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features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5초

경제 하부구조 관련 공기업의 해외투자에 대한 연구(2) - 해외 하부구조투자의 유형과 성격, 국적성의 문제 - (Foreign Direct Investments of Economic Infrastructure-Related Public Companies in Korea(2): Typologies, Characteristics of FDI and Interpretation of Nationality Issues)

  • 김용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6-191
    • /
    • 2012
  • 이 논문은 경제 하부구조 관련 공기업이라는 행위주체의 특수성이 해외투자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전개되는가를 분석한다. 우리나라 경제 하부구조 관련 공기업 해외투자사업의 일반 특징을 진출지역, 사업유형, 진출 시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다음, 해외투자 유형을 자본투자를 동반하지 않는 전문컨설팅 유형, 자본투자와 위험을 동반하는 해외직접투자 유형과 에너지자원개발 직접투자 유형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토대로 분석한다. 그리고 하부구조 공기업이라는 행위주체가 갖는 특성 때문에 나타나는 국적성의 문제, 즉 진출대상국 입장에서 자본부족 해소와 종속의 문제, 자본수출국의 입장에서 민간자본과 관계설정의 이중성 문제를 검토한다.

  • PDF

Investigating chemical features of Panax notoginseng based on integrating HPLC fingerprinting and determination of multiconstituents by single reference standard

  • Yang, Zhenzhong;Zhu, Jieqiang;Zhang, Han;Fan, Xiaohu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334-342
    • /
    • 2018
  • Background: Panax notoginseng is a highly valued medicine and functional food, whose quality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size, botanical parts, and growth environments. Methods: In this study, a HPLC method integrating fingerprinting and determination of multiconstituents by single reference standard was established and adopt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profiles and active constituent contents of 215 notoginseng samples with different sizes, from different botanical parts and geographical regions. Results: Chemical differences among main root, branch root, and rotten root were not distinct, while rhizome and fibrous root could be discriminated from other parts. The notoginseng samples from Wenshan Autonomous Prefecture and cities nearby were similar, whereas samples from cities far away were not. The contents of major active constituents in main root did not correlate with the market price.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comprehensive chemical evidence for the rational usage of different parts, sizes, and growth regions of notoginseng in practice.

연암의 자연 사물 관찰과 글쓰기 양상 분석 연구: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여행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eon-Am's observation of natural objects and writing: Centered on Yeon-Am's "Yorha Ilgi" travels)

  • 김다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716-727
    • /
    • 2014
  • 연암의 관찰법을 활용한 자연사물 글쓰기는 자연환경 관찰력을 배양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암의 "열하일기" 글을 대상으로 하여 연암이 활용했던 관찰법을 분석하였다. 연암의 관찰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연암의 관찰법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관찰이다. 둘째, 오감을 활용한 관찰과 오감 활용의 위험성과 한계 인식이다. 셋째, 자연과 인간에 대한 평등 의식을 지닌 관찰이다. 연암은 자연을 인간과 같은 위치에서 바라보았다. 넷째, 부분적으로 관찰한 것들을 형상화 기법을 활용하여 생동감있게 그리고 현장감있게 묘사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다양한 관점을 활용한 다양성 발견 관찰이었다. 이러한 연암의 자연사물 글쓰기의 원천은 자연사물에 대한 세부적 관찰과, 교감, 형상화, 다양한 관점과 다양성 발견에 기반하고 있다.

  • PDF

연안정보의 지오-온톨로지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o-Ontological Application of Coastal Information)

  • 강전영;황철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2-127
    • /
    • 2013
  • 현재 우리나라의 연안정보는 단순한 질의 정도의 초보적 이용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 업무나 정책 활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축된 정보를 재가공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관련 정보들을 의미적으로 연결하여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토록 구현할 수 있는 온톨로지 기법을 이런 의미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eo-Ontology를 이용하여 연안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공간적 온톨로지 모형을 제시하고, 연안정보 온톨로지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첫째, 지리 정보와 관련한 온톨로지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미약하기 때문에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둘째, 연안의 지리적 사상과 관계를 정의한 Geo-Ontology를 구축하였다. 셋째, Geo-Ontology를 이용하여 사례지역인 마산만 연안의 유역권에 해당하는 연안정보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넷째, 의미 기반의 질의와 추론을 하고 연안정보 온톨로지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링크드 데이터를 대비하는 온톨로지 기반 접근은 장차 공간정보의 통합적 활용과 공간데이터의 공개를 통한 사회 경제적 활용의 대홍수시대를 대비하는 기초적 연구로 의미를 가진다.

