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re analysis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4초

네트워크 중심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영화산업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Genre Centrality and Performance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 이원희;정동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53-168
    • /
    • 2017
  • 영화 장르에 대한 기존 연구는 특정 장르와 영화 성과간의 유의성 검증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대상 국가 및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얻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주로 단일 장르와 성과 간의 관계에 집중했기 때문에, 최근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복합 장르 문제를 이해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과 복합 장르 자료를 활용하여 장르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장르 중심성과 영화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르 중심성과 영화 성과 간에는 역 U 형태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지나친 '탐색'과 지나친 '활용'보다는 이 둘 간의 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는 이론적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실무적 차원에서 영화 장르의 범위와 조합을 선택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을 확대하고 장르 간 연결에 대한 질적 분석을 수행한다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영화산업의 성장과정과 연계한 장르 네트워크의 동적 연구로도 확장 가능할 것이다.

주요 게임 콘텐츠의 시장 지배력 평가를 통한 한국 온라인 게임 시장의 장르별 경쟁 유형 분석 (Analysis of Genre-specific Competition Patterns in Korean Online Game Market using Market Dominance Assessment of Major Game Contents)

  • 류성일;박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45-1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온라인 게임 콘텐츠 시장에 대해 장르적 구분에 의거한 경쟁 구조를 가정하고, 장르에 따라 분류된 하부시장 내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경쟁 유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장르별 1, 2위 게임 콘텐츠들의 시장지배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장르 내에서의 플레이타임 점유율과 표준편차 통계량을 활용하여, 장르별 ANOVA분석 및 Cluster 분석을 수행하였다. ANOVA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장르별 1위 게임의 점유율에서 'FPS/레이싱 > RTS/스포츠 > 포커 > 고스톱 > RPG > 아케이드 > 보드'의 관계가 있었고, 1위와 2위 게임의 플레이타임 합계 점유율에서는, 'RTS > FPS/레이싱 > 스포츠 > RPG > 고스톱 > 포커 > 아케이드 > 보드'의 관계가 확인되었다. 그 밖에 Cluster 분석에서는 시장지배적 성향의 강한 정도와 그 변동성이 유사한 수준에 있는 장르들의 군집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An Investigation of Exposure to Informational Text through English Textbooks

  • Kim, Tae-E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2호
    • /
    • pp.185-20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of informational text genre appeared in English textbooks at grades six, seven, and nine. Employing content analysis to analyze the literary forms, the researcher identified genre in each reading selection of each English textbook and classified it into six categories - fiction, information, biography, poetry, play, or fantasy. Especially, informational genre was classified further into two subcategories - non-narrative and narrative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non-narrative informational text only. The text genre was examined by analyzing (a) the number of reading selections representing each genre and (b) the number of words in reading selections devoted to each genre. The most frequent type of genre at grade 6 and 7 was fiction with 94% and 71% respectively, whereas at grade 9 it was devoted to information (51%), followed by fiction (37%). The largest number of words was devoted to fiction with 96% at the sixth grade and 70% at the seventh grade; on the other hand, for grade 9, it was devoted to information (46%), followed by fiction (39%). Although there was variance across different publishers, the informational text genre gained more significance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In particular, the percentage of reading selections and words devoted to the non-narrative or expository informational genre was overall 4% at grade 6, 17% at grade 7, and 44% at grade 9. The findings demonstrated th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informational literacy especially in the early grades for the development of balanced genre knowledge.

  • PDF

MPEG 부호화 영역에서 Video Genre 자동 분류 방법 (Automatic Video Genre Classification Method in MPEG compressed domain)

