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 strength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Washing and Additives on Gel Formation of Squid Surimi

  • LEE Nahm-Gull;CHO Young-Je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54-760
    • /
    • 1996
  • Effects of washing and additives on the texture of squid surimi gel which has been known to hard to gelation due to high protease activities and many water solubles were studied by SDS-PAGE, compression test, jelly strength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TEM). Myosin (205 kDa) heavy chain was the major protein in water soluble fractions. It was impossible to make a gel after washing of the minced squid mea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quid (Todarodes pacificus) minced meat does not need a washing for good jelly products. $3.0\%$ of bovine plasma protein (BPP) produced the hardest gel ($16\%$ harder than the control) among the additives including egg white (EW), potato extracts (PE) and transglutaminase-K (TG-K) by compression test (P>0.05). Microstructure of control, $2\%$ EW and $4\%$ TG-K treated gels showed a sponge-like structure with more vacant space. Gels containing $3\%$ BPP formed the most rigid and arranged networks. Those results indicates that poor gel-network formation Was due to the degradation of myofibrillar proteins by proteases contained in the minced meat, which result in non-interlinkage.

  • PDF

고전장하에서 제조된 PVA/Gelatin 블렌드막의 구조와 팽윤거동 (Morphology and Swelling Behaviors of PVA/Gelatin Blend Membranes Prepared Under High Electric Field)

  • 허양일;윤형구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63-567
    • /
    • 2006
  •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gelatin(GEL)과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poly(vinyl alcohol)(PVA)로 이루어진 블렌드막을 $3{\sim}10kV$의 고전장하에서 용액 캐스팅 법에 의해 제조하였고, 막중에 형성되는 미세한 domain 구조의 배향에 미치는 전장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5 kV이상의 높은 전장하에서 제조된 막의 경우 SEM 사진으로부터 막중의 GEL domain이 전장인가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는 제막 중 상분리된 두 상의 계면장력 감소에 기인한 Maxwell의 정전 분산 효과에 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고전장 인가시 전극 판에서 발생하는 열과 GEL domain의 연신 배향 효과에 의해 PVA/GEL 블렌드막의 결정화도가 증가하는 것을 WAXD와 팽윤거동 관찰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Effect of Moisture Absorption and Gel-coating Proces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Basalt Fiber Reinforced Composite

  • Kim, Yun-Hae;Park, Jun-Mu;Yoon, Sung-Won;Lee, Jin-Woo;Jung, Min-Kyo;Murakami, Ri-Ichi
    • International Journal of Ocean System Engineering
    • /
    • 제1권3호
    • /
    • pp.148-154
    • /
    • 2011
  • Generally, strength degradation is caused by the absorption of moisture in composites. For this reason, a fracture is generated in the composites and traces of glass fiber degrade human health and physical damage is generat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mechanical properties change of composites by moistureabsorption. The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with and without the Gel-coating process and were immersed in a moisture absorption device at $80^{\circ}C$ for more than 100 day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oistureabsorption composites and the composites which dry after moisture-absorption were compared. The mechanical properties degradation of basalt fiber composit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moistureabsorption was smaller than that of glass fiber composites by about 20%. In addition, the coefficient of moisture absorption was lower for the case of Gel-coating processing than the composites without the Gel-coating process by about 2% and it was deduced that Gel-coat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감압 알칼리 수세하여 제조한 고등어 Surimi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ckerel Surimi Prepared by Alkaline Washing under Reduced Pressure)

