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id model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Least Square Collocation에 의한 GPS/Leveling의 정확도 개선 (Accuracy Improvement of GPS/Levelling using Least Square Collocation)

  • 윤홍식;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5-39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중력데이터를 사용하여 중력지오이드모델을 개발하고, GPS/Leveling데이터를 사용하여 개선한 KGEOID05모델을 계산하였으며, 그 정밀도를 분석하였다. KGEOID05는 중력지오이드모델에 보정항을 더하여 계산하였으며, 보정항은 GPS/Levelling에 의하여 구한 지오이드고와 중력지오이드고의 차이를 사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모델링을 위한 통계학적 함수는 Markov 2차공분산 함수에 기초한 least squares collocation방법을 사용하였다. 총 373점의 GPS관측점을 보정항 모델링에 사용하였으며, 정밀도분석결과 KGEOID05의 정밀도는 11cm로 계산되었다. $2{\sim}3$점의 수준점에 대한 GPS관측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역적으로 KGEOID05모델에 대한 fitting을 실시할 경우에 GPS관측에 의한 $2{\sim}3cm$ 정밀도의 표고측정이 가능하다.

The Global Geopotential Models in the Region of Korean Peninsula

  • Yun, Hong-Sic;Adam, Jozsef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5-106
    • /
    • 1994
  • 지오이드 모델링에 필요한 기준면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지오포텐셜모델들을 시험하여 한반도 주변의 최적기준면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시험은 지오포텐셜모델들로부터 계산된 중력이상과 실제측정한 중력 이상의 차를 검토하였으며, 지오포텐셜모델들간의 중력이상과 지오이드고의 차를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GPS 측량데이타로부터 계산된 지오이드고와 지오포텐셜모델로부터 계산된 지오이드고를 검토하였다. 시험결과 OSU91A 모델이 한반도 주변에서의 기준면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GPS/leveling 데이터에 의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의 산출 (Calaulation of geometric geoidal heights using GPS/leveling data in study area)

  • 이석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31
    • /
    • 2003
  • It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methods to get the geoidal heights. It can be achieved geometric geoidal heights if we do GPS surveying in leveling point. The aims of this paper are calculation of geometric geoidal heights using GPS/leveling data in study area and evaluation of the global and local geoid models in and around Korean peninsula. For this study, study area was selected in the leveling line from Kunsan to Chonju city and GPS surveying was accomplished in the leveling line. And, also spherical harmonic analysis was made on the three global geopotential models, OSU91A, EGM96, EGM96m under same condition and KOGD2002, Korean gravimetric geoid model was made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s that EGM96m is the best model because the differences between geoidal heights of EGM96m and geometric geoidal heights of GPS/Leveling data appear the smallest value among them.

  • PDF

Research on Transferring the National Height System to the Island

  • Liu, Yanxiong;Zhou, Xinghua;Peng, Lin;Wu, Yongtong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425-427
    • /
    • 2006
  • It is quite difficult to transfer the National Height System 1985 to the island in China. In the study, one feasible and alternative way, which measures synchronally the tide variation at the island and the coast , is firstly introduced. Then, a new method is proposed. This new method combines GPS technique and Quasi-Geoid Determination technique (GQGD). It needs gravity data, GPS data, leveling data and DEM data, together with complex calculation method and the Earth gravity model. After describing the mathematical model and presenting the calculational steps, one experiment has been shown that this method is valid and can achieve accuracy up to 5 cm for the normal height, compared with the results both from the tidal observation and height approximation. Some suggestion is also given in the end.

  • PDF

공간데이터 크리깅 적용을 위한 공간상관함수 추정 (Estimation of Spatial Coherency Functions for Kriging of Spatial Data)

