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tric injur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6초

난치성 식도협착에서의 인두-대장 문합술의 결과 (Results of Pharyngocolostomy in Intractable Caustic Pharyngeal Stricture)

  • 박충규;심영목;김진국;김관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61-566
    • /
    • 1999
  • 배경: 부식제를 삼킨후 발생하는 인두부위의 협착은 수술로 쉽지않고, 수술후 정상적인 음식물의 섭취까지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등은 이러한 환자들을 치험한 후 결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8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부식성 협착이 심하게 진행된 6례의 환자에서 식도재건술을 하였다. 부식제의 음용후 식도 재건술까지의 기간은 3개월에서 2년 4개월까지 였다. 6례에서 모두 좌측 대장을 사용하였고, 5례에서는 흉골하경로로, 1례에서는 식도열공경로로 위치시켰다. 경부 문합은, 3례에서는 갑상연골을 부분절제하여 좌측 양배꼴동에 문합하였고, 3례에서는 하인두수축근의 후외측에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후 합병증은 연하곤란 3례, 좌측 성대마비 1례였다. 경부 문합부위협착은 없었다. 교정술기로는 식도확장과 유리 공장이식 1례, 성문위 반흔띠절제 1례, 대장 점막절제가 1례있었다. 연하곤란이 발견된 3례의 환자에서는 연하훈련이 필요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9일째부터 303일째까지에서 정상적인 연하기능의 회복이 관찰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인두부터 심하게 협착이 진행되어 있는 부식성협착에서 인두-대장 문합술이 식도 재건술로 유용함을 알수 있었고, 연하의 기능이 정상과 달라짐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장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출구까지 손상되어 위의 저류기능을 유지할 수 없는 증례들에서, 인두-대장-공장 문합술이 식도재건술로써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농약(Gramoxon)중독에 의한 화상으로 발생된 구강점막염 치험 (MANAGEMENT OF ORAL MUCOSITIS OWING TO CHEMICAL BURN BY INTOXICATION OF AGRICULTURAL CHEMICALS(GRAMOXON) : REPORT OF CASES)

  • 유재하;강상훈;김현실;백성흠;유태민;이지웅;정원균;김종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2호
    • /
    • pp.123-127
    • /
    • 2003
  • Chemical burns onto oral mucosa which are infrequent, may result from contact with a wide variety of chemical agents. The degree of injury depends on the chemical, its concentration, duration of contact, and the natural penetrability and resistance of the tissues involved. Chemicals do not usually "burn" in that they do not cause destruction by hyperthermic activity. Rather, they damage tissue by causing coagulation of protein by one of several processes, reduction, oxidation, desiccation, corrosion, or vesication. Paraquat(Gramoxon) is the most frequently agricultural chemicals that induce the severe toxic reactions onto the organs of human body in Korea. The toxic reaction are composed of pulmonary edema and fibrosis, formation of hyaline membrane, inflammatory reaction and bleeding tendency, owing to the cell damage by the production of superoxide radicals. The contents of essential treatment in paraquat intoxication are commonly airway and breathing maintenance, gastric lavage, much hydration and diuresis, hemoperfusion and medications for the removal of the chemicals and the prevention of various complications. The sedative oral dressings, such as, orabase ointment application, warm saline gargling, lidocaine viscous gargling and oral gargling by the mixed solutions(tetracycline, prednisolone and 10% dextrose water) are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chemical oral mucositis and the comfortable feeding of diet. The authors managed properly two cases of oral chemical mucositis that were occurred by the incorrect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paraquat) and report the cases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s about care of the chemical intoxication and oral mucositis.