  • 김태희;이웅희;정동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8A호
    • /
    • pp.836-845
    • /
    • 2002
  • Video Summary는 길이가 긴 Video를 고속으로 효율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의 하나이다. Video Summary는 대표 프레임(Key-frame)들의 집합으로 볼 수 있는데 대표 프레임은 Video의 Genre에 따라서 달리 정의 및 생성될 수 있다. 즉 모든 Genre의 Video에 대해서 획일적인 방법으로 Summary를 만드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Video의 Genre를 구별해내는 기술은 위와 같이 효율적인 Video Summary 생성에 유용한 처리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효율적 Video 관리를 위해 MPEG 부호화 영역에서 MPEG Video의 Genre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프레임을 복호하지 않고 비트스트림을 직접 처리하여 기존 방법들에 비해 계산이 비교적 단순하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대부분의 작업을 시각 정보만을 이용하여 수행하며 이 정보들의 시, 공간적 해석을 통해 Genre를 확인하게 된다. 실험은 만화(Cartoon), 광고(Commercial), Music Video, 뉴스, Sports, Talk Show의 6개 Genre Video에 대하여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구조가 명확한 Talk Show와 Sports의 경우 90%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Genres and Tasks on College Students'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 Kim, Sook-Hy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1호
    • /
    • pp.61-8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genre and tasks on college students'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104 college students were assigned to Argumentative (AG), Causal and Evaluation (CE), and Narrative (NA) group. They report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through gap-filling (GF), summary (ST), and multiple-choice comprehension task (MC).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genr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overall tasks. Moreover, results from each group also presented that different mean scores on each task indicat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Proficiency levels, higher and lower level grou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for the task on listen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One-way ANOVA indicated that genre significantly affects Korean college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implied that listening comprehension sores for each genre were also substantially different. Different genre groups resented significant different in overall listening comprehension tasks.

  • PDF

영화의 흥행 성과와 리뷰 감정어휘와의 관계 분석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the Box Office Performance and Sentimental Words in Movie Review)

  • 문성민;하효지;이경원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6
    • /
    • 2015
  • 본 연구는 영화 리뷰 값이 1000개 이상인 673개의 영화를 대상으로 영화 장르별로 관객들이 느끼는 감정 어휘의 분포를 탐색하고 영화 흥행도와 감정 어휘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네이버 영화 리뷰를 크롤링하고 감정 어휘 사전을 활용하여 7개의 대표 감정 어휘, 영화 티켓 판매액, 영화 관람 관객 수, 상영 스크린 수, 한 스크린 당 영화 관람 관객 수, 영화의 장르, 영화의 영문 이름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한 분석은 상관관계 분석 방법과 Parallel coordinates 시각화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장르에 따른 영화 흥행도를 분석하여 영화 흥행도가 가장 높은 장르는 코미디이고 가장 낮은 장르는 호러라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모든 장르에서 'Happy'와 'Surprise'의 값이 높게 나오지만 다른 장르들에 비해 판타지 장르의 영화는 지루한 감정이 많이 느껴지고, SF장르의 영화는 화나는 감정이 많이 느껴진다는 결과를 확인 하였다. 셋째, 모든 장르의 감정 어휘 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Disgust'의 값이 높아질 때 'Anger'의 값도 높아지고, 'Happy'의 값이 높아질 때 'Surprise'의 값은 낮아진다라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영화 흥행도에 따른 감정 어휘를 분석하여 영화 흥행도와 'Happy'는 선형 관계이지만 영화 흥행도와 'Fear'는 비선형 관계인 것을 확인 하였다.

한국 웹소설 판타지의 형식적 갱신과 사회적 성찰 -책빙의물을 중심으로 (The Formal Innovation and Social Reflection of Korean Web Fiction Fantasy -Centered on 'Book Traveler' Genre)

  • 유인혁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1호
    • /
    • pp.77-102
    • /
    • 2020
  • 이 글은 한국 웹소설 판타지의 새로운 하위장르인 책빙의물을 분석했다. 그리하여 현재 한국 웹소설 판타지가 형식적 갱신을 서사적 동기로 삼고 있으며, 사회적 전복의 상상력을 장치로 활용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이는 책빙의물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수행되었다. 책빙의물에서 주인공은 판타지 소설의 작가나 독자로서, 자신이 서술 독서하고 있던 소설 속으로 이동한다. 이때 주인공이 진입한 '원작'은 전형적인 판타지소설의 관습이 형상화된 공간이다. 이에 따라 주인공은 진부한 장르적 장치와 전형적인 플롯을 체험하며, 그것을 바꾸기 위해 노력한다. 요컨대 책빙의물에서 장르의 전형성을 회피하는 것은 서사의 내적 동기로 주어져 있다. 한편 책빙의물에서 주인공은 원작의 중심인물이 아니라 주변인물에게 이입한다. 원작의 중심인물은 대개 사회의 좋은 자원을 독점하고 있는 지배계급으로 나타난다. 이때 책빙의물은 주변인물이 중심인물을 압도하는 플롯을 통해, 사회적 약자가 사회적 강자를 넘어서는 전복적 상황을 연출한다. 그리하여 독자의 사회적 욕망을 장르 내적인 장치로 전환시킨다. 정리하자면 책빙의물은 한국 장르문학의 관습이 갱신되는 장면을 포착하는 동시에, 동시대 사회적 맥락 및 독자의 욕망을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다. 그리하여 한국 웹소설 판타지가 자신의 내적 조건과 사회적 맥락을 동시에 성찰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소비자들의 디지털컨텐츠 선택 요인 : 웹툰을 중심으로 (Factors of Consumer' s Digital Content Selection : Focusing on Web-toon)

