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dolinium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2초

삼차신경통 진단 및 치료의 중요 고려사항 (Clinical Considerations of Trigeminal Neuralgia)

  • 전영미;태일호;최종훈;안형준;심우현;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49-453
    • /
    • 2007
  •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하나 이상 분지에서 나타나는 안면 편측 통증 질환으로 짧은 찌르는 듯한 통증이다. 삼차 신경통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인접 삼차신경이나 삼차신경근 부위를 압박하는 혈관에 의하거나 특발성으로 나타나는 특발성 삼차신경통과 구조적 병소에 의해 나타나는 증후성 삼차신경통으로 분류된다. 증후성 삼차신경통은 수막종, 청신경종, 표피양암종 등이 주된 원인이며, 감각 결함, 운동 결함, 운동실조, 안구진탕 등과 같은 신경계 증상이 동반된다. 삼차 신경통의 치료는 크게 약물 치료와 외과적 치료가 있다. 이 중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Carbamazepine이며, 졸음, 현기증, 불안, 오심, 식욕부진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간독성, 골수 기능 억제 등의 위험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혈액검사, 간 및 신장 기능 검사가 필요하다. 이에 삼차신경통의 임상 증례를 통해 증후성 삼차신경통과 특발성 삼차신경통의 예를 들어 진단과 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여러 고려 사항들 중 특히 우리가 소홀히 하거나 간과하기 쉬운 중요 고려사항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

초급성 뇌경색을 일으킨 개에서 Gd-조영제의 주입이 뇌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d-DTPA on Diffusion in Canine Brain with Hyperacute Stroke)

  • 김범수;정소령;신경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58-165
    • /
    • 2002
  • 목적: 체내에 주입된 Gd-DTPA가 뇌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신호강도 및 현성확산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성숙한 잡견 5마리에 대하여 동맥내 도관삽입에 의한 좌측 내경동맥 색전방법을 이용하여 초급성 뇌경색 동물모델을 만들었다. 색전 후 1시간째 확산강조영상을 시행하고, Gd-DTPA를 주입한 다음 다시 90분까지 11회의 추가 확산강조영상을 얻었다.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측정한 초급성 뇌경색부위와 반대측 정상부위의 확산강조영상 신호강도 및 현성확산계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뇌경색은 색전 후 1시간에 시행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잡견 5마리 모두에서 발견되었다. 확산강조영상에서 초급성 뇌경색부위의 신호강도는 Gd-DTPA 주입 여부와 관계없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관류가 유지된 정상부위의 신호강 도는 Gd-DTPA 주입 후 2분에 시행한 첫 검사에서 오히려 저하된 후, 시간경과에 따라 다시 증가하였다. 현성확산계수는 초급성 뇌경색부위에서 Gd-DTPA주입여부에 관계없이 시간 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관류가 유지된 반대측 정상부위에서는 변화하지 않았다. 결론: 체내에 주입된 Gd-DTPA는 초급성 뇌경색부위 및 정상부위의 현성확산계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정상부위에서는 조영제 주입 직후 초기의 자화율효과에 의해 확산강조영상의 신호 강도를 저하시켰다. 조영제 주입 후 시행한 확산강조영상 신호 강도의 정량적인 측정이 필요한 연구 혹은 임상 증례에 대하여는 현성확산계수를 측정함으로써 Gd-DTPA의 자화율효과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쥐를 이용한 새로운 가돌리늄 조영제 Gd-DTPA-bis(amide)(L3)의 약동학 및 생체내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Pharmacokinetics and Bio-distribution of New Gd-complexes of DTPA-bis (amide) (L3) in a Rat Model)

  • ;;장용민;강덕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4호
    • /
    • pp.259-266
    • /
    • 2013
  • 목적: DTPA-bis-amide (L3) Gd(III) 복합체의 약동학 및 생체내 분포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Sprague-Dawley 쥐의 꼬리정맥을 통하여 0.1 mmol Gd/kg의 DTPA-bis-amide (L3) Gd(III) 복합체를 주사한 후 약동학 및 생체내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직 및 장기 그리고 혈중 Gd 농도를 ICP-AES를 사용하여 정량 측정하였으며 혈중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two-compartment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DTPA-bis-amide (L3) Gd(III) 복합체의 혈중 반감기는 ${\alpha}$-phase의 경우 $2.286{\pm}0.11$ min 그리고 ${\beta}$-phase의 경우 $146.1{\pm}7.5$ min 이었다. 생체내 분포특성은 주요 배설 경로는 신장을 통한 배설이 주요 경로였으며 일부 담도계를 통한 배설이 확인되었다. 또한 Gd(III)의 농도비는 다른 장기에 비해 간과 비장에서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일부 Gd(III)이 정맥주사 후 7일후에 혈액 및 일부 장기에서 매우 소량 검출되었다. 결론: 새로운 조영제인 DTPA-bis-amide (L3) Gd(III) 복합체는 혈중 잔류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면서도 체내 축적없이 체외로 배출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친지질성과 친수성의 균형이 잘 이루어진 가돌리늄 조영제의 합성은 향후 blood pool MRI 조영제로써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사염화 탄소에 의한 간손상에 있어 Kupffer cell 칼슘의 역할 (Involvement of Kupffer Cell in $CCl_4$ induced Liver Injury: The Role of Calcium)

