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trointestinal transit rat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7초

귤나무 과피 유래 한약재 주정 추출물의 위장관 운동 촉진 효과 (Prokinet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Dried Citrus unshiu Peels in Mice)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0-265
    • /
    • 2014
  • 귤나무(Citrus unshiu)의 과피를 말린 한약재인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NP)는 오래 전부터 대한민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위장관 운동 관련 질환의 치료에 전통적으로 쓰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진피 주정 추출물(ANP-E)을 제조하여 실험하였는데, 우선 ANP-E는 5 g/kg의 고용량을 mouse에 경구 투여하였을 때에도 급성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ANP-E가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cisapride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mouse를 대상으로 위장관 이송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Cisapride는 20세기 말까지 다양한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 임상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던 최고의 위장관 운동 촉진제였으나,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인하여 2000년 이후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이다. 실험 결과, ANP-E는 정상 및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위장관 운동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NP-E의 위장관 운동 촉진 효과를 cisapride와 비교해 보면, 정상 mouse에서는 cisapride와 거의 대등한 위장관 이송률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는 cisapride보다 약효 및 안전성 측면에서 모두 비교 우위를 점하는 강력한 위장관 운동 기능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ANP-E가 인간의 위장관 운동 기능 저해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롭고 강력한 신약 후보 물질이자, 아직 시장에 출현하지 않고 있는 cisapride의 대체 의약품으로서 개발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Characterization of Lactic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Raw Milk

  • Kim, Hyun-jue;Shin, Han-seung;Ha, Woel-kyu;Yang, Hee-jin;Lee, Soo-w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131-136
    • /
    • 2006
  • During lactic acid bacteria (LAB) transit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gested microorganisms were exposed to successive stress factors, including low pH in the human stomach and in bile acid. These stress factors can be used as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a viable probiotic strain. Four such strains (Lactobacillus helveticus SGU 0011, Lactobacillus pentosus SGU 0010, Streptococcus thermophilus SGU 0021 and Lactobacillus casei SGU 0020) were isolated from raw milk. When the identified LAB were exposed to synthetic gastric juice, whereas L. casei SGU 0020 and S. thermophilus SGU 0021 exhibited a 0% survival rate, L. helveticus SGU 0011 and L. pentosus SGU 0010 exhibited 60% and 95% survival rates. L. casei SGU 0020 and S. thermophilus SGU 0021 could not be examined with regard to their tolerances to artificial bile juice, as they uniformly died upon exposure. However, L. helveticus SGU 0011 and L. pentosus SGU 0010 individually survived at rates of 39% and 93%. Also, all four of these strains were confirmed to be tolerant of ten different antibiotics.

Soybean isoflavone extract improves glucose tolerance and raises the survival rat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Shim, Jee-Youn;Kim, Kwang-Ok;Seo, Bo-Hyun;Lee, Hye-S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4호
    • /
    • pp.266-272
    • /
    • 2007
  •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various dosages of soybean isoflavone extract on body weight changes, glucose tolerance and liver 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One group of normal rats (normal control) was fed an AIN-76-based experimental diet and four groups of diabetic rats were fed the same diet supplemented with four different levels of soybean isoflavone extract for seven weeks. The daily dosages of pure isoflavone for four diabetic groups were set to be 0 mg (diabetic control), 0.5 mg (ISO-I), 3.0 mg (ISO-II) and 30.0 mg (ISO-III) per kilogram of body weight, respectively. The daily consumption of isoflavone at the level of 3.0mg per kilogram of body weight resulted in the suppression of body weight loss and increased the survival rate of diabetic animals one and half times compared to that of the diabetic control group. Blood glucose levels in a fasting state and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of gluco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ISO-II group during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The ISO-II group showed a tendency to elongate the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 The activity of serum aminotransferases, indicator of liver function, was not negatively affected by any intake level of isoflavon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oybean isoflavone extract may be beneficial to diabetic animals by improving their glucose tolerance and suppressing weight loss without incurring hepatotoxicity at the daily dosage of 3.0 mg per kg of body weight.

용담 추출물의 위장관 운동 촉진 활성 (Prokine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Dried Rhizomes and Roots of Gentiana scabra Bunge in Mice)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35-739
    • /
    • 2019
  • 용담(Gentiana scabra)의 근경 및 뿌리를 말린 한약재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각종 염증성 피부 질환,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염, 당뇨병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의학에서 널리 처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용담이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용담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마우스에서 in vivo 위 배출 속도 및 위장관 이송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 배출 속도는 용담 열수 추출물 1 g/k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위장관 이송률은 용담 열수 추출물 0.1 및 1 g/kg 투여 시, 그리고 용담 에탄올 추출물 1 g/k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 추출물 모두 용량 의존적 증가 양상을 보였다. 더욱이, 용담 열수 추출물 1 g/kg 투여 시의 위장관 이송률은, 1990년대까지 임상에서 가장 강력한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쓰였으나 2000년 이후 부작용으로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인 cisapride 투여 시보다 그 수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용담 열수 추출물이 잠재적으로 cisapride를 대체할 수 있는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개발 가능한 후보 물질임을 시사한다.

