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map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3초

GIS 기반 산지이용구분도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IS-based Method of Building Digital Forest Land-Use Map)

  • 박영규;권순덕;송철철;권대순;이종학;김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6-57
    • /
    • 2006
  • 연구에서는 2007년 고시예정인 산지이용구분도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하여 GIS에 기반한 산지이용구분도 작성방법을 수립하였다. 산지이용구분도 작성절차는 임지추출 및 보완, 법정용도지역 구분, 기타 보전 및 준보전산지 구분, 지적기반 수치산지이용구분도 작성, 산지이용구분도(안) 편집 및 출력, 검수 및 보완 등 6단계로 구성하였다. 수립된 작성절차를 적용하여 경기도 화성시 지역을 대상으로 축척 1:25,000 14도엽 및 1:5,000 173도엽의 산지이용구분도와 산지이용구분대장을 작성하였다.

  • PDF

GIS DB를 이용한 상업·업무시설의 입지 포텐셜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Location Potential of Commercial Use using GIS Database)

  • 백태경;최정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9-157
    • /
    • 2006
  • 본 연구는 부산시의 GIS 데이타베이스를 활용하여 먼저, 입지포텐셜 분석을 위한 지표를 설정하여 각 지표별 Rank-Map을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각 상업 업무시설이 입지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입지 포텐셜 ($P_i$)을 분석하여 제안하였다. Rank 1, 2로 분류되는 존의 건물용도 현황을 보면, 상업시설 용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Rank 4~7까지의 존은 환경보전적 차원에서 비 상업계 용도지역이 지정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입지 포텐셜은 용도지역 지정시 상업계 용도지역 지정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고 사료되어진다.

  • PDF

하천평가기준을 반영한 생태·자연도 작성지침 개선방안 연구 - 황강을 대상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s of Eco-Natural Map Preparation Guideline through an Assessment of River - Focused on the Hwang River -)

  • 김대영;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9-2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of Eco-Natural map preparation guideline by presenting assessment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sult of river ecosystem health survey and assessment,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area for studying is the main stream of the Hwang River where is easy to collect data and available to compare before and after of river assessment. It was reevaluated by reflecting the result of river ecosystem health assessmen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result, Eco-Natural map of the study area reflecting the river assessment, the changes in the area ratio by grade have been increased from 1.14% to 14.03% in the first-grade and from 24.64% to 43.91% in the second-grade. It is considered to present more realistic grade due to the assessment of the rivers that have not been reflected in the meantime.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establishing the development projects on the rivers,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more realistic and active protection.

지적도 벡터라이징을 위한 최적 세선화 알고리즘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f the Optimal Thinning Algorithm for Cadastral Map Vectorizing)

  • 원남식;김권양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4-62
    • /
    • 1999
  • 도면의 입력 처리를 위한 벡터라이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작업이고, 도면 데이터의 질은 그 처리 결과에 관계된다. 그러므로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우수한 벡터라이징 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벡터라이징 시스템에서 세선화 알고리즘은 벡터 데이터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술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도면 벡터라이징에 적합한 세선화 알고리즘으로 위상적, 기하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윤곽선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알고리즘들을 고찰하였다. 결과로서, WPTA4와 잘 알려진 세선화 알고리즘들 구현하였고, 각각의 수행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도시침수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공간DB기반 Map Viewer 프로토타입 설계 (A Prototype of the Map Viewer based Spatial DB for the Integrated Urban Flooded Area Management System)

  • 김기욱;서태웅;김창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39-342
    • /
    • 2008
  • 최근 이상기후 등의 영향으로 도시침수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침수위험지역 관리를 위해 SWMM 등의 유출모형과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술을 결합하여 위험지역의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침수위험지역 관리 시스템의 GIS는 유출모형 등을 통한 수문분석결과를 가시화하는 정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침수관리 시스템을 통한 침수위험지역의 예방/대응 등의 통합된 방재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침수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모듈로 공간DB기반의 Map Viewer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Shape File 포맷의 지도정보를 공간DB로 변환하는 모듈을 구현하였다.

  • PDF

정밀도로지도를 활용한 차로 이탈 경고장치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Using High-precision Maps)

  • 이정욱;김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1-19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정밀도로지도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거동 정보와 정밀도로지도의 위치 관계를 계산하여 차로 이탈 경고장치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한국의 노면 표시 설치에 대한 기준과 차로 이탈 경고장치의 평가 기준에 대한 분석을 하고, 평가 기준에 맞는 정밀도로지도의 구축하고 평가 장치 을 구성하여 제안한 방법론에 대한 시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론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정밀도로지도를 활용한 차로 이탈 경고장치의 평가는 정밀도로지도와 정밀차량위치를 이용한 데이터취득,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이탈 판단 확인 절차 수행만으로 평가가 가능하고 다양한 도로 환경에 적용 가능하다.

