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ing seed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땅콩 발아기의 내습성 검정 방법 (Screening Method for Excessive Water Tolerance at Germinating Stage of Peanut)

  • 배석복;황정동;이명희;김성업;오기원;이병규;백인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39-442
    • /
    • 2013
  • 본 연구는 땅콩 파종후 발아기의 내습성 기초자료를 얻고자 파종일수와 침수처리에 따른 출현율을 조사하고 적정 내습성 검정방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품종별 내습성 차이를 구명해보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종자의 흡수율 50%에 도달한 것은 공히 5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24시간 후에는 조광 66.6%, 대광 65.1%, 팔광 67.1%에 도달하여 품종간 큰 차가 없었다. 땅콩종자를 vermiculite 풋트에 파종한 후 바로 침수시켰을 때 대광땅콩과 팔광땅콩은 공히 침수 16일까지도 90% 정도의 출현율을 유지하였고 그 후로는 급속히 감소하여 침수 25일에는 출현율이 거의 없었다. 파종 후 발아일자 1~4일에 각각 침수일자 1~5일간 침수처리를 하였을 때 발아일수가 길어질수록, 침수일자가 길어질 수록 땅콩의 출현율이 급속히 떨어졌다. 대광땅콩은 파종 1~3일 후 2일 침수처리까지, 팔광땅콩은 파종 1~2일 후 2일 침수처리까지 정상 출현하였으며 두 품종 공히 3일 이상 침수에서는 모든 발아일수(1~4일)에서 출현율이 급속히 떨어지고 있었다. 파종 2일 후 3일간 침수처리 방법에 따라 국내육성 31품종에 대해 침수 시 내습저항성을 검정한 하였을 때 출현율은 0에서 69%까지 분포하였고 대광땅콩 가장 높았다.

녹화와 식생조성을 위한 샐비어와 금잔화 종자의 펠렛처리 (Seed Pelletizing of Salvia splendens and Calendula officinalis for the Greening and Re-vegetating)

  • 김승현;이병룡;최병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67-7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lletize to calendula and salvia seeds with peat moss as basic material for the efficient greening and vegetating of slopes and damaged areas. Also the pelletizing was compressed by spherical types that mixed basic fertilizer of N.;300 mg/l, P.;200 mg/l, K.;400 mg/g and plant growth regulator of A and NAA each 300PPM. Soil and soil surface seeding methods were researched to find the growing state of germination percent, germination date, germination force, length of leaf, number of leaf, width of leaf, length of plant, and etc. Comparing with controlled pelletizing, peat moss and +GA pelletizing treatments resulted in higher from two to three times as following growing states : length of leaves, number of leaves, width of leaves, length of plants, length of roots, fresh weights, and ratio of germination. Especially the two treatments above showed four more times effects than the +NNA treatment. Also their germinating date germinating force were earlier and stronger. The surface seeding method was superior to soil seeding.

옥수수의 발아과정중(發芽過程中) AMYLASE활성(活性) (A Study on Amylase Activities During Germination of Maize Seeds)

  • 최국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2호
    • /
    • pp.107-111
    • /
    • 1984
  • Corn malt제조(製造)의 기초연구(基礎硏究)의 일환(一環)으로 발아(發芽) 과정중(過程中) 옥수수의 외관형태(外觀形態) 및 건조(乾燥) 중량(重量)의 변화(變化), 전분(澱粉) 및 가용성당(可溶性糖)의 변화(變化), ${\alpha}$- 및 ${\beta}$-amylase의 경시(經時) 활성변화(活性變化)를 보리와 비교(比較)하면서 조사(調査)하였다. 발아(發芽) 과정중(過程中) 배유부(胚乳部)의 전분(澱粉) 분해(分解)는 보리에 비(比)하여 옥수수가 $2{\sim}4$일(日) 늦게 진행(進行)되었으며 분해속도(分解速度)는 약(約) $20{\sim}30%$ 낮았다. 발아종자(發芽種子)에 존재(存在)하는 가용성당(可溶性糖)은 발아(發芽) 초기(初期)에 일시적(一時的)으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Jelly pandam이외(以外)의 나머지 시료(試料)는 전분(澱粉)의 분해(分解)가 시작(始作)되면서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하였다. ${\alpha}$- 및 ${\beta}$-amylase활성(活性)은 발아경과(發芽經過)에 따라 증가(增加)하여 발아(發芽) 8일후(日後)에 최대(最大)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Jelly pandam은 낮은 amylase활성(活性)을 나타내었으나 보리와 황옥(黃玉)옥수수는 거의 비슷한 활성(活性)을 나타냈으며 ${\beta}$-amylase활성(活性)은 황옥(黃玉)이, ${\alpha}$-amylase활성(活性)은 보리가 각각 높았다.

