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32초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농촌 지역의 토지 적합성 분석 (Analysis of Land Suitability for Rural Area Us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이신호;최진용;김한중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3-158
    • /
    • 1993
  • 농촌 지역의 토지를 계획 관리하는 새로운 방안의 하나로서 토양의 잠재 생산력과 주거를 고려하여 대상지구(경기도 안성군 죽산면)의 토지 이용 방향을 분석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소프트웨어 ARC/INFO)을 이용하여 토지이용계획의 분석과정을 객관화하고, 논과 밭, 주거지에 대한 토지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5등급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토지 용도의 적합성 구분은 농촌 지역의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국 광역권 지리정보협력체 구성 및 운영방안 (The Structure and Operations of Geodata Collaboratives in Metropolitan Area: U.S. Cases)

  • 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45
    • /
    • 2007
  • 현재 지리정보의 수요증가로 인해 지리정보데이터의 추가적인 구축과 더불어 보다 효율적 활용을 위한 시스템 간 통합 및 공유체계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 공유체계 내에서의 지리정보공급은 국가지리정보유통망 또는 지자체내 통합 시스템 내에서의 업무가 그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 공간정보의 다양화 요구와 인접 행정구역간의 공간계획 및 개발을 포함하는 행정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광역권내의 지리정보공유협력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유체계와 그 효과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미국 선진사례를 중심으로 데이터의 작성, 유통, 갱신 및 관리에 따른 이들 광역권내 협력체 구성 및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의 추후 광역권내 자발적 공유협력조직의 모형 제시를 위한 참고자료로 삼고자 한다.

  • PDF

GIS와 ITS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An Efficient and Intelligent Multi-Agents System for GIS and ITS)

  • 노상겸;김신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661-66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와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제어 응용을 고려 한 컴퓨팅 플랫폼으로 EIMAS(Efficient and Intelligent Multi-Agent System)을 제안한다. GIS 와 관련 활용 시스템들은 개방형 지리 정보 처리 상호 운용 개념이 확산되면서 물리적으로 분산된 환경을 가지지게 되었고 이러한 분산 환경에서 프로그램개발과 사용자의 요구에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GIS와 이와 연계한 GI(Geographical Information) 활용시스템들의 각기 다른 구성 요소들을 통합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GIS 와 GIS Application으로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위한 Java Mobile Agent와 Multiple Agent System 인 EIMAS를 플렛폼으로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GIS 시스템과 ITS 시스템에 제공되는 Agent가 활동하는 플레이스 위에서 에이전트가 목적과 워크에 적합한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생성하여 시간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분산. 병렬처리를 수행하는 플렛폼을 설계한다.

  • PDF

지리정보를 갖는 통계 데이터의 Visualization

  • 이정진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29
    • /
    • 2003
  • 정보화시대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 일상생활에 친숙하게 다가온 기술 중의 하나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이다. GIS는 공간(지표, 지하, 해양 등)상에 분포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 여러 종류의 세밀한 지도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관리하는 종합정보기술이다. 통계 데이터 중에는 지리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하지만 지리정보를 갖는 통계 데이터의 탐색적 자료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을 위한 Visualization 기법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GIS를 위한 벡터맵(vector map)의 간단한 제작방법과 GIS의 개발방법, 그리고 탐색적 자료분석을 위한 Visualization기법을 소개한다.

  • PDF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의 국내외 표준화 연구 (A Local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Survey on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정영식;오행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72-377
    • /
    • 2000
  • GIS란 지구의 지상지하에 존재하는 각종 지형지물들(Features : 산, 도로, 건물, 강, 상하수관, 통신·전력·가스 선로, 지적선, 토양재질, 자원 등)에 대한 공간정보(위치, 기하, 위상 등)와 비공간 정보인 속성정보를 통합적으로 구축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공간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한 통합정보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GIS의 핵심기술로는 개방형 GIS 컴포넌트 기술, 공간정보 유통 및 연계·활용 기술, 첨단 GIS 기반 및 응용 기술, 공간 데이터 구축 기술 등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GIS의 핵심기술 개발현황, 시장현황, 표준화 현황에 대해 다룬다.

