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concept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1초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지역격차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 (Theoretical Approaches to Regional Transformation: Path Dependence Theory and Regional Resilience Concept)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0-83
    • /
    • 2017
  • 경제성장에는 항상 지역간 격차가 있어왔다. 1960년대 이후 발생하기 시작한 선진 공업국의 탈 공업화로 인한 사회 경제적 위기로부터 회복하는 데에도 지역간, 도시간 상당한 격차가 있어 왔다. 이러한 격차에 대한 전통적 이론은 "자원의 불균등한 배분"으로 설명하곤 하였다. 그러나 유사한 수준의 자원을 가진 지역간에도 상당한 성장격차가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그러한 전통적 이론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성장과 회복에 있어서의 격차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이 대두되고 있다. 진화론적 경제이론에 근거한 경로이론과 회복력 개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이론의 출현 배경과 특징, 유용성 등을 비교 분석한다. 이 두 이론은 아직 객관화된 판단의 근거를 개발하지는 못했지만, 종전의 이론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하나의 대안으로써 설득력이 있어서, 비(非)계량적 연구방법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우리 학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인의 고향관: 그 지리학적 요인과 정서(ethos)의 관계 (Koreans Sense of Hom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thos and Relevant Geographical Attributes)

  • 이은숙;신명섭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01-42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고향의 개념을 의미론적 측면과 지리학적 입장에서 정의하고, 한국 사람들이 고향이라고 지칭하는 고향의 공간적 대상, 고향에 대한 감정과 선호, 고향의 지리적 특징 및 이미지 등을 조사하여, 이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의 본질과 정서(ethos)를 밝히려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은 본질적으로 고향 의식과 회귀본능과 같은 고향에 대한 인류의 보편적 정서로부터 나온 것이다. 둘째. 이러한 보편적 정서 위에 한국의 사회적 배경에서 나오는 고유한 고향의식이 첨가되었다. 사회적 배경에서 발생된 고향에 대한 강한 애착은 효에 근본을 둔 유교적 전통, 남북분단, 도시화에 따른 광범위한 실향의 결과에 의해서 형성된 정서라고 볼수 있다. 섯째, 고향이미지는 이러한 한국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으며, 자연환경적, 인문환경적, 감각적 요소가 모두 수렴된 전형적이며, 추상화된 유형으로 나타난다. 넛째,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정서는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나오는 보편적 정서와 대체로는 일치하지만 개인이나 집단의 인구.사회적 배경과 공간적 체험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사지의 환경친화적 집합주택 개발방안 (A Study on the Ecological Development of Multi-family Housing on Hillside)

  • 현택수;서정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5-64
    • /
    • 2002
  • This study aims at the suggestion of possibility that a housing density will maintain properly and that an ecological hill housing will recover a rapport with the ground. That is, both residential planning on the hillside and ecological architecture as a concept for development are chosen for study categor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hillside and the hill housing is theorized and then propriety is analys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planning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ow that the hillside is regarded as an idle land that preserves natural environment and maintains ecosystem, it must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awareness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exist together. 2. Analysis of geographical factors must be advanced because it is inevitable that the development of the hill housing should be performed properly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3. Planning elements of ecological residential block which are possible for constructing on the hillside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m into two areas; housing estate, building and unit.

한강교량 경관조명의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chematic design of outdoor lighting for Han river bridges)

  • 정근영;정봉근;이준형;최안섭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논문집
    • /
    • pp.27-30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Han river and presents a schematic design of outdoor lighting for Han river bridges. Basic design concept for Han river and detail theme for each bridge was developed. With lighting simulation program, lamp, color, and image of bridge in Han river modeled and simulated. Lighting visualizations of the three major bridges were shown and detail design concept for such bridges were introduced.

  • PDF

지리정보DB의 효율적 유통관리 방안 연구 - 지적재산권 설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for geographical database based on the concep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양광식;이종열;이영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73-88
    • /
    • 2003
  • 지리정보DB는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과 노력이 수반됨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간편하게 복제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관리에 있어 법적 보호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은 보호기준을 소재의 선택 또는 배열에 창작성으로 규정하고 있어 소재의 선택 또는 배열에 창작성이 낮거나 없는 데이터베이스는 보호받을 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적인 법 체계하에서 데이터베이스 제작에 따른 자료수집과 구성에 대한 노력 그리고 유통 및 활용에 따른 관련집단간의 이해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보호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PDF

치유적 모빌리티로서 서울 한양도성길 걷기 (Walking along Seoul City Wall as Therapeutic Mobilities)

