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ized RBF network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퍼지 RBF 네트워크의 학습 성능 개선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of Fuzzy RBF Network)

  • 김광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69-37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퍼지 RBF네트워크의 학습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Delta-bar-Delt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학습률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개선된 퍼지 RBF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제안된 학습 알고리즘은 일반화된 델타 학습 방법에 퍼지 C-Means 알고리즘을 결합한 방법으로, 중간층의 노드를 자가 생성하고 중간층과 출력층의 학습에는 일반화된 델타 학습 방법에 Delta-bar-Delt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학습률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학습 성능을 개선한다. 제안된 RBF 네트워크의 학습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영상에서 추출한 40개의 식별자를 학습 데이터로 적용한 결과, 기존의 ART2 기반 RBF 네트워크와 기존의 퍼지 RBF 네트워크 보다 학습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학습의 수렴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보정된 K-medoids 군집화 기법과 이분 탐색기법을 이용한 RBF 네트워크의 중심 개수와 위치와 통합 결정 (Determining the Number and the Locations of RBF Centers Using Enhanced K-Medoids Clustering and Bi-Section Search Method)

  • 이대원;이재욱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2-178
    • /
    • 2003
  • In the recent researches, a variety of way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s of RBF centers have been proposed assuming that the number of RBF centers is known. But they have also many numerical drawbacks. We propose a new method to overcome such drawbacks. The strength of our method is to determine the locations and the number of RBF centers at the same time without any assumption about the number of RBF center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wo phases. The first phase is to determine the number and the locations of RBF centers using bi-section search method and enhanced k-medoids clustering which overcomes drawbacks of clustering algorithm. In the second phase, network weights are computed and the design of RBF network is completed. This new method is applied to several benchmark data sets. Benchmark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competitive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approaches for center selection.

시스템 모델링을 위한 일반화된 RBF 신경회로망의 온라인 구성 (An On-line Construction of Generalized RBF Networks for System Modeling)

  • 권오신;김형석;최종수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7권1호
    • /
    • pp.32-42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비선형 시스템 모델링을 위한 일반화된 RBF 신경회로망(GRBFN)을 순차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온라인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상수 연결강도를 갖는 표준 RBF 신경회로망의 확장형인GRBFN은 여러 개의 국부 선형모델을 결합하여 비선형 시스템을 표현할 수 있는 구조이다. 제안한 학습 알고리즘은 구조 학습과 파라미터 학습을 수행하는 두 단계의 학습으로 구성된다. 구조 학습은 주어진 훈련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은닉 유니트 및 선형 국부모델을 할항하기 위하여 훈련 오차와 Mahalanobis 거리에 기초한 두 개의 생성 조건을 이용하여 GRBFN 모델을 구성한다. 파라미터 학습은 경사강하 법칙을 기반으로 기존 네트웍의 파라미터 벡터를 갱신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모델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잘 알려진 두 예제에 대한 시뮬레이션 및 결과를 제시한다.

  • PDF

개선된 신경망과 사진 인증을 이용한 여권 인식 (Recognition of Passports using Enhanced Neural Networks and Photo Authentication)

  • 김광백;박현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983-989
    • /
    • 2006
  • 현재의 출입국 관리는 여권을 제시하면 여권을 육안으로 검색하고 수작업으로 정보를 입력하여 여권 데이터베이스와 대비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권의 정보를 인식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여권 인식 방법은 소벨 연산자와 수평 스미어링,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문자열 영역을 이진화하고 이진화된 문자열 영역에 대해서 개별 코드의 문자들을 복원하기 위하여 CDM 마스크를 적용한 후에 수직 스미어링을 적용하여 개별 코드의 문자를 추출한다. 개별 코드의 인식은 ART2 알고리즘을 RBF 네트워크의 중간층으로 적용하고 중간층과 출력층의 학습에는 일반화된 델타 학습 방법으로 동작하는 RBF 네트워크를 적용한다. 사진 영역은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추출한 후에 코드의 문자열 영역이 시작되는 좌표를 중심으로 사진 영역을 추출한 후, Luminance, Edge, Hue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부분을 검증한다. 검증된 사진 부분 영상은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진의 특징들을 분류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진 인증을 하게 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여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여권 인식에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