  • 양미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82
    • /
    • 1996
  • 사염화 탄소에 의한 과산화 지질 증가 및 간 손상에 calcium 및 Kupffer cell의 역할 및 calcium channel blocker의 간 손상에 대한 방어 효과를 연구하였다. 사염화 탄소는 (1 gm/kg, ig) 간의 malondialdehyde (nmole/gm liver) 및 혈중 AST와 ALT (lU/ml) 활성도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고 농도의 Retinol (250,000U/kg/day)로 인한 Kupffer cell의 활성 증가는 사염화 탄소에 의한 간 과산화 지질 증가 및 간 손상에 상승 작용을 나타낸 반면, $GdCl_3$ 전처리는 $CCl_4$로 인한 ALT의 증가를 감소시켰다. 한편 Retinol 처치군에 Diltiazem (10mg/kg/day)을 병행하여 처치한 결과, 사염화 탄소에 의한 혈중 AST 및 ALT의 증가를 Retinol 단독 처치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억제시킬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이 Retinol 혹은 Diltiazem의 투여에 의한 사염화 탄소가 cytochrome P450에 의한 대사 활성 또는 GSH와 관련된 항산화 기전에 미치는 영향에 기인한 것인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cytochrome P450, cytochrome P4502El 활성도, GSH reductase 및 GSH peroxid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Retinol 및 Diltiazem의 전처리는 이들 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사염화 탄소의 투여에 의한 간 손상은 세포내 calcium의 증가를 가져오며, 이는 이차적으로 Kupffer cell을 활성화 시켜 이미 손상된 간세포의 독성을 증가시켰으며, calcium channel blocker인 Diltiazem의 투여는 사염화 탄소의 간독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LiGd9(SiO4)6O2:Ce3+ 형광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Luminescence Properties of LiGd9(SiO4)6O2:Ce3+)

  • 진성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69-174
    • /
    • 2015
  • 본 연구는 $LiGd_9(SiO_4)_6O_2:Ce^{3+}$ 형광체를 고상법으로 합성하여 X선 회절 실험으로 결정화 정도와 인회석 구조를 확인하였다. $LiGd_9(SiO_4)_6O_2:Ce^{3+}$ 형광체의 $Ce^{3+}$이온의 농도 변화에 따른 여기 및 방출 스펙트럼과 수명시간을 측정하였다. 여기 스펙트럼에서 $Ce^{3+}$ 이온의 농도 증가에 따라 276 nm ($Gd^{3+}$ $^8S_{7/2}{\rightarrow}^6I{_J}$ 전이) 형광 세기가 감소하는 에너지 전달을 확인하였다. 방출 스펙트럼에서 $Ce^{3+}$ 이온의 농도 증가에 따라 결정장의 변화에 의해 410 nm($Ce^{3+}$ $^2F_{5/2}$ and $^2F_{7/2}$) 방출 밴드의 파장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314 nm에서 $Gd^{3+}$에서 $Ce^{3+}$로의 에너지 전달로 인해 $Gd^{3+}$ 형광 방출 세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LiGd_9(SiO_4)_6O_2:Ce^{3+}$ 형광체의 $Ce^{3+}$의 수명시간은 약 20 ns로 짧은 특성을 나타내었고 $Ce^{3+}$의 농도가 증가하면 수명시간이 수 ns 감소하였다.