  • 배태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1-98
    • /
    • 2016
  • 지구통계학적인 공간분석의 대표적인 방법인 크리깅(kriging)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두 관측점 사이의 거리에 기반한 상관성을 나타내는 공간상관함수의 추정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크리깅에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관함수인 semi-variogram, homeogram, covariance function에 대하여 국가지오이드 모델을 기반으로 추정하였다. 경위도 각각 2°의 대상지역 내 통합기준점의 지오이드고를 이용하였으며, 선형모델을 이용하여 공간적인 편향성을 제거하였다. 전체 100개의 샘플 포인트에 대해서 중복되지 않은 두 점 간의 거리를 기준으로 구간을 나누고, 각 함수에 대한 경험적인 값을 계산하였다. 공간상관함수의 경험적인 값은 각각 두 개의 모델에 최소제곱조정 방법으로 피팅한 결과 semi-variogram의 wave 모델 적합도가 가장 높았으며, homeogram과 covariance function은 exponential 모델이 상대적으로 좋은 피팅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결정한 공간상관함수는 추후 다양한 크리깅 방법을 통해 임의 지점에서의 예측값에 대한 정확도 검증과 이에 대한 평균제곱예측오차(Mean Squared Prediction Error, MSPE)를 계산함으로써 각 함수의 활용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An analysis on the Earth geoid surface variation effect for use of the tilt sensor in celestial navigation system

  • Suk, Byong-Suk;Yoon, Jae-Cheol;Lyou, Jo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867-1870
    • /
    • 2005
  • The celestial navigation is one of alternatives to GPS system and can be used as a backup of GPS. In the celestial navigation system using more than two star trackers, the vehicle's ground position can be solved based on the star trackers' attitude information if the vehicle's local vertical or horizontal angle is given. In order to determine accurate ground position of flight vehicle, the high accurate local vertical angle measur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navigation performance. In this paper, the Earth geophysical deflection was analyzed in the assumption of using the modern electrolyte tilt sensor as a local vertical sensor for celestial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ilt sensor principle, the sensor measures the tilt angle from gravity direction which depends on the Earth geoid surface at a given posi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l vertical angle from tilt sensor measur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direction of the Earth center should be analyzed. Using a precision orbit determination software which includes the JGM-3 Earth geoid model, the direction of the Earth center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are extracted and analyzed. Appling vector inner product and cross product to the both extracted vectors, the magnitude and phase of deflection angle betwee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direction of the Earth center are achieved successfully.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angle differences vary as a function of latitude and altitude. The maximum 0.094$^{circ}$angle difference occurs at 45$^{circ}$latitude in case of 1000 Km altitude condition.

  • PDF

해상중력자료를 이용한 서해 중부해역의 정밀지오이드 산정 (Precise Geoid Calculation Using Shipborne Gravity Data of the Mid-Yellow Sea Around KOREA)

  • 최윤수;박병욱;최광선;김진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3-38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국립해양조사원이 1999년 '해양2000호'로 측정한 서해 중부해역의 해상중력 자료와 해면고도계 위성자료, 미국 GSFC/DMA에서 제공하는 EGM96 중력모델자료를 이용하여 이 지역의 정밀지오이드 산정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해상중력자료와 해면고도계 위성중력자료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EGM96 모델을 167차수로 계산한 광역 지오이드와 적분 반경 27km로 계산한 상대 지오이드를 합성하여 산정한 서해 중부해역의 정밀지오이드는 평균 18.339m이고 최저 13.564m에서 최고 22.785m 사이에서 변화하였다. 해상중력이상과 해면고도계 중력이상을 비교한 결과 해상중력이상의 정밀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차이의 평균은 -0.56mGal, RMSE는 4.195mGal로 나타났다.

최신 지구중력장모델(EGMs)의 남한지역 적용 평가 (Evaluation of the new Earth Gravity Models with GPS-leveling data in South Korea)

  • 이용창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9-104
    • /
    • 2006
  • The new gravity field combination model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knowledge of the Earth's global gravity field. This study evaluates eleven global gravity field models derived from gravimetry and altimetry surface data in a comparison with ground truth in South Korea. Geoid heights obtained from GPS and levelling in South Korea are compared with geoid heights from the model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avity satellites CHAMP, GRACE and LAGEOS plus gravimetry and altimetry surface data have led to an improvement in gravity field models. As expected, the new combination gravity field model which are EIGEN-CG03C and EIGEN-GL04C give better results than the predecessors widely used models(EGM96, OSU91A etc.).

  • PDF

상대중력계를 이용한 중력의 측정과 처리 (Gravity Measurement and Data Processing using Relative Gravimeter)

  • 김철영;김기원;이석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고정밀 지오이드 모델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지상중력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상대중력계를 이용하여 중력을 측정 하였다. 1등 수준노선 총 58점의 수준점에 대하여 상대중력측량을 실시하였고 이렇게 얻어진 중력값으로부터 지구조석보정 및 기계고 보정 후 자유망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중력성과를 계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지상중력자료들은 고정밀 지오이드 모델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