  • 박형선;박상우;양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20-1127
    • /
    • 1998
  • 고등어 surimi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감압수세장치를 설계 제작하고 이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 상압과, 560 및 660 mmHg의 감압 하에서 각각 1, 3, 5 및 7회 알칼리 수세하고 압력 및 수세횟수에 따른 고등어 surimi의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설계 제작한 감압수세장치는 연속수세가 가능하였으며 양질의 surimi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전체의 수세조건을 통하여 surimi의 수분함량은 $72.0{\sim}72.9%$, 조지방 $4.8{\sim}5.7%$ (수세하지 않은 것, 7.0%), pH $6.9{\sim}7.0$ (수세하지 않은 것, 6.0), VBN $6.9{\sim}7.0\;mg/100\;g$ 및 가압드립 $6.7{\sim}8.3%$이었으며, 단백질 추출성은 560 mmHg, 5회 수세 시 염용성, 수용성 및 기질 단백질추출성이 각각 3,694, 6,036 및 1,424 mg/100 g으로써 각각 가장 높았다. $Mg^{2+}-$$Ca^{2+}-ATPase$ 활성은 560 mmHg, 5회 수세 시 각각 0.25 및 $0.17\;{\mu}mol\;Pi/min/mg$ actomyosin으로써 가장 높았다. Setting gel의 TGase 활성은 560 mmHg, 5회 수세 시 3.932 nmol/mg이었으며 gel 강도는 setting gel 및 cooked gel에서 각각 420 g cm (상압, 320 g cm) 및 485 g cm (상압, 412 g cm)로써 각각 가장 높았다. 전반적으로 보아 고등어 surimi 제조를 위한 가장 적합한 수세조건은 760 mmHg, 660 mmHg 및 560 mmHg 압력 중 560 mmHg의 감압 하에서 5회 반복 수세하는 것이었다.

  • PDF

가열에 의한 명태 연육의 Gel화에 관한 연구 -2. Gel화에 따른 연육내의 물의 거동- (Thermally Induced Gelation of Alaska pollack Meat Paste -2. The states of water in meat paste by gelation-)

  • 정우진;박성민;이강호;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0-234
    • /
    • 1993
  • 어육연제품의 제조시 가열에 의한 gel화 및 물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와 thermal gravimetric analyzer(TGA)에 의한 gel중의 물의 거동에 대해서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DSC에 의한 물의 거동을 살펴본 결과, $105^{\circ}C$를 경계로 하여 속박상태가 다른 2가지의 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R_{105}$값과 gel강도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 (r=0.93)가 있었다. TGA에 의한 gel중의 물의 거동을 해석한 결과, 증발속도에 기인하는 3가지 상태의 물이 존재하였으며, 증발속도가 낮은(강하게 속박된) 물과 gel강도 간에는 아주 높은 상관관계(r=0.99)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물의 존재상태와 물성 간에는 아주 깊은 상관성이 있어 물의 존재상태를 측정함으로써 그 물성을 예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력도 동시에 측정할 수가 있으므로TGA에 의한 해석은 어육 연제품의 물성을 연구하는 경우에 아주 유용한 수단으로 생각되었다.

  • PDF

무시멘트 결합재를 사용한 지반 그라우팅용 약액주입재의 특성 (Properties of Liquid Chemical Grouting Material for Soil Grouting using Non-cement Binder)

  • 이재현;김용로;김규용;윤성진;문경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5-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무시멘트 결합재(NCB)를 사용한 지반 그라우팅용 약액주입재의 B액 결합재의 종류, 결합재의 W/B 및 A액과 B액의 부피비에 따른 겔타임 및 호모겔강도의 변화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무시멘트 결합재의 지반 그라우팅용 결합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무시멘트 무기결합재는 당사에서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고로슬래그 기반의 친환경 무기결합재로서 화학조성비가 다른 NCB-1, 2, 3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및 현장 적용성 분석 결과, 겔타임 및 호모겔강도의 요구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결합재 종류별 W/B 및 A액과 B액의 부피비가 도출되었으며, W/B가 100~140%, A : B가 50 : 50~30 : 70인 조건에서 급결구간 및 중결구간의 경우 NCB가 OPC 대비 동일한 겔타임 수준에서 호모겔강도의 확보가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어 NCB의 지반 그라우팅용 결합재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방사선에 의한 키토산을 포함하는 PVA와 PVP 하이드로겔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gels of PVA and PVP Containing Chitosan by Radiation)

  • 박경란;노영창
    • 폴리머
    • /
    • 제25권5호
    • /
    • pp.728-73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60}cO$ 방사선 (${\gamma}$-rays) 가교를 이용하여 PVA/키토산과 PVP/키토산의 혼합물로부터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이 상처 치료용 드레싱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예측하기 위해 겔화율, 팽윤도, 겔강도같은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PVA와 키토산 및 PVP와 키토산의 비는 97 : 3 ~ 90 : 10이고, PVA/키토산 및 PVP/키토산 용액의 고형분의 농도는 15wt% 이었다.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성질에 조사선량이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PVA/키토산 및 PVP/키토산 혼합물에 25~70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겔화율과 겔강도는 키토산 조성비가 작을수록, 조사선량이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팽윤도는 키토산 조성비가 클수록, 조사선량이 작을수록 증가하였다.