  • 오용민;정헌식;부제만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7-23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selection of web-toon service through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and to provide the strategy of web-toon service. To accomplish this study, theories, existing research and references related to AHP were sufficiently examined and selected the factors in the selection criteria. Surveys from consumers who used the web-toon service were conducted with selected factors. Through thi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HP analysis to find out the weighting values and the differenc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The highest weighting factor in the first layer that consists of web-toon service was cinematic quality. The cinematic qua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election criteria of customers who use the web-toon service regardless of their preferred genr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ing value or ranking changed in the second layer by genre. In this study, the effective basis of strategy were suggested by ranking the quantitative sele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preferred genre of consumers using web-toon service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ide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s, the web-toon service provider can easily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customer's requirements, which factors are important when the customer selects a specific genre from the web-toon genre.

Classification of Characters in Movie by Correlation Analysis of Genre and Linguistic Style

  • You, Eun-Soon;Song, Jae-Won;Park, Seung-B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49-55
    • /
    • 2019
  • The character dialogue created by AI is unnatural when compared with human-made dialogue, and it can not reveal the character's personality properly in spite of remarkable development of A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characters through the linguistic styl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the specific linguistic style with the personality. We analyzed the dialogues of 92 characters selected from total 60 movies categorized four movie genres, such as romantic comedy, action, comedy and horror/thriller, using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LIWC), a text analysis softwar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unique language style according to genre. Especially, we could find that the emotional tone than analytical thinking are two important features to classify. They were analyzed as very important features for classification as the precision and recall is over 78% for romantic comedy and action. However, the precision and recall were 66% and 50% for comedy and horror/thriller. Their impact on classification was less than romantic comedy and action genre. The characters of romantic comedy deal with the affection between men and women using a very high value of emotional tone than analytical thinking. The characters of action genre who need rational judgment to perform mission have much greater analytical thinking than emotional tone. Additionally, in the case of comedy and horror/thriller, we analyzed that they have many kinds of characters and that characters often change their personalities in the story.

대중음악 장르별 뮤직비디오 의상에 나타난 여성 관능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oluptuous Beauty of Females Found in Music Videos by Popular Music Genre)

  • 서은희;최정욱
    • 복식
    • /
    • 제59권2호
    • /
    • pp.154-168
    • /
    • 2009
  • This study aims on providing a design technique that expresses aesthetical elements by arranging the analysis of sensual beauty into detailed elements of design from music video outfits by genre of pop music, by observing music videos of female vocalists chosen from each genre of pop music focusing on their fash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In the genre rock, the sensual beauty of female were expressed with a boyish and neutral style using texture such as leather or denim, and such style had the effect of emphasizing their feminine side even more. 2. In the genre dance music, exposure is extensive compared to other genre using sexy or lingerie look, and I found an ambivalent style of feminism with clothes in the form of drapery using textures such as chiffon and silk, and femme fatale style with textures adhering to the body such as leggings, leotard, and bodysuit. 3. In the genre of rap and hip-hop, clothes from casual and costume-play style were found using training jersey, t-shirt, and denim pants, and emphasized the sensual beauty of women by showing a silhouette with short length and fitting style using shiny textures. 4. In the genre of R&B, there were diverse outfits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ppearing in the stories, or the situation of the story since there are many dramatic representation in the form of story Especially in case of female characters, the feminine side was emphasized staging a feminine style by wearing dresses with the texture of chiffon and silk. Exposure was restrained compared to other gen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