조영제 희석률에 따른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조영검사의 신호강도 평가 (Evaluation of the signal intensity of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in accordance with the dilution rate of the contrast agent)

  • 최관우;서성미;손순룡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124-5130
    • /
    • 2014
  • 조영제의 희석률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를 분석하여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조영검사 시 점도와 삼투압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신호강도를 높여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영제가 혈관에 주입되면 혈액과 희석되어 mol 농도가 변화되고, 그에 따라 신호강도의 변화를 일으킴에 착안하여 phantom을 제작하였다. phantom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실험은 2013년 1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조영제를 희석한 군(30명)과 희석하지 않은 군(30명)으로 구분하여 뇌혈관의 신호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조영제 mol 농도 변화에 따른 phantom의 신호강도는 0.0125mmol부터 급격히 증가하다 20mmol에서 최고점을 이룬 후 200mmol부터 평형을 이루었다. 임상실험에서도 조영제를 희석하여 검사한 영상의 신호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 1000mmol 조영제 사용에 비해 500mmol로 희석하여 사용함이 최고점인 20mmol에 근접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조영제를 희석하여 사용함으로써 점도와 삼투압을 저하시키고,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므로 임상적용의 유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Ca^{2+}$ is a Regulator of the WNK/OSR1/NKCC Pathway in a Human Salivary Gland Cell Line

  • Park, Soonhong;Ku, Sang Kyun;Ji, Hye Won;Choi, Jong-Hoon;Shin, Dong M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3호
    • /
    • pp.249-255
    • /
    • 2015
  • Wnk kinase maintains cell volume, regulating various transporters such as sodium-chloride cotransporter, potassium-chloride cotransporter, and sodium-potassium-chloride cotransporter 1 (NKCC1) through the phosphorylation of oxidative stress responsive kinase 1 (OSR1) and STE20/SPS1-related proline/alanine-rich kinase (SPAK). However, the activating mechanism of Wnk kinase in specific tissues and specific conditions is broadly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a human salivary gland (HSG) cell line as a model and showed that $Ca^{2+}$ may have a role in regulating Wnk kinase in the HSG cell line.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HSG cell line expressed molecules participating in the WNK-OSR1-NKCC pathway, such as Wnk1, Wnk4, OSR1, SPAK, and NKCC1. The HSG cell line showed an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Ca^{2+}]_i$) increase in response to hypotonic stimulation, and the response was synchronized with the phosphorylation of OSR1. Interestingly, when we inhibited the hypotonically induced $[Ca^{2+}]_i$ increase with nonspecific $Ca^{2+}$ channel blockers such as 2-aminoethoxydiphenyl borate, gadolinium, and lanthanum, the phosphorylated OSR1 level was also diminished. Moreover, a cyclopiazonic acid-induced passive $[Ca^{2+}]_i$ elevation was evoked by the phosphorylation of OSR1, and the amount of phosphorylated OSR1 decreased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BAPTA, a $Ca^{2+}$ chelator. Finally, through that process, NKCC1 activity also decreased to maintain the cell volume in the HSG cell li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2+}$ may regulate the WNK-OSR1 pathway and NKCC1 activity in the HSG cell line. This is the first demonstration that indicates upstream $Ca^{2+}$ regulation of the WNK-OSR1 pathway in intact cells.

백색광 소자 응용을 위한 Gd2WO6:RE3+ (RE = Dy, Sm, Dy/Sm) 형광체의 구조 및 발광 특성 (Structural and Luminescent Properties of Gd2WO6:RE3+ (RE = Dy, Sm, Dy/Sm) Phosphors for White Light Emitting Devices)

  • 박기원;정재용;조신호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31-137
    • /
    • 2020
  • A series of Dy3+, Sm3+, and Dy3+/Sm3+ doped Gd2WO6 phosphors were synthesized by the conventional solid-state reaction.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revealed that all of the diffraction peaks could be attributed to the monoclinic Gd2WO6 crystal structure, irrespective of the type and the concentration of activator ions. The photoluminescence (PL) excitation spectra of Dy3+-doped Gd2WO6 phosphors contained an intense charge transfer band centered at 302 nm in the range of 240-340 nm and two weak peaks at 351 and 386 nm. Under an excitation wavelength of 302 nm, the PL emission spectra consisted of two strong blue and yellow bands centered at 482 nm and 577 nm. The PL emission spectra of the Sm3+-doped Gd2WO6 phosphors had a series of three peaks centered at 568 nm, 613 nm, and 649 nm, corresponding to the 6G5/26H5/2, 6G5/26H9/2, and 6G5/26H11/2 transitions of Sm3+, respectively. The PL emission spectra of the Dy3+- and Sm3+-codoped Gd2WO6 phosphors showed the blue and yellow emission lines originating from the 4F9/26H15/2 and 4F9/24H13/2 transitions of Dy3+ and reddish-orange and red emission bands due to the 4G5/26H7/2 and 4G5/26H9/2 transitions of Sm3+. As the concentration of Sm3+ increased from 1 to 15 mol%, the intensities of two PL spectra emitted by the Dy3+ ions gradually decreased, while those of the three emission bands due to the Sm3+ ions slowly increased, thus producing the color change from white to orange. The CIE color coordinates of Gd2WO6:5 mol% Dy3+, 1 mol% Sm3+ phosphors were (0.406, 0.407), which was located in the warm white light region.

