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unsaturated fatty acid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19초

잣나무 종실(種實)의 지방산(脂肪酸) 및 Amino산(酸)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Analytical Studies on the Fatty acids and Amino acids Composition of Pinus Koraiensis seed)

  • 김지문;윤한교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469-474
    • /
    • 1975
  • 잣나무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 및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성상(理化學的性狀)을 A.O.A.C. 법(法)으로,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및 종자단백질(種子蛋白質)의 amino 산조성(酸組成)을 GLC법(法)에 의하여 각각(各各) 분석(分析) 측정(測定)한 성적(成績)을 다음과 같이 요약(摘要)한다. 1. 잣나무종실(種實)은 다량(多量)의 유지(油脂)(70.25%)와 단백질(蛋白質)(16.46%) 및 회분(灰分)(2.34%)을 비교적(比較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다. 2. 종실유(種實油)는 옥도가(沃度價) 108,63으로서 반건성유(半乾性油)에 속(屬)하며 산가(酸價), 감화가, 굴절율(屈折率)등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도 불포화(不飽和) 고급지방산(高級脂肪酸) 조성(組成)의 특성(特性)을 나타내고 있다. 3.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oleicacid (33.6%), linoleic acid (46.7%)등 고급지방산(高級脂肪酸)의 함량(含量)이 80% 이상(以上)으로 우수(優秀)한 식용유지(食用油脂)에 속(屬)한다. 4. 16종(種)의 amino산(酸)을 분석(分析) 정량(定量)하였으며 lysine, mechionine, threonine, phenylalanine, leucine, isoleucine 및 valine등 필수(必須) amino산(酸)이 고루 비교적(比較的) 다량(多量) 함유(含有)되어 있어 좋은 단백질원(蛋白質源)이라 하겠다.

  • PDF

열처리방법에 따른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의 영양성분 변화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Types Garlic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 이주혜;이지윤;황진봉;남진식;이준수;김소민;한혜경;최용민;김세나;김행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5-252
    • /
    • 2016
  • Purpose: To provide the public with nutritional information on consumption types of garlic,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method on the nutritional contents of different species of garlic. Methods: We determined the content of general components, minerals, vitamins, and fatty acids in each species of garlic produced in Seosan and Goheung by heating with blanching or microwave roast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indicated that the species in particular, as well as method of heat treatment and interaction, had an influence on nutritional content.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was higher in Southern type garlic than in Northern type garlic, while crude proteins, crude ash, and dietary fibers were more abundant in Northern type garlic than in Southern type garlic. With regard to the total mineral content, K, P, Mg, and Ca were the main components in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Moreover, unsaturated fatty acids showed high levels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with more abundant linoleic acid. Overall, Northern type garlic showed a higher content of minerals and fatty acids, while more vitamin B was present in Southern type garlic.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general components (dietary fiber excluded) was increased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upon heat treatment. Blanching resulted in increased mineral and fatty acid content in Southern type garlic and decreased content in Northern type garlic, indicative of species differences; conversely, microwave roasting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content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Conclusion: The nutritional content of garlic is more dependent on species than the cooking method, and grilling is associated with less nutrient loss than blanching.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유지(油脂) 및 단백질조성(蛋白質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Analytical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Oil and Protein in the Seed of Thornless Chinese Pepper Zanthoxylum schinifoilum var. inermis Nakai)

  • 윤한교;김지문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70-176
    • /
    • 1976
  • 야생식용유자원(野生食用油資源)의 개발(開發)을 위하여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상(性狀)을 A. O.AC. 법(法)으로,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및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의 amino 산조성(酸組成)을 GLC법(法) 및 amino acid auto analyzer 로 각각 분석(分析)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적요(摘要)한다 민산초나무의 종실(種實)은 비교적 다량(多量)의 유지(油脂)(47.05%), 단백질(蛋白質)(20.14%) 및 회분(灰分)(3.1%)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영양가(榮養價)가 높은 반식물(飯食物) 또는 식용유(食用油)로 인정(認定)되었다.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에는 극미량(極微量)의 유황(硫黃)(0.02%)과 cyan 화합물(化合物)(0.00005%)이 함유(含有)되였으나 모두 한계량이하(限界量以下)로서 식용유(食用油) 및 생과(生菓)로서 이용이 안전(安全)하다. 종실유(種實油)는 옥도가(沃度價) 145.2로서 건성유(乾性油)에 속(屬)하며 산가(酸價), 감화가, 굴절율(屈折率)등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도 불포화고급(不飽和高級)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서 특성(特性)을 나타냈다.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oleic acid(34.8%), linoleic acid(25.1%), linolenie acid(26.1%)등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의 함량(含量)이 80%이상으로서 식용유(食用油)에 적합(適合)한 것으로 인정(認定)되였다.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에서 17종(種)의 amino산(酸)을 분석정량(分析定量)하였으며,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등 필수(必須) amino산(酸)의 함량(含量)이 비교적 높았고, glutamic acid의 함량(含量)(4.985%)이 특히 높아서 단백질원(蛋白質源)으로서 유용(有用)하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

