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radiation sensitivit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5초

마우스와 사람 림프구에서 방사선에 의한 미소핵의 형성 및 고려인삼의 효과 (Induction of Micronuclei in Human and Mouse Lymphocytes Irradiated with Gamma Radiation and Effect of Panax ginseng C.A. Meyer)

  • 김성호;오헌;이송은;이윤실;김태환;정규식;류시윤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53-160
    • /
    • 1997
  • 사람의 말초혈액림프구와 C57BL/6마우스의 비장림프구를 사용하여 시험관내에서 감마선을 조사하고 배양하여 세포질분열 차단 림프구내에 형성되는 미소핵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미소핵 발생빈도는 방사선조사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linen-quadratic 곡선식에 적용하여, 세포 당 0.2개의 미소핵이 유도되는 방사선량을 산출하면 사람의 말초혈액 림프구에 비하여 마우스 비장림프구에서 1.67배 민감하였다. 미소핵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사람의 말초혈액 림프구에 대한 인삼의 방사선 방호효과를 시험관내 시험으로, 마우스의 미장림프구에 대한 효과를 생체내 시험으로 검정하였다. 사람림프구에 있어서 방사선(3Gy)에 의해 유도되는 미소핵의 수는 방사선조사 전 및 후 투여군에서 공히 감소하였으며(p<0.01), 마우스를 사용한 생체시험에서도 림프구의 미소핵 발생빈도는 낮게 관찰되었다(p<0.025). 이상의 결과에서 인삼은 인체에서도 방사선에 의한 세포장해를 감소시킬 가능성을 나타냈다.

  • PDF

자궁 경부암 세포에서 Troglitazone이 온열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oglitazone on Thermal Sensitivity in Uterine Cervix Cancer Cells)

  • 이지혜;김원동;유재란;박우윤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91-98
    • /
    • 2010
  • 목 적: Troglitazone (TRO)은 PPAR-$\gamma$ 작동제로서 온열감수성의 결정에 중요한 요인인 heat shock protein (HSP) 70의 합성을 저해하고 superoxide dismutase (SOD)와 카타라제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자궁경부암 세포를 대상으로 TRO가 온열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HeLa 세포를 $5{\mu}M$ TRO로 24시간 처치한 후 $42^{\circ}C$에서 1시간 동안 온열처리를 시행하였다. 세포 생존 분획은 clonogenic assay로 측정하였다. 단백질 발현의 변화는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SOD와 카타라제의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reactive oxygen species (ROS) 는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와 dihydroethidium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온열처리에 의해 감소된 생존분획이 TRO 전처치에 의해 증가하였다. 온열처리에의해 HSP 70의 발현은 증가하였으나 TRO 전 처치에 의해 감소되지는 않았다. SOD와 카타라제의 활성도가 각각 1.2배, 1.3배 증가하였다. 온열처리에 의해 ROS가 증가하였으며, 증가된 ROS는 TRO 전 처치에 의해 감소하였다. 결 론: TRO는 SOD와 카타라제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며 이는 온열에 의한 ROS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온열감수성을 저하시킨다.

${\gamma}-Ray$ 조사에 따른 사람의 정상임파구와 마우스 정상임파구의 DNA Double Strand Break 발생율에 대한 비교분석 (Evaluation of DNA Double Strand Breaks in Human and Mouse Lymphocyte Following ${\gamma}-Irradiation$)

  • 김태환;김성호;정인용;조철구;고경환;류성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219-225
    • /
    • 1993
  • 각 방사선량의 조사에 따른 사람 정상임파구, 마우스 정상임파구, 그리고 EL-4마우스 백혈병 세포의 DNA double strand breaks 발생율에 대하여 비교분석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PS와 PHA를 첨가하여 각각 배양한 마우스 정상임파구의 DNA double strand breaks의발생율을 strand scission factor의 기울기로 비교평가해 본 바 LPS를 첨가배양한 군이 DNA DSB가 더 많이 형성되었다(P<0.005). 이것으로 볼 때 DNA double strand breaks발생에 있어서는 B cells이 T cells보다 더 민감하였다. 또한 EL-4 백혈병 세포는 정상 임파구보다 유의하게 DNA DSB가 더 많이 형성된 것이 관찰되었다(p<0.005). 한편 사람 정상임파구와 마우스 정상임파구 사이의 intrinsic radiosensitivity는 시험관내 실험에서 비교적 유사한 kinetics를 나타냈으나, 마우스 정상임파구가 사람 정상임파구보다 DNA DSB수율이 더 낮았다. 그래서 방사선을 조사하고 3.5시간이 지난후에 $10\%$ DNA DSB발생에 필요한 선량을 두 군간에 비교평가해 본 바 마우스 정상임파구의 선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어 렵지만 아마도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는 방사선조사에 따른 임상반응의 이해와 cytometric assessment의 방사선 생물학적 parameter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Optimization of Yonsei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YSECT) Detector for Fast Inspection of Spent Nuclear Fuel in Water Storage