  • PDF

한(韓).중(中).일(日)의 식생활문화(食生活文化) 비교연구(比較硏究) (I) - $14{\sim}19$세기, 지리적(地理的), 역사적(歷史的) 환경(環境)과 식생활(食生活)관련 서지(書誌)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Food Cultures (I) - From 14C to 19C, on the Environments of Geography, History and Bibliographies about Food Cultures -)

  • 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1-352
    • /
    • 1997
  • A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food cultures among Korea (Chosun dynasty), China (Ming, thing dynasty) and Japan (Muromachi, Edo era) from 14 century to 19 century. For this study, geographical environments, historical background with the times were researched and also bibliographies related on food cultures were compared among these three countries. There were special geographical environments in three countries upon their territories and geographical features. Historically, in those era, the livelyhoods of the common people in three countries were difficult considerably because of the disturbances of war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ies. But the food cultures of three countries were changed owe to introduce the new western culture and institutions. And also there were numerous bibliographies related on food culture which were published from 14C to 19C in Chosun dynasty, Ming and Ching dynasty, and Muromachi, Edo era. They were shown to be the most in Japan, and order of China and Korea followed them. The bibliographies of Ming and thing dynasty showed less than those of Edo era for considering their population and territory, comparatively. In Japan, the biliographies related on food culture of Edo era was given the term of the age of cookery books. It was thought to be resulted from that the peoples of Japan were concerned about cooking and had more chances to contact foreign culture earlier than other country.

  • PDF

지리 관계 역할을 이용한 객체 지향 공간 데이터 모델 (Object Oriented Spatial Data Model using Geographic Relationship Role)

  • 이홍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47-62
    • /
    • 2000
  • 지리정보시스템은 많은 응용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 자료를 다룬다. 그러나 각 응용분야를 위한 필요한 정보가 지리정보의 설계단계에서 해상도, 추상화정도와 표현 방법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필요성을 다루기 위해서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현상에서 발생하는 각 개체의 독립성과 동질성 여부에 따라 표현해야 한다. 또한 공간 객체 사이의 관계성이 역할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방법도 다루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에 대한 객체와 객체들 사이의 관계성에 의한 형식적 정의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지리 자료는 지리-객체와 지리-필드로 분류되는데, 지리적 공간상에 존재하는 실제의 연속적이고, 이산적인 표현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논문은 지리-객체, 지리-필드와 비지리-객체 상에서 클래스와 관계 역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클래스의 상태에 대한 특성인 속성-영역 관계를 이용하여 공간 객체의 속성을 형식적으로 구분함으로 해서 클래스 관계에 효율성을 기하고자 한다.

  • PDF

지리-객체와 지리-필드에서 기하 속성과 공간관계 역할에 기반한 객체 지향 공간 데이터 모델 (An Object Oriented Spatial Data Model Based on Geometric attributes and the Role of Spatial Relationships in Geo-objects and Geo-fields)

  • 이홍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5호
    • /
    • pp.516-572
    • /
    • 2001
  • 지리정보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자료를 다루고 있다. 각 용용 분야를 위한 필요한 정보는 지리정보의 설계 단계에서 지리영역의 응용관점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현상에서 발생하는 각 객체의 독립성과 동질성 여부에 따라 표현해야 한다. 이 논문은 지리-객체, 지리-필드와 비지리-객체 상에서 속성과 관계 역할에 대한 정의와 정리를 통한 형식화에 대해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지리-객체는 지리-필드와 비지리-객체의 관계역할에 대한 형식화 관점에서 재구성되었다. 이 연구 결과 이 논문은 공간 클래스의 정적상태 특성인 속성-영역 관계를 공간 관계 역할로 표현하고, 형식화함으로써 기하 속성과 공간 관계 역할에 기반한 지리정보시스템의 효율적 설계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성호사설(星湖僿說)에 나타난 지리관 일고찰 -천지문(天地門)을 중심으로- (A View Geography in 'Sunghosaseol')

