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Data

검색결과 1,210건 처리시간 0.029초

연안정비사업이 수행된 만성리 해수욕장에서 2016년 태풍 차바에 의한 해빈변화 (Beach Deformation Caused by Typhoon Chaba in 2016 Along the Manseongri Coast Related Coastal Improvement Project)

  • 박일흠;박완규;정승명;강태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0-718
    • /
    • 2017
  • 연안정비사업이 수행된 만성리 해수욕장에 대해 주기적으로 측량된 해빈자료와 2016년 제18호 태풍 차바 내습시 관측된 강력한 해빈변형외력으로부터 해빈변화가 현장관측자료를 기반으로 기술되었다. 만성리 해수욕장의 해빈은 양빈 이후 3개월에 걸쳐 자연외력에 반응된 안정화가 서서히 진행되었으나 태풍 차바에 의해 그 안정화가 깨어졌으며, 태풍내습 2개월 후부터 다시 안정적인 해빈을 나타내어 양빈 1년 후까지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태풍 차바 내습직후 만성리 해수욕장의 해안선은 도류제가 설치된 부근해빈과 잠제의 영향이 없는 해빈북측에서 주로 해안선이 후퇴하였고, 잠제배후역에서 해안선이 전진하였다. 또한 태풍내습직후 해빈체적이 $3,395m^3$ 감소하였는데, 감소한 영역은 주로 잠제의 영향이 없는 해빈북측에 집중되었으며 잠제배후의 후빈역은 오히려 퇴적되었다. 따라서 만성리 해수욕장에서 수행된 연안정비사업은 파랑에 기인한 표사이동이 지배적인 이곳에서 해빈보존에 상당히 기여하였다

Effect of Garcinia kola seeds supplemented diet on growth performance and gonadal development of Oreochromis niloticus juveniles breed in ponds

  • Nyadjeu, Paulin;Angoun, Jeannette;Ndasi, Ngwasiri Pride;Tabi-Tomedi, Minette Eyang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9호
    • /
    • pp.20.1-20.8
    • /
    • 2019
  • Background: Despite the favorable geo-climatic potential of Cameroon, the national production of tilapia remains low due to poor tilapia growth reported by fish farmers. One of the underlying reasons is the early female maturation at a very small size and precocious breeding in earthen ponds, resulting in overpopulation which leads to stunted growth and therefore to the production of unmarketable fish size. Studies have shown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G. kola enhanced growth in young Clarias gariepinus and Oreochromis niloticus. It was also reported that G. kola inhibited spawning in Tilapia adult female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assess the effects of Garcinia kola as growth promoter and inhibitor of gonadal development in young Oreochromis niloticus. Methods: A total of 108 juveniles weighing $13.32{\pm}0.62g$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9 hapas of 12 fishes each (9 females and 3 males) and fed for 70 days with three isonitrogenous diets, 40% crude protein with increasing Garcinia kola supplementation levels of 0 (normal diet), 6% and 10% (experimental diets).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the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pH, nitrate, nitrite, ammonia, and transparency) were measured twice a week. Every 14 days, fish were harvested, counted, and weigh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ree fish of each sex per replicate were sacrificed and their gonad and liver collected and weigh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peated measure followed by Newman-Keuls multiple test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the water were within the recommended values for Tilapia culture. Tilapia fed 6% Garcinia kola supplemented diet displayed higher final body weight in males ($38.60{\pm}3.50g$) and females ($36.77{\pm}3.62g$) compared to those receiving normal diet ($36.23{\pm}1.36g$ and $25.87{\pm}3.32g$; respectively to the final body weight in males and females). The gonadosomatic index and hepatosomatic index indicated no significant variation in males while in females, these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experimental fish compared to control fis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upplementation of G. kola seeds in diets of young Tilapia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impaired gonadal development in females.

농업용 저수지 제체에서의 그라우팅 주입효과 확인방법의 검증 (Inspection Method Validation of Grouting Effect on an Agricultural Reservoir Dam)

  • 김형신;문성우;임국묵;서용석
    • 지질공학
    • /
    • 제31권3호
    • /
    • pp.381-393
    • /
    • 2021
  • 농업용 저수지 제체에 대한 그라우팅 주입효과 확인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물리·역학적 방법, 수리학적 방법, 지구물리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내시험과 현장시험을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들은 그라우팅 주입단계에 따라 ① 그라우팅 이전, ② 그라우팅 중 ③ 그라우팅 직후, ④ 그라우트재재령 28일 이후로 구분하여 획득되었다. 시추과정에서 획득되는 단위중량, 압축강도, 마찰각, 점착력, N값(관입저항치)의 경우 지반 개량을 확인할 수는 있지만, 지반의 불균질성에 기인하는 한계도 나타났다. 현장 투수시험으로 측정된 투수계수는 그라우트재가 고결되기 이전에도 차수성이 확인되어 그라우팅 직후에 저수지 제체의 개량효과를 확인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비저항탐사는 그라우팅 이전 저수지 제체에 발달하는 포화대와 누수영역 파악 활용에 적합하였다. 표면파탐사(MASW)는 그라우팅 주입 이후에 탄성파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성이 뚜렷하여 개량효과를 판단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탄성파 속도를 이용하여 동적특성을 산정할 수 있으므로 내진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에서 고혈압 치료율의 지역 간 변이요인 분석 (Interregional Variant Factor Analysis of Hypertension Treatment Rate in COVID-19)