  • Hyung-Joo Choi;Hyojun Park;Bo-Wi Cheon;Kyunghoon Cho;Hakjae Lee;Yong Hyun Chung;Yeon Soo Yeom;Sei Hwan You;Hyun Joon Choi;Chul Hee Mi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29-39
    • /
    • 2024
  • Background: The gamma emission tomography (GET) device has been reported a reliable technique to inspect partial defects within spent nuclear fuel (SNF) of pin-by-pin level. However, the existing GET devices have low accuracy owing to the high attenuation and scatter probability for SNF inspection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optimize a Yonsei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version 2 (YSECT.v.2) for fast inspection of SNF in water storage by acquisition of high-quality tomographic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Using Geant4 (Geant4 Collaboration) and DETECT-2000 (Glenn F. Knoll et al.) Monte Carlo simulation,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proposed device was determined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the 137Cs source in water. In a Geant4-based assessment, proposed device was compared with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authenticated device for the quality of tomographic images obtained for 12 fuel sources in a 14 × 14 Westinghouse-type fuel assembly. Results and Discu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ngth, slit width, and septal width of the collimator were determined to be 65, 2.1, and 1.5 mm, respectively, and the material and length of the trapezoidal-shaped scintillator were determined to be gadolinium aluminum gallium garnet and 45 mm,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YSECT.v.2 and IAEA's device, the proposed device showed 200 times higher performance in gamma-detection sensitivity and similar source discrimination probabilit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optimally designed the GET device for improving the SNF inspection accuracy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Our results show that the YSECT.v.2 device could be employed for SNF inspection.

후춧가루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전자선 및 X-선 조사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gamma ray, electron beam, and X-ray irradiation to improve safety of black pepper powder)

  • 박재남;정구;윤영민;최수정;김재훈;이주운;송범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5-3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후춧가루의 위생화를 위해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을 조사한 후 이에 따른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평가하였다. 후춧가루에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을 2, 4, 6, 8 및 10 kGy로 각각 조사한 후 미생물 변화와 관능품질 변화를 평가한 결과, 미생물의 경우 선종에 관계없이 흡수선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제어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종별 D10값의 경우 2.24-2.75 kGy범위를 보였으며 방사선 선종에 따른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방사선 선종에 따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관능적 품질 역시 방사선 선종에 관계없이 흡수선량에 따라 품질저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방사선 선종에 따른 후춧가루의 품질변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상의 결과는 X-선의 상업적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Geant4 몬테칼로 전산모사 툴킷을 이용한 이중모드 컴프턴 카메라 최적화 설계 및 성능평가 (Preliminary Study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ual-mode Compton Camera by Using Geant4)

  • 박진형;서희;김성훈;김영수;김찬형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191-196
    • /
    • 2012
  • 한양대학교에서는 핵물질 탐지를 위해 고에너지 감마선원 영상화에 적합한 이중산란형 컴프턴 카메라의 원형을 개발하였다. 이중산란형 컴프턴 카메라는 높은 영상해상도를 제공하지만, 기존의 단일산란형 컴프턴 카메라보다 상대적으로 영상감도가 낮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이중산란형 컴프턴 카메라에 단일산란형 컴프턴 카메라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에서 두 가지 모드로 작동하는 이중모드 컴프턴 카메라(고민감도(단일산란형)모드와 고해상도(이중산란형)모드)에 대한 개념설계와 이에 대한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였다. 최적화된 시스템에서 고민감도 모드는 고해상도 모드에 비해 전 에너지 영역에서 약 100배 정도 높은 고유영상감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고해상도 모드에서 영상해상도는 기존의 이중산란형 컴프턴 카메라와 거의 같은 결과를 보여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eptual Study of Brain Dedicated PET Improving Sensitivity

  • Shin, Han-Back;Choi, Yong;Huh, Yoonsuk;Jung, Jin Ho;Suh, Tae Suk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4호
    • /
    • pp.236-24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ovel high sensitivity neuro-PET design. The improvement of sensitivity in neuro-PE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reduce scan time and/or radiation dos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ovel PET detector design that combined conical shape detector with cylindrical one to obtain high sensitivity. The sensitivity as a function of the oblique angle and the ratio of the conical to cylindrical portion was estimated to optimize the design of brain PET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ool, GATE. An axial sensitivity and misplacement rate by penetration of ${\gamma}$ rays were also estima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ET. The sensitivity was improved by 36% at the center of axial FOV. This value was similar to the calculated value. The misplacement rate of conical shaped PET was about 5%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PE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conical detector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provide subsequent improvement in sensitivity which could allow to design high sensitivity PET for brain imaging.