  • PDF

구내염증 치료용 구강점막 필름제의 제제설계와 약제학적 성질 (Formulation and Pharmaceutical Properties of Mucoadhesive Film Containing Dipotassium Glycyrrhizate)

  • 이계주;이덕근;신광현;박종범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9권2호
    • /
    • pp.127-136
    • /
    • 1999
  • In order to eliminate demerits of conventional dosage forms, dipotassium glycyrrhizate was formulated as a slim mucoadhesive film type dosage form. The mucoadhesive drug layer gel containing dipotassium glycyrrhizate was prepared using $Noveon^{\circledR}$ AA-1, hydroxypropylcellulose-M, ethylcellulose N 100 and citric acid, and the protective layer gel by using ethylcellulose N 100, $Eudragit^{\circledR}$ RS and castor oil. The viscosity of drug layer gel of mucoadhesive film was enhanced as the increased amount of $Noveon^{\circledR}$ AA-1 or hydroxypropyl cellulose-M. The drug content was unifonnly $1160{\pm}14.6\;{\mu}g$, and was varied within 3.5%. The optimum film dosage form showed a good fluidity and malleability of drug layer, with 179 g of thickness, pH 5.7, 411 min of in vitro adhesion time and 172 g in gravity adhesive strength. The release time of drug from the mucoadhesive film was significantly shorter but was delayed when polymers such as ethylcellulose was added. From these results, the new mucoadhesive film may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aphthous stomatitis.

  • PDF

태양전지 효율 향상용 졸-겔 법에 의한 반사방지 코팅막의 제조 (Preparation of the Anti-Reflective(AR) Coating Film by Sol-Gel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olar Cell)

  • 김효섭;김영호;최재윤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45-15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paration of anti-reflective (AR) coating fil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olar cell. The AR coating film was successfully obtained by dip-coating with AR coatings prepared by sol-gel method. Fluoroalkylsilane was additionally introduced into the coatings to give the self-cleaning effect of AR coating film. We performed the abrasion test, pencil scratch hardness test and cross-cut test to identify the mechanical strength of AR coating film. As the results, the transmittance of AR coating films with 9.07, 18.13 and 27.20 of IPA/MTMS molar ratios were 93.1, 93.6 and 95.3%, respectively. The water contact angle and transmittance of AR coating film increased by the introduction of hydrophobicity. The prepared AR coating film shows the high level of abrasion, hardness and adhesion. The IPA/MTMS molar ratio of 27.20 and the withdrawing speed range of 0.20 ~ 0.28cm/sec are the optimal coating condition in terms of the transmit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of AR coating film.

졸-겔법에 의한 PVA/Silica 하이브리드 필름의 제조 및 특성 (Properties and Preparation of PVA/Silica Hybrid Films by Sol-Gel Method)

  • 김태형;이진화;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7-322
    • /
    • 1999
  • Transparent films were prepared using the sol-gel process by mixing TEOS with PVA solution that was solved in EtOH and distilled water homogeneously. HCl, $CH_3COOH$ and $NH_4OH$ were used as catalysts of the sol-gel process, and for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films glycerol was used as plasticizer. In case of each catalyst, transparency and tensile strength were increased,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was shifted to higher temperature with increasing TEOS ratio. Also, in case of adding the plasticizer, the flexibility of films was increased. On the contrary, transparency, thermal stability and tensile strength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HCl and $NH_4OH$ ratio. Also, the range of being made of film type was expanded when $CH_3COOH$ was used than HCl and $NH_4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