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

검색결과 3,203건 처리시간 0.023초

경기남부 내륙지역의 민속식물자원 (The Regional Folk Plants in Southern Inland Area of Gyeonggi-do)

  • 정혜란;최경;박광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23-542
    • /
    • 2012
  • 본 연구는 경기남부 내륙지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민속식물 이용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2009년 10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9개 시 군지역의 35개소에서 주민 9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1,229장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경기남부 내륙지역에서 파악된 민속식물은 82과 200속 221종 4아종 32변종 2품종 총 259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214종류, 약용 119종류, 관상용 34종류, 목재 18종류, 염료 12종류, 유지 5종류, 향신료 3종류, 섬유 2종류, 향료 2종류, 기타 22종류로서 식용과 약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부위로는 잎, 열매, 줄기, 뿌리, 꽃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속식물에 대한 이용정보는 대부분 구전으로 습득하였으며,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80대에서 가장 낮았다.

충남 서해지역 6개 도서 지역의 식물상 연구 (The Study for the Flora of 6 Islands Area in the Western Sea of Chungnam Province)

  • 문애라;김현준;박정미;강신호;장창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5-122
    • /
    • 2012
  • 본 조사는 당진, 서산, 태안, 홍성, 보령, 서천 등 충남 도서지역의 관속식물 분포를 연구하기 위해 2010년 3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하였으며,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 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105과 326속 454종 4아종 45변종 9품종으로 총 51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내의 한국특산식물은 벌개미취, 키버들, 좀땅비싸리, 태안원추리, 새끼노루귀, 고광나무 등 총 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목련, 모감주나무, 먹넌출, 갯방풍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I등급종은 50분류군, II등급종은 1분류군, III등급종은 11분류군, IV등급종은 4분류군, V등급종은 3분류군으로 총 6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와 관련한 연구 결과에 의한 기준으로 보면 남방계가 14분류군, 북방계가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7과 4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조사된 전체 소산 식물목록 중 약 9.1%를 차지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군락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 주변 도서지역의 식생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도서지역 간에 정기적으로 여객선이 오가며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종수가 증가하고, 주변 도서지역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지역 사찰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ts Used as Temple Food in Jeju Island)

  • 송정민;양효선;선병윤;김철환;도선길;김영주;송관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472
    • /
    • 2012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사찰에서 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5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수행되었다. 조사대상 사찰은 36개 사찰이었고 설문대상자는 58명이었다. 사찰에서 이용하는 식물종은 27과 51속 55종 2변종 총 57분류군이었다. 이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과단위 분류군은 국화과가 8종으로 가장 많고, 십자화과 6종, 산형과 4종 등의 순이었으며, 목본 식물은 10종, 제주지역 자생식물은 25종이었다. 식물체의 이용부위는 잎을 사용하는 종이 19종으로 가장 많았고, 뿌리, 어린순, 열매 순 이었다. 특허검색을 통한 지식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식물은 조사식물 대부분이 포함되었고, 이 중 식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48종, 화장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것이 34종, 의약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38종으로 집계되었다. 제주지역 사찰 음식에 사용하는 식물재료의 구입 및 조달 방법은 주변의 식물 활용보다는 시장 또는 재배에 의존하고, 산나물 채취에 의한 사용은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제주 생물자원의 이용에 대한 전통지식의 수집은 사찰 보다는 다른 조건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강원도 남부지역의 민속식물 (The Folk Plants in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 정규영;박명순;남보미;정대희;이철호;신연희;김현준;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9-394
    • /
    • 2011
  • 본 연구는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9개시 군지역의 32개소에서 주민 8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1,103장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파악되고 수집된 민속식물은 총 92과 222속 274종 2아종 29변종 6품종의 총 31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227종류, 약용 174종류, 관상용 14종류, 유지 5종류, 향신료 5종류, 염료 4종류, 섬유 1종류, 향료 1종류, 연료 1종류, 기타 32종류로서 식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 부위로는 잎, 뿌리, 열매,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은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80대에서 가장 낮았다.

남해안 및 제주도 일대 해안사구의 자원식물상 (The Plant Resources of the Sand Dune on Southern Coast and Jeju Island, Korea)

  • 오승환;김혁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74-387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 일대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유관속식물을 대상으로 2006년 2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내에 분포하는 식물은 51과 130속 152종 1품종 18변종 등 총 171분류군으로 관찰되었으며, 주요 출현종은 Calystegia soldanella(갯메꽃), Ischaemum anthephoroides(갯쇠보리), Imperata cylindrica va. koenigii(띠), Vitex rotundifolia(순비가나무), Carex pumila(좀보리사초), Carex kobomugi(통보리사초) 등으로 나타났다. 본 지역에서 조사된 171종류의 식물자원의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113종류의 자원식물이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dible source, E)은 73종류(40.5%), 약용자원(Medicinal source, M)은 61종류(33.9%), 초지자원(Pasture source, P)은 22종류(12.2%), 관상자원(Ornamental source, O)은 16종류(8.9%), 섬유자원 (Fiber source, F)은 7종류(3.9%), 목재자원(Timber source, T)은 1종류(0.5%)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1분류군이 조사지역내 분포하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 III IV V등급 식물은 24과 28속 29분류군으로 소산식물 171분류군의 16.9%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9과 16속 19분류군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 271종류의 7.0%이다.