  • 박향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9-125
    • /
    • 2016
  • 인간의 삶에서 치유는 떼어낼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최근 치유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이를 위한 공간, 장소, 나아가 이동에 대한 지리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서울 한양도성길 낙산구간 걷기를 사례로 걷기의 과정에서 어떠한 치유요소가 작용하며 그 지리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치유적 모빌리티' 개념과 틀을 바탕으로 181건의 블로그 텍스트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고 치유요소들을 분류한 결과, '기상 기후', '걷기 산책', 그리고 '야경'이 주요 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치유의 걷기 과정을 주요 요소들을 다룬 블로그 내러티브 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치유의 장소만들기, 제한요인으로서 시간, 야경 속 사회적 신체라는 지리학적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 PDF

The Original Concept of the Silk Road and Richthofen's Humanistic Ideas

  • KWON, YOUNG-PIL
    • Acta Via Serica
    • /
    • 제3권2호
    • /
    • pp.1-22
    • /
    • 2018
  • The concept of the "Seidenstrassen" (Silk Road) was created by the German geographer F. von Richthofen (1833-1905) in 1877. The "Seidenstrassen" means communication between China and the Roman cultural area. To prove the route of dissemination of silk, Richthofen not only focused on geographical substantiality, based on the routes of the Chinese Zhang Qian and the Roman Ptolemy, but also on etymological, historical, and religious sources. In fact, his Silk Road concept has the trade of silk as well as the humanistic ideas of cultural exchange. It is worth noting that in his book China, Richthofen presented the Silk Road as a space-time concept that considers the length of space as well as the length of time by highlighting humanistic examples that came into modern times through the Sea Route. Later, the English term "Silk Road" appeared in 1938, the Japanese term "シルクロ-ド" (sirukurodo) in 1939, and the Korean term "실크로드" (silkrodeu) in 1952.

가상 세계 매핑기법을 이용한 비디오 GIS (Video GIS using Virtual World Mapping Technique)

  • 김성수;이성호;김경옥;이종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1-3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데이터베이스와 4S-Van에서 획득된 GPS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비디오내의 지리 객체들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미디어 GIS 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비디오내의 지리객체에 대한 지리정보 서비스를 위해 실세계 비디오와 3차원 그래픽 세계를 매핑할 수 있는 가상세계 매핑(VWM)이라는 새로운 상호 운용적인 지리데이터 서비스 개념을 소개한다. 제안한 기법은 임의의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3차원 가상공간을 재구성하여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를 쉽게 검색해 낼 수 있다. 또한, 2차원, 3차원, 미디어 데이터간의 상호연계 및 운용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지리정보 시스템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별도의 이미지 처리과정 없이도 비디오 스트림을 통해 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안하는 기법으로 비디오 영상을 스트리밍하면서 클라이언트가 지리 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GeoVideo 서버 및 웹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GeoVideo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지리교과를 통한 시민성 교육의 내재적 정당화 (Intrinsic Justifica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Geography Subject)

  • 조철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4-472
    • /
    • 2005
  • 본 연구는 지리교과를 통한 시민성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민성'과 '시민성의 공간' 에 대한 내재적 정당화에 관한 논의이다. Peters의 지식의 형식과 입문으로서의 교육관에 따라 지리적 지식의 형식을 검토하여 시민성을 내재적으로 정당화하였다. 지리학은 탈실증주의 패러다임의 언어와 이데올로기의 도입을 통해 기존의 '공간' 중심에서 '인간'과 '사회'에 더욱 관심을 가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이는 다름아닌 시민성의 공간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즉, 사회공간이론을 통해 가치중립적인 물리적 공간 개념을 거부하고, 가치내재적인 '시민성의 공간'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지식의 형식의 변화가 지리교과의 내용지식의 변화를 주도한다고 볼 때, 시민성은 내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리교과의 내용지식으로서의 시민성은 사회과 교육목적을 그대로 수용하는 외재적 정당화가 아니라, 지리적 지식의 형식을 통해 내재적으로 정당화될 때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시민성 공간에 토대한 시민성이라는 가치와 신념으로의 입문으로서의 지리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관점을 가지고 나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의미와 실제 (Meaning and Practic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Everyday Life in Geography Subject Matter)

  • 장의선;김일기;이민부;박승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47-261
    • /
    • 2002
  • 본 논문은 지리과 교수-학습에서 학습자의 일상생활경험을 바탕으로 한 내용과 방법이 지리지식과 접목되었을 때, 지리과 교육의 목표성취에 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활중심 교수-학습에서는 지리학과 지리교육과정에서 도출된 과학적.체계적인 비일상적 지리개념이 내용선정의 범위를 이루고, 그러한 개념들의 체계적인 위계가 내용조직의 계열성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용 구성의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개념들이 학습자들의 생활세계에서 경험되는 자연발생적이고도 일상적이며. 구체적인 지리적 요소로부터 이해될 수 있도록 선정.조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 내용의 선정준거로는 일상적으로 학습자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역공간을 토대로 한 내용, 체계적인 지리개념을 효과적으로 인식 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구체적 내용, 변화하는 생활공간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리적 생활경험을 반영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준거를 바탕으로 지리과 교육과정의 '환경문제와 지역문제'단원을 선정하여,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실제내용을 선정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