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trocnemius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24초

Salvianolic acid B가 고강도 운동부하에 의한 흰쥐 골격근과 뇌조직의 Oxidative Stres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vianolic Acid B Against Oxidative Stress in Skeletal Muscle and Brain Tissue following Exhaustive Exercise in Rats)

  • 이현준;강성한;권수현;김대경;김지호;문지홍;신정원;이종수;손낙원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99-106
    • /
    • 2016
  • Objectives : Salvianolic acid B (SAB) is an active ingredient in Salvia miltiorrhiza frequently used for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SAB on the skeletal muscle and the brain tissue of rats following exhaustive exercise.Methods : The rats were treated with oral administration of SAB (30 mg/kg) daily for 5 days prior to the exhaustive exercise. The exhaustive exercise was performed as swimming for 150 min with 5% body weight attached to the tail on the 5th day. The antioxidant effects of SAB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uperoxide generation in the gastrocnemius and the 4-HNE expression in the hippocampal tissue. In addition, c-Fos-expressing cells in the brain tissue was observed using immunohistochemistry.Results : Histological features and muscle fiber type composition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SAB group and the exhaustive exercise group. SAB significantly reduced the upregulation of superoxide generation in the muscle tissue. SAB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rease of c-Fos-expressing cells in the cerebral cortex, paraventricular thalamic nucleus, dorsomedial hypothalamic nucleus, the CA1, CA3, and DG regions of hippocampus. SAB significantly reduced the upregulation of 4-HNE expression in the CA1 and DG regions of hippocampus caused by the exhaustive exercise.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SAB exerts antioxida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the skeletal muscle and the brain tissue following exhaustive exercise, while SAB may has an anti-stress effect on stress responses in the brain.

하지 근육의 피로상태 동안 높은 굽 신발에 적용한 전면접촉인솔이 젊은 여성의 보행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igh-Heeled Shoes With Total Contact Inserts in the Gait Characteristics of Young Female Adults During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 고은혜;최흥식;김택훈;신헌석;권오윤;최규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5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gait characteristics, kinematics, and kinetics in the lower extremities between two different shoe conditions (high heeled shoes (7 cm), and high heeled shoes with a total contact insert (TCI)) after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Although TCI shave been applied in high heeled shoes to increase comfort and to decrease foot pressure, no study has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CI in fatigue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alking in high heeled shoes with TCI after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was induc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motion analysis laboratory at Hanseo University. A volunteer sample of 14 healthy female subjects participated. All in fatigue condition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uscle fatigue was induced by 40 voluntary dorsi- and plantar-flexion exercises and 40 heel-rise exercises of the dominant foot.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confirm the localized muscle fatigue using power spectral analysis of three muscle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medialis and lateral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muscle fatigue conditions, the use of TCI decreased the peak flexion angle of the hip joint significantly in the early stance phase (p<.05) and increased the peak hip flexion moment in the terminal stance phase (p<.05). (2) In muscle fatigue conditions, the application of TCI also increased peak hip power generation in the early stance phase and peak hip power absorption in the terminal stance phase (p<.05). (3) In muscle fatigue conditions, the use of TCI reduced the impact force significantly and increased the secondary peak vertical GR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CI may provide beneficial effects when muscle fatigue occurs for a high heeled shoe gait. Future research employing the patient population and various types of TCI material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effects of TCI.

  • PDF

보행시 발과 족관절의 운동학적 분석 (Kinetic Analysis of The foot and ankle during walking)

  • 이윤섭;신형수
    • PNF and Movement
    • /
    • 제4권1호
    • /
    • pp.45-50
    • /
    • 2006
  • 발뒤꿈치 닿기 시 족관절은 약간 족저굴곡 위치에 있다가 발바닥 닿기까지 족저굴곡이 진행된다. 몸체가 지지하는 중간입각기동안 빨리 배굴로 변하고 입각기 말기에 발뒤꿈치 떼기 후에는 다시 저굴이 일어난다. 유각기의 시작인 발가락 떼기에서는 저굴이 되다가 유각기 중기에는 배굴로 바뀌고 발뒤꿈치 닿기에서는 약간 저굴로 변한다. 후족부의 운동은 발뒤꿈치 닿기 시에 편안히 서있을 때보다 더 회내되어 있고 발뒤꿈치 닿기 직후는 회내되고 중간입각기동안 다시 회내되는 양상을 보인다. 발끝떼기 시에 최대로 회내가 이루어진다. 발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요소는 체중과 지면 반발력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족관절 저굴은 뒤꿈치에 의한 초기 바닥 닿기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대부분의 최후 $10^{\circ}$는 짧은 발의 떨어짐으로 일어난다. 경골 전면 근육들의 활동은 동작을 유의하게 제한하고 즉각적으로 나타난다기보다는 오히려 보행주기에 8% 지점까지 전족에 의한 바닥접촉을 지연시킨다. 떨어지는 체중은 점차감소되고 두 번째로 충격을 흡수하는 기전은 슬관절에서 흡수한다. 위와 같이 보행 시에 발과 족관절의 운동성은 다양하다. 그러나 아직 임상에서는 발과 족관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발의 역학적인 범위의 다양성과 발의 내적인, 외적인 부하 사이의 관련성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폴 사용 여부와 걷는 지속시간 경과가 오르막 걷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king Poles and Steady Walking Time on Up-hill Walking)