당근과 무의 단세포물 섭취가 흰쥐의 배변특성, 무기질 흡수율 및 소장과 대장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Cells of Carrot and Radish on the Fecal Excretion Properties, Mineral Absorption Rate and Structure of Small Intestine and Colon in Rats)

  • 박용곤;강윤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05-511
    • /
    • 2004
  • 당근, 무 단세포물이 흰쥐의 배변특성, 무기질 흡수율 및 소장과 대장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5% 배합비에 해당하는 건조한 단세포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이를 급여 후 무기질 흡수율, 변의 중량과 미세구조, 장 통과 시간, 소장과 대장의 무게 및 길이 등을 측정하였다. 당근, 무 생시료와 이들 단세포물의 식이섬유 함량과 조성을 분석한 결과 건물량 기준으로 생시료 건조물의 경우 당근은 총식이섬유 함량이 28.76%,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21.45%였으며, 무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23.14%,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16.77%였다. 단세포물의 경우 당근은 총식이섬유 함량이 44.68%, 불용성식이섬유 함량이 40.16%였으며, 무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48.0%, 불용성식이섬유 함량이 45.79%였다. 당근, 무와 같은 채소류의 단세포물은 불용성 식이섬유의 좋은 급원이었다. 32마리의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조군, 섬유소군, 당근 단세포물군 및 무 단세포물군 등 4개의 처리군으로 구분하여 5% 단세포물이 함유된 식이를 4주간 급여하였다. 무기질 중 Mg의 흡수율은 대조군에 비해 당근과 무 단세포물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섬유소 급여는 변의 양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지질소화율은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대장의 길이는 다른 군에 비해 당근과 무 군이 유의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소장 융모 관찰 결과 섬유소와 단세포물급여군의 융모에서 수는 적고 잎모양의 돌림주름이 조밀하게 발달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당근과 무의 단세포물 5%급여는 식이섬유 흡수율을 증가시키고, 체중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의 식이섬유 증가와 장통과 시간을 단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변비와 관련된 배변특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거대배아미 식이에 의한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the Giant Embryonic Rice Supplementation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연리;남석현;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27-431
    • /
    • 2006
  • 췌장에 ${\beta}-cell$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고 다른 기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streptozotocin을 흰쥐에게 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다음 백미, 현미, 거대배아미를 6주간 급여한 후 혈당강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기간동안 모든 당뇨군들의 체중증가는 정상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당뇨대조군에 비해서는 거대배아마를 급여한 군에서 체중감소현상이 억제되었다. 장기중 맹장의 경우 2배 이상의 비대현상이 나타났고 정상쥐에 비해 당뇨쥐가 수분섭취량, 소변배설량, 혈당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당뇨병의 주요 증세가 다갈(polydipsia), 다뇨(polyuria), 다식(polyphagia), 고혈당인점에서 당뇨군에 비해서 가대배아미는 당뇨증세가 어느 정도 호전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식이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실험군들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이 수분 섭취량증가가 나타났다. 당뇨실험군 내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가대배아미군이 수분섭취량이 감소하였다. 뇨 배설량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당뇨대조군에 비해서 거대배아미군이 감소하였다. 장 기능 조절로서 장통과 시간과 분변고형물의 양에는 역의 상관관계로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높은 쌀 품종인 거대배아미는 장통과 시간이 짧으며 분변고형물의 양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변의 수분보유량도 정상군에 비해 당뇨실험군들중 거대배아미군 전반적으로 높았다. 위 결과에서 거대배아미 급여가 당뇨동물의 공복시 혈당 수준을 유의적으로 낮추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이당류 분해 효소 활성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서 당뇨군이 lactase, maltase, sucrase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 되었지만 당뇨실험군중에는 거대배아미가 소장점막부분의 lactase, maltase, sucrase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서 혈당상승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백미, 현미에 비해서 거대배아미를 급여한 당뇨동물에서 혈당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았다.

Performance Responses,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and Measures of Gastrointestinal Health in Weanling Pigs Fed Protease Enzyme

  • Tactacan, Glenmer B.;Cho, Seung-Yeol;Cho, Jin H.;Kim, In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998-1003
    • /
    • 2016
  • Although exogenous protease enzymes have been used in poultry diets quite extensively, this has not been the case for pig diets. In general, due to their better gut fermentative capacity and longer transit time, pigs have greater capacity to digest dietary proteins than poultry. However, in early-weaned piglets, the stress brought about by weaning adversely affects the digestion of dietary proteins. Therefore,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commercial protease enzyme in weanling pigs. Indices of growth,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fecal microflora, fecal gas emission and fecal scores were measured during the study. A total of 50 weanling pigs ($6.42{\pm}0.12kg$) at 28 d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1 of 2 dietary treatments: i) control diet (corn-soy based) with no supplemental protease (CON), and ii) control diet+200 g/ton protease (PROT) for 42 d.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onsisting of 2 treatments, 5 replicates, and 5 pigs in each replicate was used. Growth performance in terms of body weight ($27.04{\pm}0.38kg$ vs $25.75{\pm}0.39kg$; p<0.05) and average daily gain ($491{\pm}7.40g$ vs $460{\pm}7.46g$; p<0.05) in PROT fed pig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gain per feed ($0.700{\pm}0.01$ vs $0.678{\pm}0.01$; p>0.05) was similar between treatments at d 42. Relative to CON pigs, PROT fed pigs had increased (p<0.05)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84.66%{\pm}0.65%$ vs $81.21%{\pm}1.13%$ dry matter and $84.02%{\pm}0.52%$ vs $80.47%{\pm}1.22%$ nitrogen) and decreased (p<0.05) $NH_3$ emission ($2.0{\pm}0.16ppm$ vs $1.2{\pm}0.12ppm$) in the feces at d 42. Except for a decreased (p<0.05) in blood creatinine level,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red blood cell, white blood cell, lymphocyte, urea nitrogen, and IgG concentrations between treatments. Fecal score and fecal microflora (Lactobacillus and E. coli) were also similar between CON and PROT groups. Overall, the supplementation of protease enzyme in weanling pigs resulted in improved growth rate and nutrient digestibility. Exogenous protease enzyme reduced fecal $NH_3$ emission, thus, potentially serving as a tool in lowering noxious gas contribution of livestock production in th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