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lic acid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3초

바이칼레인(baicalein)이 peptidoglycan으로 자극된 RAW 264.7 mouse macrophages의 hydrogen per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icalein on hydrogen peroxide productions in RAW 264.7 mouse macrophages stimulated by peptidoglycan)

  • 박완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
    • /
    • 202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icalein (BA) on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peptidoglycan-stimulated RAW 264.7 mouse macrophages. Methods : Peptidoglycan-stimulated RAW 264.7 were incubated with baicalein at concentrations of 50 and 100 µM. Incubation time is 30 min, 2 h, 12 h, and 18 h. After incubation,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RAW 264.7 was measured with dihydrorhodamine 123 assay. Berberine and gallic acid were used as the comparative materials. Results : BA at the concentration of 50 and 100 µM did not show cytotoxicity on RAW 264.7 for 24 h incubation. For 30 min, 2 h, 12 h, and 18 h incubation, BA at the concentration of 50 and 100 µM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RAW 264.7 stimulated by peptidoglycan (p<0.05). In details,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peptidoglycan-stimulated RAW 264.7 treated for 30 min with BA at concentrations of 50 and 100 µM was 93.91% and 93.52% of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peptidoglycan only,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for 2 h was 93.8% and 92.71%, respectively;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for 12 h was 94.86% and 95.93%, respectively;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for 18 h was 95.37% and 96.48%, respectively. Conclusions : BA might have anti-oxidative activity related to its inhibi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peptidoglycan-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미성숙 감(Diospyros kaki Thunb. Sangju-Dungsi) 에탄올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생리활성 연구 (Study on the Anti-allergic Effect using Immature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Sangju-Dungsi) Ethanol Extract)

  • 이명진;김배환
    • 생약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9-41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vailability of immature persimmon ethanol extract (IPEE) as a natural and functional ingredient in protecting inflammation and allergy of skin based on the mechanism. The major content analysis, antioxidant activities, anti-allergic activity, anti-inflammatory effect, and safety related to irritation of IPEE were evaluated. The gallic acid content per 10 mg/mL of IPEE was 0.522% (5.22 mg/g).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428.3 mg/g and 31.1 mg/g, respectively. In ABTS+ activity, DPPH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it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which indicated IPEE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As for the anti-allergy test in RBL-2H3 cells, the IPEE showed a decrease in β-hexosaminidase secretion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s, and IPEE tended to decrease IL-4 secretion in all RBL-2H3 cells compared to the IgE + HSA group. IPEE showed good anti-inflammatory effect in RAW 264.7 cells by decrease of NO production and inflammation cytokines (TNF-α and IL-6). Also IPEE showed non-irritant in BCOP assay.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PEE containing high tannins, had good antioxidant,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hich indicated that the immature persimmon is considered to be a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functional ingredients.

In Vitro Evaluation of Anti-cancer Properties of Hongyoung on SNU-80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Cell Line

  • Gaeun Kim;Eun-Jung Kim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1-329
    • /
    • 2023
  • Anaplastic thyroid cancer has the highest mortality rate of all thyroid cancers and shows low responsiveness to most treatments. Hongyoung, a reddish-colored potato, is an excellent source of dietary polyphenol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anthocyanins, which has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ongyoung extract on apoptosis and invasiveness in SNU-80 anaplastic thyroid cancer cells. The quantification of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done by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 Cell growth was measured by using 2-(2-methoxy-4-nitrophenyl)-3-(4-nitrophenyl)-5-(2,4-disulfophenyl) 2H tetrazolium, monosodium salt (MTS) assay. Cell cycle was analyzed through FACS analysis. Induction of apoptosis in cells was investigated by annexin V staining using flow cytometer and the expression of caspase-3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through western blot. mRNA expression and protein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2/-9 were examined by RT-PCR and zymography. As a result, the TPC of Hongyoung was 292.43±8.42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100 g dry extract. Hongyoung showed a dose-dependent cell growth inhibition, and the IC50 values was 1,000 ㎍/mL. sub-G1 phase was more than doubl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S and G2/M phase arrest were also induced. Hongyoung induced apoptosis by increasing FITC-Annexin V-positive cells and increased the activation of caspase-3 (cleaved caspase-3) and PARP (fragmented PARP). Hongyoung significantly inhibited mRNA expression and protein activation of MMP-2/-9 i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treated SNU-80 cell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Hongyoung extract as an anti-cancer agent.

