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aedduk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4초

청립 쌀가루를 첨가한 가래떡의 품질 특성 (A Stud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Made with Green Rice Flour)

  • 이지현;안성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0-206
    • /
    • 2011
  • This study verifies that green rice, which has limited usage as a component of foodstuff,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ingredient in the production of food, due to its in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100% green rice Garaedduk showed it had lower values for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and higher values for adhesiveness compared with rice Garaedduk.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Garaedduk made with green rice (100%) were evaluated as the best for color, flavor, taste & moisture, and the Garaedduk made with brown rice had the most coarseness. The best overall acceptability was for Garaedduk made with green rice (50%) followed in order by Garaedduk made by brown rice and Garaedduk made with rice flour.

표고버섯분말을 첨가한 가래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Lentinus edodes Powder)

  • 현영희;변진원;남혜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1
    • /
    • 2014
  • This research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lentinus edodes on the Garaedduk by analyzing its quality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research, it could be verified whether this improved food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a functional food. 5 pieces of Garaedduk with 0, 2, 4, 6, and 8% of lentinus edodes powder were analyzed by water content, color, sensory,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cooking characteristics right after the production and after one day. The five Garaedduk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content during storage period of 0 & 1 day. As the result of Hunter's color values, with the increase of lentinus edode during storage period of 0 & 1 day, light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redness and yellow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result of textural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nd cohesive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araedduk with the increase of lentinus edodes. When the Garaedduk were preserved for one day,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Garaedduk with 2% of lentinus edodes showed similar with the control. Cohesivenes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all Garaedduk.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increase in the color, aroma and taste with the increase of lentinus edodes. The 2% Garaedduk showed similar hardness with the control. Garaedduk with lentinus edodes showed no difference in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with the control.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lentinus edodes while the Garaedduk with 6% of lentinus edodes show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After one day of preservation, the Garaedduk with 4% lentinus edodes also show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As the result of cooking properties, weight gain and volum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lentinus edodes. The 2% Garaedduk particularly showed similar weight gain with the control. In turbidity of s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lentinus edodes. In Hunter's color values of soup, light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lentinus edodes. Redness and yellow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lentinus edodes like Garaedduk.

고령자용 저작 용이 가래떡 제품의 개발 및 특성 연구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Easily Chewable Korean Rice Cake (Garaedduk) for Elderly)

  • 김미영;김세진;황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0-88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asily chewable Korean rice cake (Garaedduk) for the elderly while maintaining its original form and flavor. We developed two types of easy-to-chew Garaedduk products by adding starch-degrading enzyme or trehalose, respectivel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product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water content of control and enzyme-added Garaedduk was 43.55% and 44.11%, respectively,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rehalose-added Garaedduk (40.30%) as free water content was reduced by the formation of hydrogen bonds between trehalose and water molecules. Due to the browning of reducing sugar produced by the decomposition of rice starch, Hunter b-value of enzyme-added Garaedduk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s.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Consumer test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overall liking, chewiness, and swallowing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Elderly preferred experimental Garaedduks over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evaluated to be softer, easily chewable, and swallowable.

압출성형 횟수가 떡국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usion Frequenc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dukgukdduk)

  • 배정숙;유창희;이경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49-457
    • /
    • 2016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dukguk Garaedduk and Ddukgukdduk by the frequency of extruding rice dough. Methods: Ddukguk Garaedduk samples were made by extruding and shaping rice flour dough 2, 3, and 4 times; while Ddukgukdduk samples were made by drying the Ddukguk Garaedduk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and slicing them in slices of 0.3 cm thicknes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water content by the extrusion frequency for Ddukguk Garaedduk and Ddukgukdduk. The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of Ddukguk Garaedduk with a 4 times extru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dukguk Garaedduk with a 2 times extrusion. Ddukgukdduk with a 4 times extrusion generated finer cells and a more even distribution of cells than the other samples, 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Upon boiling, significantly more water was absorbed in Ddukgukdduk of a 2 times extrusion than in that of a 4 times extrusion. Hardness and adhesiveness scores of the cooked Ddukgukdduk were the highest, and springiness was the lowest in the sample with the 4 times extrusion. Conclusion: The extrusion of rice dough makes the structure of Ddukguk Garaedduk finer and more even, which results in the increased adhesiveness of Ddukguk Garaedduk. When cooking Ddukguk, Ddukgukdduk that has been extruded more absorbs less water and dissolves less solids, which maintains the chewiness and structure of cooked Ddukgukdduk.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 첨가 가래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Enriched with Mealworm (Tenebrio molitor) Powder)

  • 남혜현;심기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2-288
    • /
    • 2021
  • Mealworm is the most widely used edible insect in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aedduk containing different proportions of powdered mealworm (0%, 3%, 6%, 9%, and 12%) were evaluated in order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mealworm. The results revealed that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ile pH and starch elu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Furthermore, the amount of total amino acids, essential amino acids,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Regarding chromaticity, the L value decreased while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as the amount of mealworm increased. The addition of 6% mealworm showed slight differences in the pore size and surface smoothness as compared to plain Garaedduk. Textur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increased, but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The preference test evaluating the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showed that 6% mealworm additive group had the highest preference. I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y of the newly developed Garae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ealworm. In conclusion, Garaedduk enriched with 6% mealworm showed promising results for developing rice cake with improved nutr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excellent overall preference and quality.