  • 박종호;김지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469-48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에서 고혈압 치료율의 지역 간 변이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분석에 적합한 데이터를 2020년 질병관리청 지역건강통계, 각 지자체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통계,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의 복지통계, 한국교통연구원의 교통접근성 지표 자료를 수집하였다. 고혈압 치료율의 지역 간 변이와 관련 요인을 SPSS Statistics 23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역 간 변이 요인을 Arc GIS를 이용하여 지리적 가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지리적 가중회귀모형의 전반적인 설명력은 27.6%였으며, 지역별로는 23.1%에서 33.4%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혈압 치료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수급자 비율, 당뇨병 치료율, 인구10만 명당 보건기관 수가 높을수록 고혈압 치료율이 높았으며, 코로나19 확진자수, 코로나19 유행으로 감소된 신체활동 비율, 코로나19 유행으로 감소된 음주 비율이 낮을수록 고혈압 치료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에서 고혈압 치료율의 지역 간 변이요인 분석은 효과적인 고혈압 치료율 관리 사업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 중심의 건강증진 정책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태양 양성자 이벤트에 의한 삼중 접합 GAGET2-ID2 태양전지 열화 (Triple Junction GAGET2-ID2 Solar Cell Degradation by Solar Proton Events)

  • 구자춘;박정언;문건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12호
    • /
    • pp.1019-1025
    • /
    • 2021
  • 거의 모든 우주 환경에서 태양전지 열화는 양성자에 의해 좌우된다. 정지궤도는 전자 방사선 벨트에 위치하지만 태양 이벤트에서 방출된 양성자는 여전히 태양전지 열화의 주된 요소이다. 2010년 6월 26일 천리안 1호가 발사된 이후로, 2012년 1월 23일에서 29일 그리고 2012년 3월 7일에서 14일에 다년 평균 관측 수준의 약 30배 이상의 플루언스를 갖는 양성자 이벤트가 관측되었다. 본 논문은 2012년 1월과 3월에 발생한 태양 양성자 이벤트에 의해 감시 셀의 개방회로 전압(Voc)과 션트 스위치에 연결된 한 섹션의 단락회로 전류(Isc)에 대한 태양전지 열화에 대해 연구한다. 태양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전압과 전류의 비행 데이터는 온도, 지구-태양 거리, 태양 각도로 보정한 후 임무 초기 태양전지 특성과 비교한다. Voc 전압은 2012년 1월 양성자 이벤트 이전과 비교하여 2012년 3월 양성자 이벤트 이후에 약 23.6mV 감소되었다. 감소된 Voc 전압은 임무 초기값 2575mV에 대해 1% 미만이다. Isc 전류는 예상대로 2012년 3월 양성자 이벤트에서 무시할 정도로 감소되었다.

야생 망초(Conyza canadensis L) 에틸알코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ild Conyza canadensis L. Extracts)

  • 이희제;송현숙;이거룡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9-115
    • /
    • 2022
  • 배경: 야생 망초의 항산화 물질의 존재와 활성화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망초를 에탄올에서 추출하여 항산화 물질의 활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야생 망초를 세척한 다음에 에탄올로 추출하여 다양한 분석기기를 활용하여 항산화성 물질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야생 망초 추출물의 수율 비율은 최고는 49.3% 이었으며 온도와 에탄올 비율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추출에서 180℃에서 물과 에탄올 비율이 50:50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무처리 군은 100% 생존율, 실험군에서는 추출물 50 ppm 이상에서는 98-100%로 나타났다. 거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었다. 실험군에 서는 추출물 25 ppm에서는 Nitric oxide 생성은 42%까지 억제되었다. 추출물 50 ppm에서는 유리 지방산 함량이 15%가 감소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추출물 농도가 50 ppm에서는 20%, 100 ppm에서 24%이었다. 추출물 농도 500 ppm에서는 DPPH과 ABTs를 이용한 유리 산소 소거 능은 90-98%로 나타났다. DPPH와 ABTs 자유기 소거 활성의 변화를 3차원적으로 관찰하였을 때에 85℃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85~130℃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결론: 야생 망초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세포독성도 거의 없고, NO 생산도 억제하고, 유리 산소의 소거 기능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망초 추출물을 다양한 자연치유적 활용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본다.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학부모 관계 및 교사소진 간의 관계: 가정연계효능감의 조절효과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Teacher Burnout: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 안거부;장유진
    • 한국교육논총
    • /
    • 제42권1호
    • /
    • pp.73-97
    • /
    • 2021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이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과 교사소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그리고 공감능력과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학부모 관계 및 교사소진의 관계에서 가정연계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에 근무하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JAMOVI 1.6.23을 활용하여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 모두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 유의한 정적효과를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서 가정연계효능감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가정연계효능감이 높을 때(M+1SD)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이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가정연계효능감이 평균 수준이거나 낮을 때(M-1SD)는 공감능력이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 모두 교사소진에 유의한 부적효과를 나타냈으며, 공감능력과 교사소진의 관계에서 가정연계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부모 관계와 교사소진에 있어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의 역할을 확인하고, 특히 공감능력이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 미치는 효과가 가정연계효능감 수준에 따라 조절됨을 확인함으로써 가정연계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국내 배터리원료광종 공급망 업스트림 리스크와 광물자원탐사부문에서의 대응방안 (Upstream Risks in Domestic Battery Raw Material Supply Chain and Countermeasures in the Mineral Resource Exploration Sector in Korea)