포공영, 금은화, 익모초 혼합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Lonicera japonica Thunberg and Leonurus japonicus Houtt. Complex)

  • 허성신;김영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0-2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eriment with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Lonicera japonica Thunberg, and Leonurus japonicus Houtt. complex (TLL) in LPS-induced RAW264.7 cell. Method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LL was measured by FRAP assa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LL were measured by using standard method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LL were measured by NO production, biomarker production (PGE2, IL-1β, IL-6, TNF-α), mRNA expression level (iNOS, COX-2, IL-1β, IL-6, TNF-α) and protein expression level (ERK, JNK, p38). Result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TLL were 58.03±1.02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 (GAE)/g and 16.58±0.60 mg of Quercetin equivalents (QE)/g respectively. In FRAP assa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TLL was observed. To explor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LL,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TLL and LPS for 24 hours. Cell viability of RAW 264.7 cells were measured by adding EZ-Cytox, It was remarkably increased at 50, 100, 200 ㎍/㎖ concentrations of TLL. NO, ROS, iNOS, IL-1β, IL-6, TNF-α, ERK, JNK and p38 were remarkably decreased at 50, 100, 200 ㎍/㎖ concentrations of TL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GE2 and COX-2 were remarkably decreased at 100, 200 ㎍/㎖ concentra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LL complex h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국내 시중 유통 작두콩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Sword Bean Tea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s)

  • 박유진;황엄지;유경단;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0-109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word bean tea available in domestic markets. Each product of sword bean tea had distinct appearance characteristics. The color, pH, brownness, and turbidity of the tea varied significantly across different products, with tea bags showing higher levels of brownness and turbid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ot water extraction ranged from 165.13 to 517.69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100 g sample for pod tea, 999.36 to 2,054.74 mg GAE/100 g sample for tea bag tea, and 74.62 to 275.00 mg GAE/100 g sample for grain tea, respectively. Similar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measured in terms of catechin equivalents (CE), ranged from 39.51 to 65.00 mg CE/100 g sample for pod tea, 86.57 to 253.63 mg CE/100 g sample for tea bag tea, and 32.94 to 38.63 mg CE/100 g sample for grain tea, for hot water extraction.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d tea were 95.68 to 276.19 mg TE/100 g sample and 270.87 to 804.21 mg trolox equivalents/100 g sample, respectively, for hot water ext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quality standards to ensure consistent quality of sword bean tea.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Rich Extracts from Mango Seed Kernel on Microorganisms

  • Dang Thi Thu Tam;Ly Nguyen Binh;Tran Chi Nhan;Nguyen Bao Loc;Nguyen Nhat Minh Phuo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16-424
    • /
    • 2023
  • Replacing synthetic additives to preserve food products with natural antimicrobial compounds needs to be considered due to public health. In the present study, the phenolic extract from mango seed kernel (MSK) with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value of 5300 ± 380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L was used for evaluating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five types of bacterial strains, including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vitro. This extract was also used for in situ method on the storage of Pangasianodon hypophthalmus fish fillet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for all tested strains were determined at an average concentration of 1325 mg GAE/L. Furthermore,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values of E. coli, S. aureus, and S. typhimurium were seen at 5300 mg GAE/L, while the extract did not show eliminations in the growth of the remaining strains. The bacterial inhibition speed of the extract illustrated that the concentration equal MIC value eliminated S. typhimurium growth after 24 h, the 4 times MIC value had remarkable effects on S. aureus growth after the 9 h of incubation, and 24 h of incubation for E. coli, L. monocytogenes, P. aeruginosa. Additionally, the MSK extract could inhibit the growth of P. aeruginosa on fish fillets in 4 days of storage.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evidence for the utilization of MSK as a natural source of antimicrobial agents in food products.