  • PDF

문헌분류법에서의 지역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Geographical Division in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 남태우;백혜경;이형미;정수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89-214
    • /
    • 2008
  • 본 연구는 현 KDC 4판의 지역구분체계가 가지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요 분류법들을 십진과 비십진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류법에서 채택한 지역구분 원칙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한국, 미국, 일본의 국가기관에서 채택한 지역구분 기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KDC 4판 한국지역구분표의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민편의를 위해 마련된 공공기관의 행정구역분류체계와의 연관성 및 일관성 유지 방안과 아울러 행정지리에 의한 구분 이외의 다양한 지리현상을 반영한 추가적인 지역구분기준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효율적인 GIS 감리를 위한 감리 점검항목 (Audit Checking Items for the Efficient GIS Audit)

  • 조영주;김동오;김동수;한기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3-228
    • /
    • 2012
  • The construction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is continuously in progress, and with the diversification and complication of the system, the importance of its audit is further deepened. At this point in time,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has been obligatory as it has been stipulated in law, and the GIS audit has come to follow the criter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since it belongs to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categor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nformation system audit standard and the former GIS audit standard, and the audit checking items for the efficient GIS audit is necessary. For this reason, this paper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GIS in accordance with this necessity, analyzed the GIS audit checking items found in the audit performance guideline of the GIS audit standard, and studied the GIS development methodology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In addition, this paper also elicited and proposed the audit checking items for the efficient GIS audi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paper. Finally, this paper confirmed the efficiency of the GIS audit checking items proposed her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actual cases of GIS audits.

SDTS와 Informap간의 데이타 변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ata Conversion System between SDTS and Informap)

  • 오병우;이강준;한기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9-121
    • /
    • 1996
  • 독립적인 저장 구조로 공간 데이타를 저장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간의 데이타 교환은 매우 힘들다. 더욱이, 공간데이타의 저장을 위해서는 많은 기억 공간이 필요하고 입력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므로 중복 지장하면 낭비가 크다. 그러므로, 다른 지리 정보 시스템과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여 공유할 수 있어야 하며, 공간 데이타의 교환을 위해서는 공통데이타괴환 포맷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매핑 시스템인 Informap의 데이타와 극가 공통데이타교환 포맷으로 지정된 SDTS 데이타의 상흐 교환을 위한 데이타 변환 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Informap과 SDTS의 저장 구조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효율적인 변환을 위한 게이트웨이 함수를 구현하고, 이러한 게이트웨이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변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 PDF

The Study of Simulation Exercise System of Marine Oil Spill Crisis Response Based on GIS

  • Yancheng, Liu;Peihai, Yin;Dianli, Zhao;Caiqin, Sun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Asia Navigation Conference
    • /
    • pp.194-199
    • /
    • 2004
  • The paper does researches and analysis on the process of marine oil spill crisis response (MOSCR), and develops the marine oil spill crisis response simulation exercise system. The system developed by this paper is composed of four subsystems, including the training system of MOSCR,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f MOSCR, the marine oil spill control and cleanup decision-making expert system, and the computer simulation exercise system. The paper builds up the applied model system of MOSCR. The system takes the marine oil spill crisis respons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s the platform, which integrates all aspects of MOSCR. This system can offer an oil spill scene to the trainees and simulate the whole process of MOSCR on the interface of GIS.

  • PDF

Web-GIS를 이용한 논산시 하천수질 관리 정보 지원시스템 구현(I) (Development of River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Using Web-GIS of Nonsan-si(I))

  • 박기학;오승교;박성규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4호
    • /
    • pp.15-2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e-Nonsan, a user friendly river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Nonsan-si basin using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GIS was ideally suited featuring a geographical characteristics(e.g., industries, cattle sheds) and very effectively used in mapping and symbolization for the distribution of the spatial/periodic status(e.g., pie or column chart) of the point/non-point pollutant source loads which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information system on the web-site. And a 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was designed very diversely and simply enabled the and non environmental experts connect with the system and obtain a useful information of river quality. e-Nonsan, a visual mapping system for river quality was developed by reframing the monitoring data as graphic symbols and it was ideally suited to exploring area-wide river quality at a user-friendly manner due to extensibility and scalability along the various survey points. Eventually the final step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e-Nonsan based on Web-GIS could be assessed anywhere if internet service is available and offer a very useful information services of the river quality to the publ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