  • PDF

자연 실온 및 변온 환경에서 광엽 및 세엽 훼스큐 9종류의 종자 발아력, 발아세 및 발아 피크 기간 분석 (Analysis of Seed Germinating Vigor, Germination Speed and Peak Time in 9 Fescues under Alternative and Natural Conditions at the Room Temperature)

  • 김경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235-248
    • /
    • 2017
  • 본 연구는 $5-25^{\circ}C$ 조건의 자연실온에서 훼스큐 초종 간 발아력, 발아세 및 발아 피크 기간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자연 실온 환경에서 종자 발아력은 62.0-97.0% 사이로 나타났는데 가장 우수한 초종은 TF 'Olympic Gold' 품종으로 나타났다. 초종 간 종자 발아력은 광엽형인 TF 초종이 세엽형 보다 더 우수하였으며, 세엽형 훼스큐 초종 간 발아력은 SF>CF, HF>CRF 순서로 나타났다. 발아세의 경우 발아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 소요되는 50% 발아세 속도부터 80% 발아세 속도까지 전체적인 초종 간 발아세 경향은 TF 초종이 가장 빨랐고 TF 다음으로는 CF 초종 이었다. 그리고 HF 및 SF 초종은 발아세 속도가 중간 정도로 나타났고, 훼스큐 속에서 발아세 속도가 가장 느린 초종은 CRF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발아환경에 따른 50% 및 70% 발아세 경향은 자연실온($5-25^{\circ}C$)보다는 ISTA 변온($15-25^{\circ}C$)에서 평균 약 4일 정도 더 빨랐으며, 실무적으로 훼스큐 종자 파종은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ISTA 변온 환경에 근접할수록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훼스큐 속 초종 간 발아 피크 기간(Peak time II)은 광엽형 TF 품종이 0.73-1.84일, 평균 1.45일로 세엽형 품종 보다 더 짧게 나타났다. 그리고 세엽형 훼스큐 초종 간 발아 피크 기간은 2.16-11.15일 사이로 다양하였는데 SFCF>SF>HF>CRF 순서로 판단되었다. 전체 공시 품종에서는 TF 'Olympic Gold' 품종이 가장 우수하였고, 반대로 CRF 'Audubon' 품종이 가장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훼스큐 속 초종 및 품종에 따라 이러한 조성 속도 및 특성 차이가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잔디밭 조성 시 적절한 초종 및 품종 선택은 대단히 중요하다.

둥굴레의 종자(種子) 구조(構造)와 출아(出芽)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Seed Structure and Seedling Development in Polygonatum odoratum Druce)

  • 강진호;김동일;유영섭;배기수;한경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2-107
    • /
    • 1998
  • 종자번식을 통한 다량육묘로 다량재배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둥굴레는 발아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다량육묘 또는 이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는 발아 과정을 체계적으로 자료화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둥굴레의 종자 구조와 유묘 출현 특성을 체계화하여 종자를 이용한 다량번식 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 되었다. 둥굴레 종자는 직생배주(直生胚珠)로서 경실(硬實)이었으며, 배는 linear형으로 종자의 중앙에 배열하고 있었다. 발아는 정단조직에 소주아(小珠芽)와 뿌리의 시원체(始原體)를 가지고 있는 배의 아래 부분이 신장하여 돌출하는 형태로 진행되었고, 배유의 저장 양분은 생장하고 있는 배가 배유를 잠식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배가 돌출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소주아(小珠芽)와 뿌리가 발달하고 형성된 소주아(小珠芽)의 정단에 상배축이 돌기하였다. 상배축(上胚軸)은 다량육묘에서 저온처리를 통한 휴면타파 처리 후에야 신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출아 후 형성되는 단자엽과 초장은 출아 중의 광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한편 재배 또는 가공에 이용되는 지하경은 소주아(小珠芽)가 최초의 조직으로 소주아(小珠芽)에 형성된 마디로부터 다음의 지하경이 분지되는 형태를 보였다.

  • PDF

벼 발아종자 발현유전자의 발현특성분석 (Analysis of germinating seed stage expressed sequence tags in Oryza sativa L.)

  • 윤웅한;이강섭;김창국;이정숙;한장호;윤도원;지현소;이태호;이정화;박성한;김건욱;서미숙;김용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281-288
    • /
    • 2009
  • Seed germination is the important stage to express many genes for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starch degradation and cell division from seed dormancy state. For the functional analysis of seed germination mechanisms, we were analyzed the rice cDNA clones (Oryzasativa cultivar Ilpum) obtained from seed imbibition during 48 hours. Total number of 18,101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were clustered using SeqMan program. Among them, 8,836 clones were identified as unique clones. We identified the chitinase gene specifically expressed in seed germination and amylase gene involved to starch degradation from the full length cDNA analysis, and several genes were registered to NCBI GeneBank. To analyzed the commonly expressed genes between inmature seed and germinated seed, 25,66 inmature ESTs and 18,101 germinated ESTs were clustered using SeqMan program and identified 2,514 clones as commonly expressed unigene. Among them, alpha-glubulin and alcohol dehydrogenase I were supposed to LEA genes only expressed in the immature and germinated seed stages. For the clustering of orthologous group genes, we further analyzed the 8,836 EST clones from germinating seeds using NCBI clusters of orthologous groups database. Among the clones, 5,076 clones were categorized into information storage and processing, cellular processes and signaling, metabolism and poorly characterized genes, proportioning 783 (14.29%), 1,484 (27%), 1,363 (24.8%) and 1,869 (34%) clones to the previous four categories, respectively.