멀꿀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와 아세트아미노펜 독성 모델에서의 간 보호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tauntonia hexaphylla Fruit Extract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cetaminophen-induced Toxicity)

  • 이규옥;김재용;강후원;배동혁;최철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08-71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멀꿀 열매 추출물의 세포수준에서 항산화 활성과 아세트아미노펜(APAP)으로 유도된 간 독성 동물모델에서의 간 기능 보호효과를 연구하였다. 멀꿀 열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6.13{\pm}0.27mg$ gallic acid equivalent/g 및 $4.7{\pm}0.80mg$ catechin equivalent/g이었다. 또한 DPPH 라디컬 소거능과 ORAC도 각각 $63.62{\pm}4.10{\mu}g/ml$$90.63{\pm}5.29{\mu}M$ trolox equivalent/g이었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멀꿀 열매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효과를 실험한 결과, $200{\mu}g/ml$에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고 증가된 LDH 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간세포에서 과산화수소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감소된 항산화 효소(SOD, CAT, GR, GPx)의 활성은 멀꿀 열매 추출물 처리로 활성이 증가하여 간세포를 보호하였다. 아테트아미노펜(APAP) 유도 간 손상 생쥐 모델에서 간 보호활성을 평가하였다. 간 손상 혈청 표지지표인 ALT 및 AST수준이 APAP 단독 처리군에 비해 멀꿀 열매 추출물 200 mg/kg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간의 과산화지질함량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의 병리학 검사에서도 간조직이 정상 회복되는 형태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멀꿀 열매 추출물이 항산화 기전을 통해 간기능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들깻잎과 참깻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비교분석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and Sesame (Seasamum indicum L.) leaf extracts)

  • 곽영은;기서하;노은경;신하늘;한영주;이유나;주지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1-248
    • /
    • 2013
  • 들깻잎은 독특한 향미가 있어 다양한 형태로 빈번히 식용되고 있는 반면 참깻잎은 특별한 향미가 없어 그 기호성이 낮아 거의 식용되지 않는 폐자원이다. 들깻잎의 경우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참깻잎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식품으로 이용되는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그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들깻잎과 참깻잎의 항산화 성분함량 및 활성을 비교하여, 참깻잎의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식물성 식품에 널리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들깻잎과 참깻잎 추출물에서 측정한 결과, 참깻잎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들깻잎의 함량의 약 1.5-1.6배 수준이었으며(p<0.05), 참깻잎의 ABTS radical 및 DPPH radical 소거활성 또한 들깻잎 활성의 약 1.7-2배 수준이었다(p<0.01). 또한 참깻잎은 들깻잎보다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참깻잎의 항암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성 및 관련 작용기전을 규명하고, 나아가 참깻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참깻잎의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 등과 같은 참깻잎의 식품학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앞으로 종합적으로 수행된다면, 이제까지 폐자원으로 여겨졌던 참깻잎의 새로운 자원화를 통한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에서 판막 성형술의 임상 분석: 젊은 류마티스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환자에서의 판막 성형술 (Valvuloplasy in Mitral Regurgitation : available option in Young rheumatic mitral regurgitation patients)