Forest Fire Risk Zonation in Madi Khola Watershed, Nepal

  • Jeetendra Gauta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24-34
    • /
    • 2024
  • Fire, being primarily a natural phenomenon, is impossible to control, although it is feasible to map the forest fire risk zone, minimizing the frequency of fires. The spread of a fire starting in any stand in a forest can be predicted, given the burning conditions. The natural cover of the land and the safety of the population may be threatened by the spread of forest fires; thus, the prevention of fire damage requires early discovery. Satellite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an be used effectively to combine different forest-fire-causing factors for mapping the forest fire risk zone.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mapping forest fire risk in the Madikhola watershed. The primary causes of forest fires appear to be human negligence, uncontrolled fire in nearby forests and agricultural regions, and fire for pastoral purposes which were used to evaluate and assign risk values to the mapping process. The majority of fires, according to MODIS events, occurred from December to April, with March recording the highest occurrences. The Risk Zonation Map, which was prepared using LULC, Forest Type, Slope, Aspect, Elevation, Road Proximity, and Proximity to Water Bodies, showed that a High Fire Risk Zone comprised 29% of the Total Watershed Area, followed by a Moderate Risk Zone, covering 37% of the total area. The derived map products are helpful to local forest managers to minimize fire risks within the forests and take proper responses when fires break out. This study further recommends including the fuel factor and other fire-contributing factors to derive a higher resolution of the fire risk map.

GIS를 이용한 암반사면 파괴분석과 산사태 위험도 (Rock Slope Failure Analysis and Landslide Risk Map by Using GIS)

  • 권혜진;김교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12호
    • /
    • pp.15-2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 북쪽의 과거 산사태 발생영역에서 조사된 절리특성과 GIS를 이용하여 추출한 지형특성을 근거하여 연구지역에서 예상되는 암반사면 파괴유형을 분석하였다. 또 해발고도, 사면방향, 사면경사, 음영도, 곡률, 하천 이격거리 등 6개의 지형특성 인자의 빈도비를 중첩하여 산사태 예측도를 작성하였으며, 산사태 예측도와 도로 및 주거지와 같은 지역의 인문적인 인자를 고려한 산사태 피해도를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연구지역의 산사태 위험도를 작성하였다. 연구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지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발고도 330~710m에서 88%, 사면방향 동남-남-남서 방향($90{\sim}270^{\circ}$)에서 77.7%, 사면경사 $10{\sim}40^{\circ}$에서 93.39%, 음영도 등급3~7에서 82.78%, 곡률특성 -5~+5에서 86.28%, 하천 이격거리 400m 이내에서 82.92%가 발생하였다. 산사태가 발생한 영역의 75%는 산사태 위험도에서 위험 등급이 '높음' 이상인 지역이어서 위험 예측에 대한 신뢰성이 확인되었으며, 연구지역의 13.27%는 산사태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밀도로지도 산업 발전 방향 및 대응방안 연구 (The Future Direction of HD Map Industry Development Plan and Governance)

  • 원상연;문지영;윤서연;최윤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0-132
    • /
    • 2019
  • 현재 자율주행차의 위치결정을 위한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는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차 탑재 및 서비스 부문에 대한 연계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인 Here와 TomTom은 정밀도로지도 생산에서 자율주행차 탑재까지 일련의 체계를 민간기업 중심으로 구축하여 독일 3사(BMW, Audi, Daimler)와 협약을 체결하였다. 일본은 2017년부터 민관이 협력하여 DMP(Dynamic Map Platform)를 조직하고 민간중심의 정밀도로지도 공동구축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자율주행차 관련 기업들도 차량, 센서, 지도 등 다양한 기업들과 협약을 체결하여 협력하고 있지만 민간과 공공이 개별적으로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토교통부에서는 기관과 기업의 중복투자 방지, 신속한 정보갱신 등 정밀도로지도의 발전을 위하여 2019년 4월 민-관 협력을 골자로 하는 MOU를 추진하여 체결하였고, 2019년 8월 정밀도로지도 공동구축 협의체를 출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밀도로지도 관련 국내 외 동향을 분석하고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국내 정밀도로지도 산업에서 민-관이 상생 협력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분석하였고, 향후 정밀도로지도 공동구축 협의체 운영을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 및 운영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국가지리정보시스템과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연계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e for Intergrating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National Very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 유근배;황철수;구자용;오충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61-75
    • /
    • 1997
  •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should be designed on the assumption that geographic data collected by each national organiz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geographic database systemically. To achieve this object, NGIS database would be better connected to National Very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ocess of research, some problems related to Korean NGIS are found. These are standardization, compatibility, extension, issue of making and opening digital map, and issue related to land information. So, it is required that pilot project appl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terms of National Very High-Speed computer network project. This project is to contain two main theme building of physical network and special management of network which is related with NG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