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etric task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5초

유한 순서열의 임의화 (Randomizing Sequences of Finite Length)

  • 허명회;이용구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1호
    • /
    • pp.189-196
    • /
    • 2010
  • 미국의 1970년 징병추출(draft lottery)은 유한 순서열 (1, 2, ..., k)의 물리적 임의화를 쉬운 일로 생각하였다가 사회적 물의가 빚어진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 소고는 숫자 1, 숫자 2, ... 등의 순서로 쌓인 k장의 카드 뭉치를 물리적으로 임의화하는 데 있어 반복 시행(repeated trial)의 역할을 밝힌다. 부수적으로 독립시행 수 n, 성공의 확률이 $\theta$인 이항분포 B(n, $\theta$)에서 성공 수가 짝수일 확률은 n이 커짐에 따라 0.5에 수렴하게 됨을 보인다.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비정렬 스테레오 영상의 정밀편위수정 (Precise Rectification of Misaligned Stereo Images for 3D Image Generation)

  • 김재인;김태정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11-421
    • /
    • 2012
  • 3D 입체영상 콘텐츠 부족현상에 따른 3D 산업시장의 성장정체는 콘텐츠 제작비용 절감을 위한 관련기술 개발의 촉진을 야기하고 있다. 3D 입체영상 제작에서 가장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는 부분은 촬영 과정에서 발생된 수직시차의 제거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시장 경쟁력과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사안이라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비 정렬된 스테레오 영상의 수직시차 보정 즉, 편위수정(Rectification)은 사진측량분야에서 오랫동안 다루어 오던 문제로 컴퓨터 비전방식이 빠른 처리속도와 자동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사진측량방식에서는 정확도와 정밀도 확보에 목적을 두고 있다. 허나 입체영화 제작에 있어 사진측량학적 관점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 시도는 그 사례를 찾아보기가 매우 힘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진측량방식의 기술을 도입하여 촬영 당시의 기하학적 관계를 복원하고 이를 통해 수직시차를 제거할 수 있는 정밀 편위수정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한다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는 기존 컴퓨터비전 알고리즘 두 가지와 성능비교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에피폴라 제약조건 만족도와 에피폴라 라인의 추정정확도, 그리고 정합점 간의 수직시차 측정을 통한 에피폴라 리샘플링의 정확도 등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제안 알고리즘은 정확도 및 정밀도 측면에서 비교 알고리즘들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정합점 위치오차에 대해서도 강인함을 보여주었다.

사례분석을 통한 도로설계속도 결정방법론 적용성 평가 (기능 재분류와 지형특성 이용) (Evaluation of The Highway Design Speed Determination Process Using Case Studies (Reclassifying Functions and Terrain Types))

  • 심관보;최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1-112
    • /
    • 2006
  • 현재 우리나라의 설계속도는 토로의 기능, 지역특성, 지형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도로의 기능을 구분하는 뚜렷한 기준이 없어 적정 설계속도 결정에 설계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많으며, 설계에 반영되지 못하는 도로기능이 존재하고, 도로가 통과하는 지역 및 지형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최근 이 문제를 개선한 새로운 기능 재분류와 설계속도 결정기준이 제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제시된 새로운 설계속도 결정기준에 따라 토로를 재설계하고, 통행속도와 공사비, 안전성 등을 조사 분석하여 기존 방법과 새로운 방법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사례분석을 통해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설계속도 결정에 있어 새로운 기준이 기존방법에 비해 우리나라의 자연지형과 지역특성을 정확히 고려하였으며, 설계자의 주관적 판단소지를 크게 줄여주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설계속도와 노선대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기준에 따른 설계가 기존방법에 비해 편익은 약간 적었으나. 공사비가 크게 감소하여 B/C분석. NPV, IRR 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EMME/2 상에서 통행배정 결과 각 구간 LOS는 기존방법과 새로운 방법이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통행속도에서 약 $2{\sim}4km/h$의 미세한 차이가 있었다.

건설현장 우레탄 방수작업자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노출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Solvents and Toluene Diisocyanates among Polyurethane Waterproofing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박현희;황은송;노지원;장광명;박승현;윤충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4-152
    • /
    • 2020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toluene diisocyanates (TDIs) exposure among polyurethane waterproofing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ethods: Task-based personal air samplings were carried out at seven construction sites using organic vapor monitor for VOCs (n=88) and glass fiber filters coated with 1-(2-pyridyl)piperazine(1-2PP) for TDIs (n=81). The concentration of VOCs and TDIs were shown for four different work types(mixing paint, primer roller painting, urethane resin spread painting, painter assistant) at five different worksites (rooftop, ground parking lot, piloti, bathroom, and swimming pool). The two TDI sampling methods (filter vs impinger) were evaluated in parallel to compare the concentrations. Results: The geometric mean(GM) concentration of VOCs Exposure Index (EI) was highest for primer roller painting (1.4), followed in order by, urethane resin spread painting (0.85), mixing paint (0.53), and painter assistant (0.35) by work types. The GM of VOCs EI was highest for bathroom (1.4) followed in order by, swimming pool (0.85), piloti (0.89), ground parking lot (0.82) and rooftop (0.57) by worksites. The GM of 2,4-/2,6-TDI concentration was 0.052 ppb and 0.432 ppb eac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DIs concentrations among worksites. The concentration of 2,6-TDI was ten times higher than that of 2,4-TDI. The concentration of 2,6-TDI by impinger method was 5.7 times higher than that by filter method.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found 38.6% of the VOCs samples exceeded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and 19.8% of the 2,6-TDI samples exceeded 1 ppb among polyurethane waterproofing worker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that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VOCs and TDIs was indoor environment and primer painting work.

