 대신에 기질로 사용했을 때는 16.7% 의 활성이 검출되어 ent-KA 13-hydroxylase는 기질특이성이 높은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모수포 관리 및 지베렐린 처리가 국화 '신마'의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ck Plant Management and Foliar Spray of GA on the Flower Quality in Hydroponically Grown Chrysanthemum cv. 'Shinma')

  • 황인택;조경철;김희곤;기광연;윤봉기;김정근;한태호;이정현;유용권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256-260
    • /
    • 2010
  • 본 연구는 직삽 양액재배에 의한 '신마'품종의 절화품질 향상시키고자 양액 pH조정 비료종류와 모수포 관리 및 지베렐린처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모수포 관리에 따른 절화장은 무처리(관행) 103 cm에 비해 모수포관리(온도,일장) 처리가 114 cm로 가장 컸고, 꽃잎수도 무처리(관행) 259개/송이에 비해 모수포관리(온도, 일장) 처리가 298개로 가장 많았고, 절화중은 모수포관리(온도,일장) 처리가 102g/본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엽록소(SPAD-value)는 영양관리(몰비아 500배)처리가 5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베렐린처리 농도와 살포시기에 따른 절화장은 무처리(관행) 103 cm에 비해 지베렐린 1,000배 개화 60일전 처리가 121 cm로 가장 컸고, 꽃잎수도 무처리(관행) 259개/송이에 비해 지베렐린 500배로 개화60일전 처리가 308개로 가장 많았고, 절화중은 2,000배 개화60일전 처리가 110.7 g/본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하지만 꽃목길이는 관행(무처리) 3.5 cm에 비해 500배 개화45일전 처리 10.4 cm와 1,000배 개화45일전 처리가 9.7 cm로 도장하는 경향이었다.

Cyclic-AMP와 탄닌이 지베레린으로 유도되는 Amylase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I. Acid Phosphatase (Effects of Cyclic-AMP and Tannin on the Amylase Biosynthesis Induced by Gibberellin in Aleurone Layer I. Acid Phosphatase)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1권1_4호
    • /
    • pp.13-21
    • /
    • 1978
  • The effect of cyclic-AMP on the induction of acid phosphatase activity in barley aleurone layers was examined. Tannic acid was used as a inhibitor. Decursinol and coumarin were also used as a comparison. Maxiumu promotion of the enzyme activity was obtained with 10-5M cyclic-AMP, but this promotion was lower than that of 10-5M GAS induced enzyme activity in incubation medium. The inhibition rate in the addition of tannic acid was shown 17% and 63% at a ratio to GAs (by weight) of 10 : 1, and 58% and 94% at a ratio of 100 : 1 treated with GAs, and cyclic-AMP, respectively. The most potentiation of 10-6M GAS effect was induced by the additiion of suboptimal concentration (10-6M) of cyclic-AMP. Additional GAs and cyclic-AMP were shown the recovery of the enzyme activity inhibited by tannic acid. The combination with cyclic-AMP and theophylline enhanced the enzyme activity, too. Any other nucleotides tested except cyclic-AMP didn't show the a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id phosphatase isozyme patterns by polyacrylamide disc electrophoresis, in conjunction with the different additions but the size of bands showed great differences. Especially, the 3rd band and the 5th band group were remarkable.

  • PDF

Gibberellins enhance plant growth and ginsenoside content in Panax ginseng

  • Hong, Chang Pyo;Jang, Gwi Yeong;Ryu, Hoji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186-192
    • /
    • 2021
  • The roo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have a long history of usage as a medicinal drug. Ginsenosides, a group of triterpenioid saponins in ginseng, have been reported to show important pharmacological effects.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 ginsenoside synthesis pathways of P. ginseng and to increase crop productivity.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exogenous gibberellin (GA) treatments promote storage root secondary growth by integration of the modulating cambium stem cell homeostasis with a secondary cell wall-related gene network. However, the dynamic regulation of ginsenoside synthesis-related genes and their contents by external signaling cues has been rarely evaluated.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GA treatment not only enhanced the secondary growth of P. ginseng storage roots, but also significantly enriched the terpenoid biosynthesis process in RNA-seq analysis. Consistently, we also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most genes involved in the ginsenoside synthesis pathways, including those encoding methylerythritol-4-phosphate (MEP) and mevalonate (MVA), and the saponin content in both leaves and roots was increased by exogenous GA applica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futur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for ginseng breeding and enhancement of saponin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