유용식물 유전자원의 수집 보존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잡초를 대상으로- (Collection,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s -emphasis on weeds-)

  • 김길웅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9-18
    • /
    • 1990
  • 1. 잡초종 54종을 수집 보관중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발아력을 검정한 결과 치상후 15일째에 31종이 발아력을 보이고 그 가운데 50% 이상의 발아력을 보인것은 14종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잡초종은 휴면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어떤 형태로든지 휴면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2.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피속 잡초종은 외형적으로 여러종이 발생하는것 같았으나 2종만이 존재하는데 한 종은 강피이고 다른 종은 돌피와 변종으로 물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종자의 단백질 패턴 검정으로 종자 형태학적으로 분류한 종들을 재점검해 본 결과 강피는 돌피와 물피와는 달리 B zone에 주요 band가 있어서 쉽게 구분되었으나 돌피와 물피의 단백질 패턴이 유사하여 구분이 쉽지 않았다.

  • PDF

벼 담수토중 직파 재배 연구 II. 벼 품종의 수중발아시 용존산소 흡수와 발아특성 (Direct Seeding Cultivation on Submerged Paddy in Rice II. Dissolved Oxygen Uptake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Rice Varieties in the $O_2$ Saturated Water)

  • 이철원;성기영;박석홍;박래경;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7-101
    • /
    • 1988
  • 담수 직파 재배시 벼 종자의 발아에 필요한 산소요구도 및 발아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Japonica 형과 Ind.$\times$Jap. 품종을 공시하여 $25^{\circ}C$와 17$^{\circ}C$의 수온하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5^{\circ}C$ 및 17$^{\circ}C$의 수온에서 침종후 용존산소 흡수 및 흡수속도는 Japonica 형인 낙동벼가 Ind.$\times$Jap. 형인 삼강벼에 비하여 컸다. 2. 수분흡수는 침종 2일까지는 품종간 차이가 작았으나 3일후부터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낙동벼가 보다 더 많이 흡수하였다. 3. 침종후($25^{\circ}C$ 수온) 3일까지의 발아율 및 용존산소 흡수량은 Japonica 형 품종들이 Ind.$\times$Jap. 형 품종들보다 높았다. 4. 발아 및 종자근의 출현까지 $25^{\circ}C$의 수온하에서 Japonica 형 품종들은 각각 3, 4일 Ind.$\times$Jap.형 품종들은 각각 4, 5일이 소요되었으며 Japonica 품종들이 Ind.$\times$Jap.형 품종들 보다 용존산소의 총흡수량이 적어서 발아시 산소요구도가 낮았다. 5. 침종 5일후의 초엽장, 종자근장, 발아율은 Japonica 형 품종들이 Ind.$\times$Jap.형 품종들보다 현저하게 컸다.

  • PDF

발아환경에 따른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품종간 발아력, 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 비교 (Comparison of Seed Germinating Vigor, Early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Peak Time in Perennial Ryegrass Cultivars under Different Germination Conditions)

  • 김경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74-282
    • /
    • 2013
  • 본 실험은 ISTA 변온 및 자연실온 환경에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신품종의 종자 발아력, 초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 등의 특성을 연구 비교해서 실무적으로 한지형 잔디의 설계, 시공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실험 I은 ISTA 변온(8시간: 광조건, $25^{\circ}C$; 16시간: 암조건, $15^{\circ}C$), 실험 II는 $5-25^{\circ}C$로 유지되고 있는 실내 실온환경에서 수행하였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종자의 발아력, 초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은 발아환경 및 품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자 발아력은 ISTA 변온환경에서 66.00-93.75%, 자연실온 환경에서 66.25-93.50%로 나타났다. 초기발아속도는 ISTA 변온에서 'Pennant II', 'Brightstar II', 'Sonata', 'Accent II' 품종, 자연실온에서는 'Pennant II' 및 'Brightstar II' 품종이 우수하였다. 품종별 발아피크 기간은 ISTA 변온 환경에서 1.48-5.65일, 자연실온에서는 2.17-10.63일로 나타났다. 발아환경에 관계없이 'Sonata', 'Pennant II' 및 'Brightstar II' 품종의 발아피크 기간이 짧았고, 발아피크 기간이 가장 긴 품종은 'Revenge GLX' 이었다. 본 실험 결과 종자 발아력, 초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을 종합적으로 고려 시 ISTA 변온에서는 'Pennant II', 'Brightstar II', 'Sonata' 및 'Accent II' 품종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자연실온 환경에서는 'Pennant II' 및 'Brightstar II' 품종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