  • 서정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7-235
    • /
    • 2009
  • 본 연구는 등산 폴 사용 여부와 걷는 지속시간 경과가 오르막 걷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7명의 피험자가 동원되었고, 각 피험자들은 45분 동안 오르막 25%로 세팅된 트레드밀 위에서 3.5km/h의 속도로 폴 사용 여부에 따른 2회의 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대퇴직근, 전경골근, 비복근, 대퇴이두근 등을 포함한 하지의 대표적인 4개 근육들에 대한 활동량이 EMG를 통해 획득되었고, 피험자의 심박수와 주관적 운동자각도가 15분 간격으로 기록되었다. 등산 폴 사용 여부와 걷는 지속시간이 경과됨에 따른 이러한 변인들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원 급내 분산분석이 사용되었고, 이 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4개의 개별 근육에 대한 적분근전도는 조건에 따라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4개 근육을 합한 적분근전도는 폴을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작게 나타났고,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심박수는 폴 사용 여부에 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걷는 지속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운동자각도의 경우, 폴을 사용했을 때가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더 적게 나타났고, 걷는 지속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구 자유투 동작 시 숙련자 및 미숙련자의 근전도 및 지면 반력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uscle Activity and Ground Reaction Force between Skilled and Unskilled Player during a Free Throw)

  • 구형모;채원식;강년주;윤창진;장재익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7-35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농구 자유투 동작 시 근전도 분석 및 지면 반력 분석을 통해 숙련자와 미숙련자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근전도 분석을 위해 7쌍의 표면전극을 피험자의 요측수근굴근, 장요측수근신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대퇴직근, 전경골근, 내측 비복근, 접지전극은 상전장골근에 부착하였다. 두 대의 지면반력기를 통해 전 후, 좌 우, 수직 방향에 작용하는 지면반력과, 압력 중심 이동을 측정하였다. 숙련자의 경우 볼을 투사하기까지 근육활동이 미숙련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근육활동을 나타내었다. 이는 자유투 동작 시 볼 을 투사하는데 있어서 숙련자가 미숙련자보다 낮은 근육활동으로도 효율적으로 볼을 투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숙련자는 불필요한 좌우 방향의 힘의 이동을 발생시켜 자유투를 안정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련자의 경우에는 원활한 전후 방향의 지면반력과 압력 중심 이동을 통해 안정적으로 볼을 투척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자유투 동작은 상지와 하지의 협응성과 유연성을 통해 안정된 슈팅 동작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간 고빈도 경피신경전기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경직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Long-Term Effects of High-Frequenc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on the Lower Limb Spasticity and the Balance in the Chronic Stroke Patients)

  • 인태성;조휘영;이순현;이동엽;이재국;송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740-1748
    • /
    • 2011
  • 본 연구는 장기간의 고빈도 경피신경전기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경직 및 균형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지에 경직이 유발된 26명의 대상자를 기본적인 재활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무작위로 TENS군(14명)과 속임 TENS군(12명)으로 배정하였다. 경피신경전기자극은 4주간 주 5회, 1회당 30분씩 경직이 유발된 양측 비복근에 적용하였다. MAS와 도수근력계를 이용하여 발목 족저굴곡근의 경직을 측정하였다. 균형의 측정은 힘판을 이용하여 세 가지 자세(눈을 뜬 상태의 기립자세, 눈을 감은 상태의 기립자세, 불안정한 면에서 눈을 뜬 상태의 기립자세)에서 누적된 자세동요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였다. 4 주간의 치료 후 양측 군 모두 경직과 균형의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p<.05). 특히, TENS군은 속임 TENS군에 비하여 경직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p<.05). 따라서 장기간 고빈도 경피신경전기자극은 뇌졸중 환자의 경직 감소와 균형 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동의 복합운동이 착지 시 하지 손상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Injury Risk Factors of Lower Extremity during Landing)