  • 이재원;송태승;주석중;김종욱;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2호
    • /
    • pp.1093-1099
    • /
    • 1999
  • 배경 : 류마티스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과 퇴행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에서 승모판막 성형술의 결과와 비교하여 류마티스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에서도 승모팍막성형술이 적합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95년 1월부터 98년 12월 까지 승모판막 성형술을 시행받은 184명의 환자중에서 류마티스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49례(1군)의 퇴행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78례(2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은 1군이 36.3$\pm$14.6(16-74세) 2군은 52.5$\pm$13.4(14-77)세였다 총 추적 관찰기간은 1군이 72.2인년 2군이77.2인년이었다 두군에서 수술후와 수술후 6개월 1년 및 이후 1년 단위로 주기적인 심초음파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계적 검정하였다. 결과 : 두 군간에 수술전 혈류역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수술전 평균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정도는 1군이 3.0$\pm$0.4, 2군이 3.9$\pm$0.3였으나 수술후 추적 관찰에서 각각 0.9$\pm$0.9와 0.8$\pm$0.7정도의 양호한 판막 성형술의 결과를 보였고 승모판막 면적의 변화나 승모판막에서의 평균압력차이 등 혈류역학적인 결과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수술조기 사망과 후기 사망은 없었으며 재수술율은 1군이 인년대비 1.4% 2군이 인년대비 2.6%였고 색전발생율은 1군이 인년대비 2.8% 2군이 1.3%였다. 심내막염발생은 1군에서만 1례있었으며 상기 결과들에서 두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았다 결론 : 향후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나 중기 성적에서 승모판막 성형술이 류마티스성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에서도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알수 있었다.다 출생후 폐포막의 FN의 활성은 출생후 5일 및 7일에 최고주에 달했다. 출생직후 1-2일경에 혈관의 조직내 FN의 활성이 양성을 나타내지만 3일이후 활성이감소되었다. 폐포대식세포내 FN의 활성은 출생후 증가되었다. 폐조직내 소기관지의 FN의 활성은 출생후 완만하게 상승되었다. 큰 폐포세포는 출생 1-3일에 일정량의 FN 반응이 세포질과 미세융모내에 관찰되었다. 결론 : 이상과 같은 결과로 흰쥐의 폐포의 분화과정이 계속되는 출생후 폐에서 FN의 분비는 7일이내에 성숙흰쥐의 폐포내 반응과 비슷한 반응으르 보이며 이때 폐의 실질조직은 분화가 거의 완료되었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큰 폐포세포에서도 FN이 분비되는 것으로 결론지울수 있다.X>에서 $1,332.75{\mu}g/mL$으로 최 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추출시간 4.24시간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9.71 mL/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온도가 높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총 polyphenol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allic acid 함량은 $65.84^{\circ}C$에서 $30.51{\mu}g/mL$으로 최대값을 나타내 었으며, 추출시간 1.65시간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17mL/g에서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Gallic acid 함량에 대한 추출조건의 영향은 추출시간과 용매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온도에 대한 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본다. 혈액학적 변화를 유도하고 환자의 연령, 혈소판 수, 대동맥 차단 시간, 체외 순환 시간, 술후 PT 및 aPTT와 같은 다인적 상황들이 술후 출혈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들을 시사하고

  • PDF

품종에 따른 국내산 누에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Silkworm Cultivars)

  • 박종우;이창훈;정찬영;강상국;주완택;김성완;김남숙;권해용;김기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10-1018
    • /
    • 2021
  • 최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누에는 다양한 품종이 생산되고 있지만, 품종에 따른 기능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는 누에의 품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특화 품종으로서의 육성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비교를 위하여 백옥잠, 골든실크, 연녹잠 및 한생잠 등 4개 품종을 사육하고 5령 유충기 3일째 및 7일째 누에에 대하여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물을 이용한 5령 3일째의 골든실크에서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이 나타냈으나 총 페놀화합물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령 3일째 연녹잠의 물 추출물(86.11±4.04 ㎍/mg of gallic acid equivalent) 및 70% (v/v) 에탄올 추출물(46.70±2.81 ㎍/mg quercetin equivalent)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에서 백옥잠과 연녹잠이 최대 78%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연녹잠의 IC50 값은 11.94±1.93 ug/ml이었다. 연녹잠의 최대 SOD 유사 활성은 약 47%로 백옥잠 보다 높았으며, 비타민 C 40 ㎍/ml 농도의 SOD 유사 활성 45%와 유사했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 pH 1.2 조건에서 백옥잠과 연녹잠이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3.0에서는 백옥잠이 25%, 연녹잠이 20%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연녹잠 추출물 48 ㎍/ml 농도의 환원력은 0.7 abs 수준으로 gallic acid 3.6 ㎍/ml 농도의 환원력과 유사한 수준으로 4개 품종 중 가장 우수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항산화 활성 지표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보인 5령 3일째의 연녹잠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품종으로 육성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