항공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건물 모델링의 자동화 (Automation of Building Extraction and Modeling Using Airborne LiDAR Data)

  • 임새봄;김정현;이동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19-628
    • /
    • 2009
  • LiDAR는 광범위한 지역의 지형 지물 및 지표면에 대한 3차원 좌표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는 장비로 고정밀의 3차원 공간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LiDAR 데이터는 불규칙한 3차원 점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의미적이고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LiDAR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 LiDAR 데이터로부터 건물의 외곽선 자동 추출 및 3차원 상세 모델링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전처리 과정으로 반복적 평면 fiitting을 통하여 노이즈 및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고,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지면과 비지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였다. 건물 외곽선을 추출하기 위해서 객체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곽에 해당하는 LiDAR 점들을 분류하였으며, 선행과정을 통해 LiDAR 데이터로부터 최종적으로 건물의 외곽선을 추출하였다. 정확도 검증을 위해 추출된 건물의 외곽선을 1:1,000 수치지도와 비교한 결과, 실험지역의 평면 RMSE가 약 0.56m였다. 또한, 건물의 상부구조물의 형태를 재현하기 위한 특성정보 추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지붕면을 세부적으로 분할하고 모델링하기 위하여 통계적 및 기하적 특성정보를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상부구조물에 적합한 수학적 함수를 최소제곱법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3차원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부구조물 모델링 결과 각 형태에 따른 RMSE가 사각형 상부구조물은 0.91m, 삼각형 상부구조물은 1.43m, 아치형 상부구조물은 1.85m, 돔형 상부구조물이 1.97m였다. 이는 원시 LiDAR 데이터로부터 지붕면 분할 및 3차원 자동 모델링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스팔트 도로포장 작업자의 아스팔트 흄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노출수준 평가 (Asphalt Fume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Exposure Assessment among Asphalt Road Paving Workers)

  • 박현희;황은송;김성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7-266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sphalt fumes and PAHs exposure among asphalt road paving workers. Methods: Task-based personal air samplings(n=41) were carried out in 3 asphalt road paving construction sites using PTFE (polytetrafluorethylene) filters for asphalt fume and XAD-2 with glass fiber filters for PAHs. The concentration of fumes and PAHs were showed by four different job(paver finisher operator, paving laborer(raker), macadam roller operator and tire roller operator). Results: The geometric mean(GM) concentration of asphalt fumes as benzene soluble aerosol was highest at paving laborers($42.32{\mu}g/m^3$), followed by in order, paver finisher operators($41.57{\mu}g/m^3$), macadam roller operators($31.9{\mu}g/m^3$), and tire roller operators($30.31{\mu}g/m^3$). The GM of total PAHs concentration was highest at paver finisher operators($37.5{\mu}g/m^3$), followed by in order, paving laborers($20.13{\mu}g/m^3$), tire roller operators($8.66{\mu}g/m^3$), and macadam roller operators($6.23{\mu}g/m^3$).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16 compounds of PAH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naphthalene, achenaphthylene, achenaphthene, pyrene, fluorene and benz (a) anthracene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PAHs compounds and as the carcinogenic substances, benzo(a)pyrene, and debenz(a,h) anthracene were detected. The benzo(a)pyrene equivalent concentration(BaPeq) was $2.81{\mu}g/m^3$ at paver finisher operators, $2.07{\mu}g/m^3$ at paving laborers, $0.41{\mu}g/m^3$ at tire roller operators and $0.22{\mu}g/m^3$ at macadam roller operators. Asphalt road paving workers have higher benzo(a)pyrene equivalent(BaPeq) values even though at lower total PAHs concentration than workers in steel pipe coating and tar industry. Conclusions: Asphalt road paving workers were found to have risk of carcinogen exposure due to higher Benzo(a)pyrene equivalent concentration(BaPeq) than other PAHs exposure occup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carcinogenic hazards among asphalt paving workers.

자동차 제조업체 조립공정 근로자의 국소진동 노출 수준 및 작업환경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Hand-Arm Vibration Exposure Level a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of Workers in Automobile Manufacturer Assembly Process)

  • 박성현;강모열;김승원;최상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4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and-arm vibration (HAV) exposure levels due to the use of power hand tools and to evaluate the determinants in the automobile assembly process. Methods: The exposure level to HAV was evaluated for 30 work lines in five assembly processes (body, engine, chassis, door, and design) that use air-powered tools and battery-powered tools and operate in circulation for two hours. The 2-hr equivalent energy vibration acceleration, A (2), of the task was measured. The 8-hr equivalent energy vibration acceleration, A (8), was estima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asks that can be performed per day by each process. In addition, a survey on the working environment was conducted with workers exposed to vibration.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the HAV exposure level, A (2), for a total of 30 tasks was 2.51 m/s2, and one case was 10.30 m/s2, exceeding TLV (2hr). The HAV exposure level of A (8) was evaluated from 1.03 m/s2 to 5.36 m/s2. A (2)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for each process, and the chassis process (GM=3.90 m/s2) was the highest. The larger the tool size and the longer the tool length, the higher was the vibration acceleration when using a battery-powered tool than an air-powered tool (P<0.01). Battery-powered tool users showed higher dissatisfaction on all items than did air-powered tool user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rogram to reduce the HAV exposure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