  • 하성희;류시현;김주년;길호종;류지선;윤석훈;박상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3-18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injury risk factors of lower extremity during landing. Ten sports talented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orts talented athletes participated in a combined exercise (sports talented exercise, coordination) for 16 weeks.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ight infrared cameras (sampling rate of 100 Hz), one force plate, and electromyography system (sampling rate of 1000 Hz) during landing. Kinetic, and kinematics analysis including average impulsive force, angle of lower extremity, vertical stiffness, onset of muscle activation were calculated by Matlab2009a software. Paired t-test was performed at alpha=.05. The average impulsive force in landing pha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748, p=.474). The hip joint angle was more decreased in post test compared to pre test (E1: t=2.682, p=.025, E2: t=5.609, p=.000, E3: t=2.538, p=.032). The knee joint (E1: t=-.343, p=.739, E2: t=1.319, p=.220, E3: t=.589, p=.570) and ankle joint (E1: t=.081, p=.937, E2: t=.784, p=.453, E3: t=.392, p=.704) angle were tended to decrease after combined exercise. The vertical stiffness was tended to decrease after combined exercise (t=1.972, p=.080). Onset of quadriceps femoris (t=.698, p=.503) and medial gastocnemius (t=1.858, p=.096) were tended to be faster than biceps femoris (t=-.333, p=.747) after combined exercise. Although thses finding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on a hip joint angle, risk factors of lower extremity such as joint angle, vertical stiffness and onset of quadriceps femoris, medial gastrocnemius were positively changed after the combined exercise but an additional training for improved onset of biceps femoris would be required in the future.

승마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하지 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Horse-Riding Exercise for the Stroke Patients' Muscle Thickness of Lower Extremity)

  • 김선칠;조운수;조성현
    • 재활복지
    • /
    • 제21권3호
    • /
    • pp.147-1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승마기구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하지 골격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 광역시에 위치한 A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두 그룹으로 승마기구운동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배치되었다. 승마기구운동군은 실험 기간 총 6주 동안 주 3회, 회당 20분 운동을 실시하였다. 넙다리곧은근, 앞정강근, 안쪽 장딴지근, 중간볼기근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초음파 영상촬영 장치를 사용하였다. 30명의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측정은 운동 전, 운동 6주 후에 수행되었다. 데이터의 분석은 통계적 유의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 독립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각 그룹 간 중재 전 후 차이값에 대한 근 두께의 비교에서는 네 근육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승마 운동군은 근육 두께에 대한 운동 전과 후의 비교에서 네 근육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대조군은 운동 전과 후의 비교에서 RF, GM, TA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승마기구운동은 무릎의 안정화와 하지 폄근의 활성으로 인해 하지 근두께의 향상이 나타났다.

농구동호인의 만성발목관절불안정성에 따른 한발착지패턴과 근활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e-leg Drop landing Pattern and Muscular Activity depending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among Basketball Club members)

  • 정경열;김태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81-48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농구동호인의 만성발목관절불안정성(CAI)에 따른 한발착지패턴의 변화를 확인하고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레크레이션 농구경기에 참여하고 있는 농구동호인 30명을 대상으로 국제발목협회에서 제공하는 CAI 표준 선정기준에따라 CAI집단 21명과 CON집단 9명으로 분류하였다. 한발착지패턴을 측정하기 위해 초기접촉 시점 및 무릎관절 최대 굽힘 시점에서 하지정렬과 관절 움직임을 측정하고 초기접촉 시점, 발꿈치접촉 시점 및 무릎관절 최대 굽힘 시점에서 앞정강근, 긴종아리근, 안쪽장딴지근 및 중간볼기근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간 단일 다리 드롭랜딩 시 하지정렬과 하지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CAI에 따라 한발착지패턴과 근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CAI를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경기포지션을 고려하여 움직임의 특성 및 기능적 요구의 차이를 반영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오르막보행 시 타이거스텝 하지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ger Step on Lower Extremities during Uphill Walking)

  • Kang, Jihyuk;Yoon, Sukho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23
    • /
    • 202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iger-step walking on the move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walking. Method: Twenty healthy male adults who had no experience of musculoskeletal injuries on lower extremities in the last six months (age: 26.85 ± 3.28 yrs, height: 174.6 ± 3.72 cm, weight: 73.65 ± 7.48 kg)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7-segments whole-body model (pelvis, both side of thigh, shank and foot) was used and 29 reflective markers and cluster were attached to the body to identify the segments during the gait. A 3-dimensional motion analysis with 8 infrared cameras and 7 channeled EMG was performed to find the effect of tigerstep on uphill walking. To verify the tigerstep effect, a one-way ANOVA with a repeated measure was use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5. Results: Firstly, Both Tiger-ste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tance time and stride length compared with normal walking (p<.05), while both Tiger-steps shown significantly reduced cadence compared to normal walking (p<.05). Secondly, both Tiger-steps reveal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hip and ankle joint range of motion compared with normal walking at all planes (p<.05). On the other hand, both Tiger-ste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knee joint range of motion compared with normal walking at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p<.05). Lastly, Gluteus maximus, biceps femoris, medial gastrocnemius, tibialis anterior of both tiger-step revealed significantly increased muscle activation compared with normal walking in gait cycle and stance phase (p<.05). On the other hand, in swing phase, the muscle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of both tiger-ste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walking (p <.05).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iger step revealed increased in 3d range of motion of lower extremity joints as well as the muscle activities associated with range of motion. These findings were evaluated as an increase in stride length, which is essential for efficient walking. Therefore, the finding of this study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tiger step when walking uphill, and it is thought that it will help develop a more efficient tiger step in the future, which has not been scientifically pro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