A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Dairy Products Made from Jersey and Holstein Milk

  • Yoo, Jayeon;Song, Minyu;Park, Wonseo;Oh, Sangnam;Ham, Jun-sang;Jeong, Seok-geun;Kim, Youngh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55-265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Mozzarella cheese, and Gouda cheese from Jersey and Holstein milk. The fermented milk, Mozzarella cheese, and Gouda cheese made from the Jersey breed exhibited higher fat, calcium, and phosphorous contents than those from the Holstein breed. The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was higher in dairy products made from Jersey than those made from Holstein, as was the component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s containing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In the sensory evaluations of fermented milk and Mozzarella cheese, the preference scores of products from Jersey were lower in color, flavor, texture, taste, and general preference than those from Holstein. In terms of sensory preference, it is considered that Jersey milk may be more appropriate for ripened cheese than fermented milk and fresh cheese. Therefore, Jersey milk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dairy products and to provide consumers with high quality nutrition.

Synthesis of Antioxidant and Evaluation of Its Oxidation Stability for Biodiesel

  • Park, Soo-Youl;Shin, Seung-Rim;Shin, Joung-II;An, Kyoung-Lyong;Jun, Kun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9권6호
    • /
    • pp.392-396
    • /
    • 2013
  • Biodiesel fuels contain unsaturated fatty acid ester, which can easily oxidize, especially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The products formed by this oxidation give rise to sediment or gum formation. As a result, the fuel can contribute to the corrosion and plugging of the filter pump. Antioxidants have been used in an effort to stabilize biodiesels, but there is still a need for a biodiesel composition with improved oxidation stability. In general, good fuel compositions should provide synergistic combinations of a biodiesel and antioxidants. Our work involved the synthesis of antioxidants to improve the oxidative stability of biodiesel fuel.

Selenium첨가 고지방식이가 흰쥐의 혈청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enium Added High fat Diets on the Serum Lipid Components in Rats)

  • 조은희;조정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5-85
    • /
    • 1989
  • This paper in the feeding Selenium added high fat diet, have an aim to find an effect of the white rat'food intake, body weight and level of serum lipid. This experimentations com to the conclusion that Se. added high fat diets, to say again, soybean oil added high fat diets that expecially is contained unsaturated high fatty acid, improve a general diet-utility factor, and decrease a body weight and coronary heart desease factor of the serum have an effect to prevent them from C H D by increasing anti - arterioscleroticfactor.

엘피엘 유전자에 대한 한우의 우수 유전자 조합 선별 (Major gene identification for LPL gene in Korean cattles)

  • 진미현;오동엽;이제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331-1339
    • /
    • 2013
  • 지질 단백질 리파제 (lipoprotein lipase; LPL) 유전자는 지방산 합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한우의 LPL 유전자 내의 지방산 합성과 단일염기다형성 (SNP) 사이의 유전적 연관성이 밝혔진 바 있다. 최근에는 LPL 유전자 내의 3가지 SNP 즉, c.322G>A, c.329A>T 그리고 c.1591G>A는 한우의 불포화 지방산 조성과 도체형질과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로 밝혀진 바 있다 (Oh 등; 2013). 본 논문은 최근 밝혀진 3개의 새로운 LPL 유전자를 활용 한우의 도체경제형질은 물론 맛과 향이 좋은 여러 경제형질에 영향을 주는 우수 유전자 조합을 선별하려 하였다. 우수 유전자 선별 조합을 선별하기 위해 유전자 조합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는 다중인자 차원 축소 방법을 이용하였다. 순수 유전자 효과만의 결과를 활용하기 위해 실험에서 얻어진 자료의 환경요인을 보정한 후 분석을 시도하였다 (Matsuhashi 등, 2011).

닭고기의 부위별 영양 성분 분석 (Nutritional Analysis of Chicken Parts)

