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 irradiation microbial contamina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5초

시판 아이스크림의 미생물 오염도 및 감마선 조사효과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Ice Cream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and its Irradiation Effect)

  • 김현주;조철훈;김동수;육홍선;변명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867-876
    • /
    • 2005
  • 아이스크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보존성 및 위생성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시판 중인 아이스크림 제품류 및 다른 향을 가진 아이스크림의 미생물 분포도 및 감마선 조사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시판 아이스크림에서 Listeria spp., E. coli 및 Salmonella spp.의 오염 여부를 알아보았다. 시판 중인 아이스크림 제품류 중 빙과류, 아이스크림류, 아이스밀크류 및 비유지방 아이스크림류의 미생물 분포도 결과 모든 제품에서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약 1-2 Log CFU/g의 일반 호기성 미생물이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1-1.5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대부분의 제품에서 3 kGy의 감마선 조사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부 제품에서 3 kGy 조사로 1 Log CFU/g이 생존하여 좀 더 높은 선량이 요구되었다. 서로 다른 향을 첨가한 아이스크림의 미생물 분포도 결과 바닐라, 쵸코 및 딸기 아이스크림의 일반 호기성 미생물의 경우 각각 2.30, 2.90 및 3.32 Log CFU/g이 검출되었으며 효모 및 곰팡이의 경우 바닐라 아이스크림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쵸코 및 딸기는 각각 2.30 및 2.70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의 경우 바닐라 아이스크림이 1.70 Log CFU/g으로 가장 낮게 검출되었으며 쵸코 및 딸기 아이스크림은 2.23 및 2.40 Log CFU/g이 검출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라 미생물의 수는 감소하였으며 5 kGy로 조사하였을 때는 검출되지 않았다. -20℃에서 4주간 저장 기간에 따른 미생물 수의 변화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서로 다른 회사 제품으로 병원성 미생물 검출 결과 L. inocua 및 E. coli는 각각 3종씩 검출되었으나 Salmonella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아이스크림 제조 및 유통과정 시 위생관리가 철저히 요구되며 아이스크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5 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 기술을 적용하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향신료(香辛料)의 Ethylene Oxide 처리(處理)와 감마선(線) 조사(照射)와의 살균효과 비교 (Comparison of Ethylene Oxide (E.O.) and Irradiation Treatment on the Sterilization of Spices)

  • 조한옥;변명우;권중호;이재원;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3-287
    • /
    • 1986
  • 향신료의 현행(現行) 살균법(殺菌法)인 ethylene oxide에 의한 훈증처리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서 새로운 살균법 개발을 위해 고사녹(攷射綠) 조사(照射)와 ethylene oxide처리와의 살균효과(殺藺效果)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다. 향신료의 미생물 오염은 5가시 시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중온성(中溫性) 금생균(全生菌)이 $10^4{\sim}10^6/g$이며, 특히 내열성균(耐熱性菌)과 내산성균(菌)이 $10^3{\sim}10^5/g$정도 높게 오염되었고, 곰팡이의 오염도는 $10^3{\sim}10^4/g$이며, 후추가루에서는 내(耐)삼투압성 곰팡이가 $10^3/g$정도나 검출되었다. 또한 고추가루에서는 대사균군(大賜菌群)이 $10^4/g$정도나 검출되어 위생적 가공처리가 요구되었다. 방사선(妨射線) 조사(照射)와 gas처리(處理)와의 살균효과 비교실험에서는 금생균(全生菌)과 곰팡이가 각각 $10^4{\sim}10^6/g$$10^3{\sim}10^4/g$인 것을 $5{\sim}7kGy$ 조사(照射)로 $2{\sim}3\;log\;cycles$ 이상 격감시켰고, $10^3{\sim}10^5/g$ 정도의 내열성(耐熱性) 및 내산성 세균(細菌)은 $7{\sim}10kGy$ 조사(照射)로, $10^4/g$ 정도의 대사균군(大賜菌群)은 5kGy 조사(照射)로서 완전 사멸되었으며, 곰팡이 및 금생균(全生菌)의 완전살균을 위해서는 10kGy이상의 선량(線量)이 요구되었다. 또한 5가지 시료의 $D_{10}$ 값은 $1.38{\sim}2.63kGy$범위였다. 한편 ethylene oxide 처리(處理)의 살균효과(殺菌效果)는 모든 시료에서 금생균(全室菌), 내열성균(耐熱性菌) 및 곰팡이의 살균(殺菌)이 불충분함을 나타냈다. 따라서 방사선조사(照射)에 의한 살균(殺菌)이 훈증처리에 의한 방법(方法)보다 효과(效果)가 우수함을 알 수 있고 향신료의 종류에 따라 조사선량(照射線量)을 조절한다면 오염 미생물의 감균 및 살균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