가수량을 달리한 떡볶이용 가래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Garaedduk with Different Moisture Ratios)

  • 강호진;이준경;임재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61-565
    • /
    • 2012
  • 떡볶이용 가래떡을 제조할 시 떡의 수분,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조건인 수분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떡의 품질특성을 확인해보았다. 떡의 수분 함량은 쌀가루 대비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기계적인 조직감에서 경도, 씹힘성 및 응집성은 가래떡 제조에 수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탄력성과 부착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수분흡수율과 고형물 용출량을 측정한 결과 쌀가루대비 수분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율은 증가하고 고형분 용출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촉촉함은 수분함량이 가장 많이 첨가된 가래떡이 가장 높았고 경도와 탄력성은 쌀가루 대비 수분첨가 비율이 1:0.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쌀가루대비 수분첨가 비율이 1:0.3, 1:0.4 및 1:0.5인 가래떡 군에서 각각 5.75, 6.92 및 3.67로 1:0.4 처리군에서 가장 높았다. 쌀가루 대비 수분첨가 비율이 1:0.4일 때 가래떡의 촉촉함, 경도, 부착성, 탄력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의 조화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나 식감이 우수한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미강 첨가량에 따른 가래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aw Rice Bran)

  • 최은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4-10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대의 부존자원인 생미강을 우리 전통 떡류 제조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생미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쌀가루에 생미강을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데 적정 첨가 비율과 제조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기계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는 생미강 첨가율이 20%>10%>40%>30% 순로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미강을 기능성 소재로 이용한 새로운 떡류의 소재로 발전될 것이다.

  • PDF

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한 메밀 대체량별 가래떡의 품질특성 (Preparation of Garaedduk with Buckwheat Flour Using Retrogradation-retardation Technology)

  • 이준우;배인영;오임경;김명환;한귀정;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60-4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떡 굳음방지기술의 적용성 확대를 위하여 멥쌀 대신 메밀 분말을 0, 15, 30, 45%로 대체한 가래떡을 제조 후 $4^{\circ}C$에서 3일간 저장에 따른 텍스쳐, 색도, 기호도 검사를 분석하였다.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 떡의 경도는 메밀 분말 대체량과 무관하게 모두 저장 기간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떡 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한 경우에는 메밀 분말 45% 대체한 가래떡을 제외하고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상승이 억제되어 제조 직후의 경도를 유지하였다. 메밀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떡 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한 가래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제조 직후에는 메밀 분말을 함유하지 않은 가래떡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메밀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는 저하되었으나 저장 3일 후에는 0, 15% 메밀 분말 대체 가래떡이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공정보다는 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한 메밀 분말 대체 가래떡 적용이 전반적 품질 면에서 유리하며 떡 굳음현상 지연은 메밀 분말 대체량 30% 정도까지 적용 가능하며 전반적 기호도 및 텍스쳐 측면에서는 15%가 적합하였다.

볶음 미강 첨가량에 따른 가래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oasted Rice Bran)

  • 최은희;이지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77-28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묶음 미강을 전 처리한 후 생미강을 대조구, 10%, 20%, 30%, 40% 비율로 첨가하여 가래떡을 제조 후 첨가 비율과 제조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기계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수분 함량은 묶음 미강의 첨가 비율이 증가될수록 모든 실험군에서 가래떡의 수분함량이 감소되었고, L값은 볶음 미강 첨가 비율이 증가 및 저장 기간이 경과될수록 L값이 낮아졌다. a값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b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가래떡의 경도는 대조구인 쌀가루 가래떡이 0.69이고, 묶음 미강 10%첨가 가래떡이 0.94로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도를 보여주었다. 볶음 미강 첨가량의 증가 및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도가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볶음 미강 첨가가래떡의 관능적 특성을 검사한 결과, 색과 향은 볶음 미강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실험구에서 강하게 평가되었고, 증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맛은 볶음 미강 첨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는 볶음 미강 첨가율이 30%>10%>20%>40% 순으로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 PDF

전두부를 첨가하여 제조한 떡볶이용 떡의 저장시간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dduk With Respect to Added Whole Soybean Curd (Chun-Tofu) by Different Storage Time)

  • 이준경;정지혜;임재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1-121
    • /
    • 2012
  • 본 연구는 탄수화물이 주 영양분인 떡의 부족한 단백질과 대두가 갖는 생리활성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기능성 떡볶이 떡을 제조하고자 대두 속 영양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전지활성 생대두미세분말(MFS)로 만든 전두부를 첨가하여 떡볶이용 가래떡을 제조하고 떡의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전두부에는 대두에 함유된 지질이 그대로 들어 있어 단백질과 지질의 영향이 모두 나타나 가래떡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전두부를 첨가한 떡볶이용 떡은 쌀가루, 물, 전두부 0, 3, 6, 9%, 소금을 쌍축형 압출성형기에 넣어 제조하였으며 제조직후와 저장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의 품질특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전두부첨가 떡볶이용 떡의 제조직후의 수분함량은 전두부 무첨가군과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무첨가군을 제외하고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떡의 기계적인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경도와 부착성은 전두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저장 시간이 길어질수록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부착성과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색도 실험에서 떡의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인 b값은 전두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리특성인 수분흡수율과 고형물용출량을 측정한 결과, 떡의 수분흡수율은 무첨가군이 12.16%로 가장 낮았고 전두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떡의 고형물용출량은 전두부 무첨가군이 8.46%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그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두부첨가 떡볶이용 떡의 향, 맛, 색, 단단한 정도, 쫄깃한 정도 항목에 대한 기호도평가 및 전반적인 선호도를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한 관능검사 결과 9% 전두부 첨가군이 전반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떡볶이용 가래떡의 제조 시 전두부 첨가량을 9%로 하는 것이 떡볶이용 떡의 품질개선과 기호도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