  • 오일환;허철호;김성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4호
    • /
    • pp.399-406
    • /
    • 2022
  • 2050 탄소중립이라는 메가트렌드에 맞추어 청정에너지기술에 사용되는 핵심광물의 양이 파리기후변화협약기반 시나리오와 2050 탄소중립기반 시나리오에 따르면 각각 4배, 6배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2차전지에 사용되는 배터리 공급망에서 볼 때 배터리물질과 배터리셀팩을 제조하는 미드스트림에서는 강점을 보이나 원료물질을 제공하고 처리하는 업스트림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러한 배터리원료광종의 업트스림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리튬, 니켈, 코발트에 대한 확보전략을 수립하고 탐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리튬의 경우, 경상북도 울진에서 2020년부터 탐사를 진행하고 있고 2021년말 제반탐사자료를 종합하고 3D모델을 구축하여 정밀탐사대상지를 선정했으며, 2022년에는 정밀탐사대상지를 중심으로 리튬페그마타이트의 부존잠재량을 평가할 예정이다. 니켈의 경우, 과거 탐광을 했던 10여개 니켈황화물광상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통하여 2022년말 탐사대상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코발트의 경우, 남한에서는 유일하게 보국코발트가 알려져있지만 열수광상으로 코발타이트가 산출되었다는 기록만 있을뿐 세계적인 코발트광상(예. 모로코 Bou Azzer)의 성인을 보면, 초염기성암과 관련된 사문암체와 화강암의 접촉부에서 코발트광체가 발견되어 국내에서는 코발트탐사를 위한 프로토콜을 정립할 예정이다.

초고해상 탄성파 탐사를 위한 디지털 스트리머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Streamer System for Ultra-high-resolution Seismic Survey)

  • 신정균;하지호;윤성웅;임태성;임관성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5권3호
    • /
    • pp.129-139
    • /
    • 2022
  • 초고해상 탄성파 탐사를 위한 아날로그 기반의 스트리머는 수중에서의 추가적인 잡음 유입이 가능하며 상호 연결을 통한 규격 확장이 불가능하다. 국내 연구기관 등을 중심으로 외산 디지털 스트리머가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비용이 높으며 원활한 유지보수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부 지질구조에 대한 높은 해상도의 영상화가 가능한 초고해상 디지털 스트리머 국산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개발을 통하여 최대 64채널 데이터에 대한 24 bit급 10 kHz 디지털 샘플링이 가능한 디지털 스트리머가 개발되었다. 시스템의 다양한 정량적인 규격은 벤치마크 모델인 지오메트릭스(Geometrics)사의 지오일 스트리머에 근접하게 설계되어 개발이 이루어졌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의 개수를 대폭 축소함으로써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간편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스트리머 시스템은 2022년 4월 포항 영일만항 인근해역에서 이루어진 실 해역 시험을 통하여 현장 적용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물리탐사를 활용한 땅밀림 원인분석의 사례적 연구 (A Case Study on the Cause Analysis of Land creep Using Geophysical Exploration)

  • 박재현;탁경미;임국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3호
    • /
    • pp.382-392
    • /
    • 2023
  • 최근 기후변화와 지질환경변화로 인해 산지토사재해의 발생 빈도가 급증하는 경향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땅밀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만큼, 땅밀림지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복구 및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자연리 산 4-1에 발생한 땅밀림에 대하여 물리탐사기법을 통해 재해취약성을 파악하고, 파괴 지반의 전반적 지질구조를 규명하여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시추조사도 함께 실시하여 측정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토사층과 풍화대의 상부에 저비저항 이상대가 분포하며, 이 구간은 탐사측선 50-120 m 구간으로 땅밀림현상의 주요 지시자인 인장균열이 관찰되는 연경도가 낮은 땅밀림구역으로 확인되며, 토사층 내에 불연속면 잔존 가능성을 추정한 후, 활동연약대를 안정시키는 복구방법을 강구하였다. 따라서 국내 현실에서 땅밀림 위험지를 파악하여 땅밀림 발생 징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책마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