  • 손용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92-407
    • /
    • 2006
  • 본 연구는 성호의 대표적 저서인 '성호사설' 천지문(天地門)을 대상으로 여기에 나타난 지리관을 도출하기 위해 지리관련 주제와 내용을 발췌하여 분석한 것이다. 전공 지리학자의 저술이 아닌 만큼, 주제 내용에 대한 접근 방법이 구조적이거나 심오하다고는 볼 수 없다. 백두산-태백산-두류산의 맥을 따라 흐르는 기(氣)가 영남 지역의 풍속과 인물배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단정하는 서술은 풍수지리사상에 매몰된 듯한 인상을 준다. 방어기능의 중요성만을 강조한 입지설명도 지적할 만하다. 그러나 기후요소, 수리(水利), 지도(地圖)작법 등의 설명, 유래와 정보가 정확한 지명(地名) 명명의 필요성 주장, 제주도와 울릉도 및 이웃나라 일본에 대한 상세하고 치밀한 지지적 기술 등은 지리내용과 주제(topics)들의 훌륭한 포착이다. 생활에 필요한 지리적 내용들을 분석적,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점, 실용적인 시각에서 이들 지리관련 정보들을 유용한 지식으로 활용하여야 한다는 묵시적 권고, 기저에 짙게 깔려있는 향토와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 등은 매우 높이 살만하다.

  • PDF

GIS를 이용한 산림 생물의 공간적·환경적 특성 분석 - 백두대간(경북·충북)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orest Biology using GIS: A Case Study of Baekdudaegan area, Gyeongsangbuk-do and Chungcheongbuk-do)

  • 박정묵;서환석;이정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169-1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distribution of animals and plants in Baekdudaegan region using field survey and GIS data. Crucial fact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ild animals (16 species in 5 orders) and rare endemic plants (20 species in 12 orders). These crucial factors include stand factor (forest type, DBH class, and crown density), soil factor (bed rock, soil texture, and organic matter), geographical factor (elevation, slope, aspect) and climatic factor (temperature, rain fall, humidity). Finally, ten crucial factors were selected by statistical analysis and categorized for analyzing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Three orders such as Rodentia, Carnivora, and Artiodactula in wild animal showed the similar habitat characteristics with the small diameter and the elevation range from 801 to 1,000m. The Hydropotes inermis of Artiodactyla and Rattus norvegicus of Rodentia were different in the type of orders, but they had the similar habitat characteristics with the coniferous forest and loam. On the other hand, four orders such as Tubiflorales, Liliales, Ericales, and Rhamnales in the rare and endemic plants were showed high occurrence rate in the organic matter between 4 and 6%. The Rodgersia podophylla of Rosales and Gastrodia elata Blume of Microspermae were different in the type of orders, but they had the similar habitat characteristics with the stand factor and soil factor.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트위터 데이터의 공간 분포 패턴 분석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witter Data with Topic Modeling)

  • 우현지;김영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6-387
    • /
    • 2017
  • 본 연구는 트위터를 대상으로 트윗 공간 데이터에서 지리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트윗 공간 데이터의 구축 과정 및 지리적 분석의 프레임워크를 정립하고 지리적 연구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주도의 GPS 좌표 참조 트윗(geotweet)을 대상으로 트윗의 내용적 특성과 트윗 발생 위치의 공간 분포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주도 좌표 참조 트윗에서는 지명 또는 장소명이 많이 출현하였는데, 이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자하는 의도로 파악하였다. 트윗의 공간 분포는 제주공항을 중심으로 한 일부 관광지 주변으로 핫스팟이 확인되었고, 이는 제주도 유동인구 핫스팟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주제 중심의 트윗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픽 모델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제의 지리적 위치와 트윗의 내용은 서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방대한 트윗 데이터의 내용에 상응하는 지역 분포 특성을 직관적으로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