  • 고하영;유익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028-1034
    • /
    • 2015
  • 닭고기를 가슴, 넓적다리, 다리의 3부위 살코기와 껍질을 포함한 날개 가식부를 취하여 일반성분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가슴과 넓적다리는 지질, 아미노산 및 무기질 조성도 분석하여 쇠고기 및 돼지고기의 sirloin 부위와 비교하였다. 지방 함량은 가슴살이 1.2%에 불과하였고 넓적다리는 2.8%로 비교적 낮았으나 날개의 경우 껍질을 포함하였기 때문에 14.9%의 함량을 보였다. 단백질은 가슴이 22.9%로 가장 높았으며 넓적다리가 19.7%, 날개가 17.6%로 나타났다. 콜레스테롤은 껍질이 포함된 날개 부위에서 99.0 mg%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넓적다리는 80.8 mg%로 나타났으나 가슴살에서는 56.7 mg%로 날개의 절반 수준에 해당하였다.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닭고기가 31.6~32.9%로 쇠고기(40.8%)나 돼지고기(42.7%)에 비해 적었고, 불포화지방산은 67.1~68.4%로 돼지고기(57.3%)나 쇠고기(59.2%)에 비해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은 50.1~51.8%로 쇠고기(55.3%)보다는 낮았으나 돼지고기(46.3%)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불포화지방산은 16.6~17.0%로 쇠고기의 3.9%, 돼지고기의 10.8%에 비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지방산의 함량은 16.6~16.9%로 돼지고기에 비해 1.6배, 쇠고기에 비해서는 5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닭고기에서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리신, 류신의 순서였다. 10종의 필수아미노산은 10,454~11,860 mg%였고, 총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42~44%로 돼지고기 및 쇠고기와 유사하였다. 무기질은 쇠고기, 돼지고기와 유사한 조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단지 넓적다리 부위는 적색육에 가깝고 가슴 부위는 백색육이기 때문에 성분상의 차이가 다소 확인되었다.

Quality comparison between imported hams from black and white pigs available in the market

  • Nam, Ki-Chang;Jo, Cheorun;Lee, Hyun Jung;Park, Ji Young;Hyun, Jeong Min;Yim, Dong-Gy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799-809
    • /
    • 201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imported dry-cured Hams from black and white pigs available in the domestic market. The black dry-cured hams contain higher moisture and ash contents than that of white hams, whereas the black dry-cured hams had lower fat contents than that of the black ones (p < 0.05). The hams from black ones had lower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values than those from the white ones (p < 0.05). Moreover, the pH values and salt contents of the hams from the black one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white ones (p < 0.05). Moreover, the black ones had a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WHC) than that of the white ones (p < 0.05).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of the black on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white ham samples (p < 0.05). For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cohesiveness and shear force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black ones than in the white samples (p < 0.05). Saturated fatty acids in the white ones were higher than in the black ones, whereas 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black ones were higher (p < 0.05). Free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in the black ones were higher than in the white ones (p < 0.05). The shrinkage of muscle fiber was stronger in the white ones. Considering the meat quality parameters of ham, the black ones showed a superior meat quality. In general,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mass production of dry-cured hams in Korea.

시판식용유의 가열시간에 따른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hanges of Domestic Frying Oils by Thermal Oxidation)

  • 장유경;이정원;김택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118
    • /
    • 1978
  • 튀김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성 기름인 콩기름(Soybean), 옥수수기름(Corn oil), 채종유(Rapeseed oil) 및 미강유(rice bran oil)등 네가지를 선택하여 가열 시간에 따른 성분 및 물성 변화를 측정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필수 불포화지방산 : 가열하지 않는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리노레산$(C_{18}^{=2})$은 각각 53.2%, 52.0%, 53.3%, 37.4%로서 미강유의 리노레산의 함량이 가장 낮다. 48시간 가열했을 때의 리노레산의 잔존량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가 각각 23.8%, 19.7%, 14.9%, 34.1%이다. 리노렌산$(C_{18}^{=3})$의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함량은 각각 7.1%, 2.4%, 0.3%, 29.7%이고 48시간 가열후 각각 1.7%, 0.1%, 0.1%, 5.0%로 상당히 감소된다. 2. 포화 지방산 : 팔미트산과 스테아르산의 전 함량은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및 미강유의 경우 각각 12.3%, 10.8%, 11.4%, 16.9%, 이고 48시간 가열후 각각 10.8%, 10.2%, 11.2%, 15.4%로서 가열후에도 거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3. 산가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산가는 0.09, 0.13, 0.15, 0.45이고 가열시간에 따른 산가의 변화는 콩기름의 경우 제일 적게 나타났으며 미강유는 32시간, 48시간 가열에서, 채종유는 48시간 가열에서 변색 또는 불용성 때문에 산가 측정이 불가능 했다. 4. 요오드가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의 요오드가는 각각 121, 117, 117로서 거의 비슷하나 포화도가 높고 불포화도가 낮은 미강유는 요오드 가가가 100이다. 5. 과산화물가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5.6, 13.5, 54.8, 13.1이며 이중에서 채종유의 값이 불포화도가 비슷한 콩기름 및 옥수수기름에 비하여 훨씬 높은 것은 포장이 허술한 병에 보관하므로서 자연광선에 의한 산패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따라서 식용유의 경우 포장 저장 방법 및 저장 기간등이 매우 중요함을 알수 있다. 6. 점도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는 각각 48.58, 51.32, 52.46, 97.39센티스토크로 대체적으로 비슷하나 32시간 이상 가열 후에는 미강유와 채종유는 점도 측정이 불가능 할 정도로 커져 실제 튀김 조리용으로 사용이 거의 불가능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