식도천공의 치료 및 임상고찰 (Clinical Analysis and Treat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 박훈;박남희;박창권;이광숙;금동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11-116
    • /
    • 2006
  • 배경: 식도천공은 즉시 진단되어 치료하지 않으면 높은 이병률과 사망률을 보인다. 수술 방법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식도천공의 치료의 시기와 방법은 아직 논쟁의 여지가 많은 상태이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에서 2004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식도 천공을 진단받은 38명의 환자에서 차트를 이용하여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과: 환자는 남자가 28명, 여자가 1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3.84$\pm$18.89세($1{\~}73$세)였다. 천공은 경부에서 8예, 흉부가 28예 그리고 복부가 1예 발생하였고 자연성 식도 천공이 $34\%$, 의인성이 $32\%$ 그리고 외상성이 $34\%$로 조사되었다. 치료는 경부식도 천공에서는 일차봉합 6예, 배농만 시행한 경우가 2예였으며, 흥부식도 천공에서는 일차봉합 14예, 식도 절제술 3예 그리고 보존적 치료가 12예였다. 사망률은 경부 식도 파열이 $25\%$, 흉부식도 파열이 $34\%$였다. 환자의 생존에 유의한 위험인자는 술 전의 패혈증 여부로 나타났다. 결론: 식도파열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가 술 전의 패혈증 상태로 나타났다 술 전에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치료가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증숙 횟수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급성 위염 개선효과 (Protective effects of Gastrodia elata extract by steaming time on acute gastritis)

  • 이아름;권오준;노정숙;노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97-603
    • /
    • 2016
  • 본 연구는 증숙 횟수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산화방지 효과를 통한 위 점막 손상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실험이다. 증숙 횟수를 달리한 천마 추출물을 준비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total phenol, flavonoid, gastrodin, gastrodigenin 성분 분석 결과, 1회 증숙 천마와 9회 증숙 천마 추출물간의 급성 위염 개선 효능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HCl/ethanol로 유발된 급성 위염 동물 모델에 GE1과 GE9 (100 mg/kg body weight)과 sucralfate (10 mg/kg body weight)를 HCl/ethanol 처리 전 경구 투여하였다. 그리고 이를 정상군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급성 위염 개선 효능 실험에서 증숙 천마 추출물의 섭취는 HCl/ethanol로 유발된 위 점막 손상 마우스에서 위 조직의 육안적 손상을 감소시켰다. 9회 증숙 천마 추출물의 섭취는 위 점막 손상마우스에서 혈청의 ROS와 조직의 $ONOO^-$를 감소시켰고, 위 조직에서 염증성 매개인자인 $TNF-{\alpha}$ 또한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9회 증숙한 천마의 경구투여는 1회 증숙한 천마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위 점막 손상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9회 증숙 천마 추출물의 투여가 급성 위염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 위점막 손상 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과립구집락자극인자 투여로 치료한 범혈구감소증과 피부 박리를 보인 붉은사슴뿔버섯 중독 1례 (A Case of Podostroma Cornu-Damae Intoxication Induced Pancytopenia and Skin Desquamation: Successful Treatment with Granulocyte Colony Stimulation Factor (G-CFS))

  • 김중석;김규원;정재일;심명기;윤기철;최용훈;이하람;최인주;심찬섭;한정호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0-54
    • /
    • 2015
  • Podostroma cornu-damae is a rare species of fungus belonging to the Hyocreaceae family. Its fruit body is highly toxic, as it contains trichothecene mycotoxins. The morphology is similar to that of immature Ganoderma lucidum, making identification difficult for non-experts. We experienced such a case of a 56- year-old male who picked and consumed podostroma cornu-damae, and consumed. Later that day, he developed digestive system symptoms, including nausea, vomiting, and abdominal pain. He presented to the emergency room (ER), there were no abnormal physical findings, symptoms improved after gastric lavage, and the patient voluntarily discharged himself on the same day. The following day, as the symptoms gradually deteriorated, he was admitted via the ER. He was presented with severe pancytopenia, alopecia, desquamation of skin, and acute renal failure. He recovered without any complications after conservative care, antibiotics therapy, and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administration. The most commonly reported complications of podostroma cornu-damae intoxication were reported pancytopenia, infectio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acute renal failure, etc. since Prevention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its toxicity can be lethal and there is no particular treatment to date, prevention is especially important. Promotion and education for the public are needed.

  • PDF

만성 역류성 식도염 동물 모델에 대한 황백(黃柏) 물 추출물의 식도 점막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Water Extract of Phellodendri Cortex in Chronic Reflux Esophagitis-induced Rats)