반도체 검출기를 이용한 Hybrid 전치증폭기형 전자식 개인선량계 개발 (Development of Electronic Personal Dosimeter with Hybrid Preamplifier using Semiconductor Detector)

  • 이봉재;김봉환;장시영;김종수;노승용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51-57
    • /
    • 2002
  • 반도체 검출기를 이용하여 Hybrid 전치증폭기를 갖는 전자식 개인선량계를 설계 제작하고, 방사선 검출 반응특성과 기계적 및 주변 환경 요건에 따른 각종 성능을 평가하였다. $^{137}Cs$ 감마 방사선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 시험결과 감도는 $3.8\;cps/Gy{\cdot}h^{-1}$이고, $10{\mu}Sv{\sim}4Sv$ 범위의 선량당량 조사시 선량계의 지시값은 오차 8%이하에서 선형성이 잘 유지되었다. 방향의존성을 ${\pm}60^{\circ}$ 이내에서 4%이하이며, ISO 기준선장에 의한 에너지 반응영역은 $60{\sim}1,250\;keV$로 나타났으며, IEC 61526에 의한 선량계의 성능검사시 9개 영역의 시험항목에 대한 국제기준을 만족하였다.

고선량에 대한 광자극발광선량계의 방사선 민감도 변화 연구 (Changes of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Sensitivity with High Dose)

  • 한수철;김금배;최상현;박승우;정해조;지영훈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2호
    • /
    • pp.98-104
    • /
    • 2016
  • 본 연구는 고선량으로 인한 광자극발광선량계의 방사선 민감도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60-Co 감마선에서 상용화된 광자극발광선량계(Landauer, Inc., Glenwood, IL)를 이용하였다. 고선량으로 인한 방사선 민감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소자들을 이용하여 상대적 방사선 민감도 변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7번째까지 3% 정도 증가하다가 그 이후 1 Gy의 조사 횟수에 따라 0.35%씩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30회까지 조사하였을 때 7% 감소하였다. 고 선량을 받은 소자들의 경우, 15 Gy가 조사된 그룹은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소자들의 방사선 민감도에 비해 6% 감소하였으며, 30 Gy가 조사된 그룹은 12% 감소하였다. 감소되는 경향은 지수함수에 곡선 맞춤 하였다. 고선량을 받은 소자들을 다시 재 사용할 경우 측정에 대한 큰 불확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인지 하고 소자에 대한 조사 이력 관리를 하면서 사용해야 할 것이다.

시판 양념갈비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의 감마선 감수성 및 감마선 조사된 갈비의 관능적 품질특성 (Radio-sensitivity of Contaminated Pathogens in Marinated Beef Rib (Galbi) Treated with ${\gamma}-Irradiation$ and Its Sensory Properties)

  • 이나영;조철훈;강호진;김동수;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8-173
    • /
    • 2004
  • 시중에서 판매되는 양념갈비의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정도를 확인하였으며, 포장방법을 달리하여 포장하여 감마선 조사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갈비의 미생물 안전성 및 조사선량에 따른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은 B. cereus, S. typhimurium, E. coli 및 S. aureus는 모두 3-4 log cycle정도로 검출되어 시중에서 판매되는 갈비의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갈비의 조사선량에 따른 변화는 7.5 kGy로 감마선 조사할 경우 B. cereus를 제외하고 S. typhimurium 및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E. coli는 0일째에 1.47 log cycle정도 검출되었으나 $4^{\circ}C$ 저장 중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멸균된 갈비와 양념갈비의 방사선 감수성은 B. cereus가 방사선 조사에 대한 내성이 가장 강한 균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에 따른 갈비의 관능 특성은 조리되지 않은 갈비의 경우 항은 비조사구가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색은 조사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리된 갈비의 경우 함기포장한 갈비는 조직감,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고, 진공포장한 시료의 경우 맛은 7.5kGy로 조사한 갈비를 제외한 0. 2.5 및 5.0kGy로 조사된 갈비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0 및 2.5kGy로 조사된 갈비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