Tumor-like Presentation of Tubercular Brain Abscess: Case Report

  • Karki, Dan B.;Gurung, Ghanashyam;Sharma, Mohan R.;Shrestha, Ram K.;Sayami, Gita;Sedain, Gopal;Shrestha, Amina;Ghimire, Ram K.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4호
    • /
    • pp.231-236
    • /
    • 2015
  • A 17-year-old girl presented with complaints of headache and decreasing vision of one month's duration, without any history of fever, weight loss, or any evidence of an immuno-compromised state. Her neurological examination was normal, except for papilledema. Laboratory investigations were within normal limits, except for a slightly increase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Non-contrast computerized tomography of her head revealed complex mass in left frontal lobe with a concentric, slightly hyperdense, thickened wall, and moderate perilesional edema with mass effect. Differential diagnoses considered in this case were pilocytic astrocytoma, metastasis and absces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btained in 3.0 Tesla (3.0T) scanner revealed a lobulated outline cystic mass in the left frontal lobe with two concentric layers of T2 hypointense wall, with T2 hyperintensity between the concentric ring. Moderate perilesional edema and mass effect were seen. Post gadolinium study showed a markedly enhancing irregular wall with some enhancing nodular solid component. No restricted diffusion was seen in this mass in diffusion weighted imaging (DWI).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 showed increased lactate and lipid peaks in the central part of this mass, although some areas at the wall and perilesional T2 hyperintensity showed an increased choline peak without significant decrease in N-acetylaspartate (NAA) level. Arterial spin labelling (ASL) and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 (DSC) enhanced perfusion study showed decrease in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at this region. These features in MRI were suggestive of brain abscess. The patient underwent craniotomy with excision of a grayish nodular lesion. Abundant acid fast bacilli (AFB) in acid fast staining, and epithelioid cell granulomas, caseation necrosis and Langhans giant cells in histopathology, were conclusive of tubercular abscess. Tubercular brain abscess is a rare manifestation that simulates malignancy and cause diagnostic dilemma. MRI along with MRS and magnetic resonance perfusion studies, are powerful tools to differentiate lesions in such equivocal cases.

Regional Amyloid Burden Differences Evaluated Using Quantitative Cardiac MRI in Patients with Cardiac Amyloidosis

  • Jin Young Kim;Yoo Jin Hong;Kyunghwa Han;Hye-Jeong Lee;Jin Hur;Young Jin Kim;Byoung Wook Cho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6호
    • /
    • pp.880-889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gional amyloid burden and myocardial deformation using T1 mapping and strain values in patients with cardiac amyloidosis (CA) according to late gadolinium enhancement (LGE) patterns. Materials and Methods: Forty patients with CA were divided into 2 groups per LGE pattern, and 15 healthy subjects were enrolled. Global and regional native T1 and T2 mapping, extracellular volume (ECV), and cardiac magnetic resonance (CMR)-feature tracking strain values were compared in an intergroup and interregional manner. Results: Of the patients with CA, 32 had diffuse global LGE (group 2), and 8 had focal patchy or no LGE (group 1). Global native T1, T2, and ECV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1 and 2 than in the control group (native T1: 1384.4 ms vs. 1466.8 ms vs. 1230.5 ms; T2: 53.8 ms vs. 54.2 ms vs. 48.9 ms; and ECV: 36.9% vs. 51.4% vs. 26.0%, respectively; all, p < 0.001). Basal ECV (53.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d and apical ECVs (50.1% and 50.0%, respectively; p < 0.001) in group 2. Basal and mid peak radial strains (PRSs) and peak circumferential strains (PCS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pical PRS and PCS, respectively (PRS, 15.6% vs. 16.7% vs. 26.9%; and PCS, -9.7% vs. -10.9% vs. -15.0%; all, p < 0.001). Basal ECV and basal strain (2-dimensional PRS) in group 2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 = -0.623, p < 0.001). Group 1 showed no regional ECV differences (basal, 37.0%; mid, 35.9%; and apical, 38.3%; p = 0.184). Conclusion: Quantitative T1 mapping parameters such as native T1 and ECV may help diagnose early CA. ECV, in particular, can reflec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amyloid deposi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CA, and increased basal ECV is related to decreased basal strain. Therefore, quantitative CMR parameters may help diagnose CA and determine its severity in patients with or without LGE.