  • 이세희;이진아;신미래;이지혜;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36
    • /
    • 2020
  • Objective : Reflux esophagitis is a disease caused by the reflux of gastric acid and inflammation due to unstable gastroesophageal sphinct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 of Phellodendri Cortex (PC) on chronic reflux esophagitis (CRE) in rats.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C was measured by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 2'-azinobis-3-ethyl-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 CRE was established surgically in SD rats. And then CRE rats were treated with water or PC 200 mg/kg body weight for 14 days. Besides, the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protein levels were evaluated using western blotting. Results : PC reduced esophagus tissues injury. The total polyphenol (36.05 ± 0.25 mg/g) and total flavonoid (72.90 ± 0.61 mg/g) of PC showed a high content. PC strongly reduce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PPH IC50 43.58 ± 1.54 ㎍/㎖; ABTS IC50 36.75 ± 0.35 ㎍/㎖). Moreove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peroxynitrite (ONOO-) levels in serum,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s (iNO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the protein expression of NADPH oxidases related to oxidative stre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PC compared to CRE control. PC effectively reduced inflammatory factors including, TNF-α, and IL-6 via NF-κBp65 inactiva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p-IκBα and increased anti-oxidant enzyme such as HO-1, SOD, catalase, and GPx-1/2 via Nrf2 activation.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PC can alleviate the esophageal mucosal ulcer though the inhibition of NF-κB inflammatory and the enhancement of Nrf2 anti-oxidant pathway.

식도부식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Corrosive Injury of the Esophagus)

  • 박철원;송기준;이형석;안경성;김선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5.3-6
    • /
    • 1981
  • 각종 부식제에 의한 식도부식증은 근래에 들어서 그 발생빈도가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아직도 자살수단으로 택하거나 오연으로 인하여 적지않은 환자가 발생하고 부식제의 종류도 다양하여졌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식도부식증은 그 경과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식도협착증의 방지가 치료의 촛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1972년 5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식도부식증 환자중 발병시부터 치유될때까지 전 과정의 임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 월별빈도, 음독등기, 약물 종류, 음독후 내원시간, 구강 및 인두 점막변화, 검사소견, 응급처치 및 입원후 치료, 치료성적, 합병증 등을 정리 하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비는 1. 13:1로 여자가 약간 많았으며, 남자가 24례(47.1%), 여자가 27례(52.9%)이었다. 2) 연령분포는 21∼30세가 20례 (39.2%)로 가장 많았고, 11∼20세가 11례 (21.6%), 31∼40세가 7례 (13.7%), 50세 이상이 7레 (13.7%)의 순이었다. 3) 월별빈도는 3월이 8례 (15.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4절과 7월이 각각 7례(13.7%), 9월 6례 (11.8%), 10월 5례 (9.8%)의 순이었다. 4) 음독동기는 자살목적이 40례 (78.4%)로 주종을 이루였고 사고에 의한 오연이 11례 (21.6%)이었다. 5) 약물종류로는 초산이 24례(47.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염산 11례 (21.5%), 가성소다8례 (15.7%),.옥도정기 2례 (3.9%)의 순이었다. 6) 음독후 내원시간은 12시간 이내에 내원한 경우가42례 (82.4%)이었고, 다음이 12∼24시간내 4례 (7.8%)이었다. 7) 구강 및 인두점막변화는 충혈 및 부종이 있는 중등도가 20례(39.2%)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궤양이동반된 18례(35.3%), 충혈만 있는 10례(19.6%)의 순이었다. 8) 검사소견은 혈액검사소견상 40례(78.4%)에서 백혈구 증가를 보였으며, 31례(60.8%)에서 혈구용적비(Hct)증가를 보였다. 뇨검사상 14례(27.5%)에서 Specific gravity가 1.030이상 이었고, 25례(49.0%)에서 단백뇨를 보였으며, 5례(9.8%)에서 당뇨를 보였고, 6례(11.8%)에서 혈뇨를 보였다. 9) 응급처치로는 위세척을 시행한 예가 30례 (58.8%)이었고, 3례 (5.9%)에서는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다. 10) 치료방법으로는 전체 51례중 50례 (98.0%)에서Levin tube을 삽입 하였고, 49례 (96.1%)에서는 항생제를 투여하였으며, 46례 (90.2%)에시 제산제 및 Steroid를 사용하였다. 11) 치료후 36례 (70.6%)에서는 별다른 합병증없이 유효한 치료결과를 보였고 2례(3,9%)는 입원당시 사망하였으며, 4례 (7.8%)에서 식도협착을 보였고, 1례(2.0%)에서는 위유문부협착을 보였다. 12) 합병증은 8례 (I5.7%)에서 볼 수 있었으며 그중 신부전증이 4례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폐염, 상부 위·장관출혈 등이 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