포도산(경북 영양)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Podosan (Yeongyang, Gyeongbuk))

  • 정규영;박명순;정수영;이선희;최하나;남보미;이유미;최혁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1-291
    • /
    • 2008
  • 본 연구는 경북 영양군 포도산(해발 748m, 북위 $36^{\circ}$ $31^{\prime}$ $79.1^{\prime\prime}$$\sim$$36^{\circ}$ $30^{\prime}$ $16.8^{\prime\prime}$, 동경 $129^{\circ}$ $12^{\prime}$ $43.8^{\prime\prime}$$\sim$$129^{\circ}$ $14^{\prime}$ $07.1^{\prime\prime}$)의 관속식물 분포와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7년 5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88과 267속 384종 4아종 43변종 6품종의 437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11종류, 약용 229종류, 공업용 85종류, 관상용 71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105종 류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13종류, IV등급 4종류, 귀화식물이 17종류로서 귀화율은 3.9%, 도시화지수는 6.3%로 나타났다.

공덕산(경북 문경)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Gongdeoksan (Mungyeong, Gyeongbuk))

  • 정규영;박명순;정수영;이선희;최하나;남보미;이유미;최혁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0-280
    • /
    • 2008
  • 본 연구는 경북 문경시 공덕산(해발 913m, 북위 $36^{\circ}$ $46^{\prime}$ $37.5^{\prime\prime}$${\sim}$$36^{\circ}$ $43^{\prime}$ $61.0^{\prime\prime}$, 동경 $128^{\circ}$ $15^{\prime}$ $00.3^{\prime\prime}$$\sim$$128^{\circ}$ $17^{\prime}$ $57.9^{\prime\prime}$)의 관속식물 분포와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7년 5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86과 279속 374종 4아종 44변종 7품종의 총 429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33종류, 약용 297종류, 공업용 113종류, 관상용 111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43종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5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이 1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5종류, IV등급 1종류, V등급 1종류, 귀화식물이 15종류로서 귀화율은 3.5%, 도시화지수는 5.5%로 나타났다.

갈라산(경북 안동시.의성군)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Gallasan (Andong-si.Uiseong-gun, Gyeongbuk))

  • 정규영;박명순;남보미;홍기남;장진;정형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9-114
    • /
    • 2010
  • 본 연구는 경북 안동시 갈라산(해발 596.2 m, 북위 $36^{\circ}29'396"{\sim}36^{\circ}29'356"$, 동경 $128^{\circ}43'841"{\sim}128^{\circ}45'799"$)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6년 4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2과 273속 365종 2아종 47변종 10품종의 총 424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39종류, 약용 291종류, 공업용 109종류, 관상용 135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24종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 II급이 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7종류, IV등급 1종류, V등급 2종류,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이 1분류군, 위기종이 3분류군, 취약종이 2분류군, 귀화식물이 23종류로 나타났다.

박지산(강원 평창)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Bakjisan (Pyeongchang-gun, Gangwon))

  • 정규영;박명순;남보미;홍기남;장진;남기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9-98
    • /
    • 2010
  • 본 연구는 강원 평창군 박지산(해발 1,394 m, 북위 $36^{\circ}35'068"{\sim}36^{\circ}34'713"N$, 동경 $128^{\circ}36'245"{\sim}128^{\circ}36'252"$)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8년 4월 부터 2008년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5과 304속 439종 4아종 53변종 6품종의 502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48종류, 약용 263종류, 공업용 98종류, 관상용 138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98종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13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 II급이 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22종류, IV등급 13종류, V등급 6종류,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이 2분류군, 위기종이 4분류군, 취약종이 7분류군, 귀화식물이 18종류로 나타났다.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 심현보;조원범;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4-276
    • /
    • 2009
  • 본 연구는 한반도산 염생식물 분포를 밝히기 위해 해안 염습지와 사구 95지역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남한의 해안과 섬지역 등에서 21과 44속 57종 4변종 1품종 등 62 염생식물이 기록되었다. 이 중 33분류군은 사구에 자라며, 나머지 29분류군은 염습지에 자라는 식물이다. 61지역이 조사된 서해안에는 58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이들 중 염습지에서는 나문재, 칠면초, 갈대, 갯잔디, 천일사초가, 사구에서는 수송나물, 갯완두, 갯길경, 갯메꽃이 많이 발견되었다. 한편 15지역이 조사된 남해안에는 서해안 보다 적은 45분류군이 분포하였다. 13지역이 조사된 동해안에는 44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흔히 발견된 식물은 수송나물, 갯완두, 갯메꽃으로 모두 사구식물이다. 해란초는 한반도에서는 동해안에서만 조사되었다. 6 지역이 조사된 제주도에는 30분류군이 분포하였다. 해녀콩은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한국산 염생식물 중 약 절반은 12종의 명아주과, 12종의 벼과, 7종의 국화과 등 3과에 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